$\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대학생의 성취목표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ue to nursing students' achievement goa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ous suppor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523 - 531  

조혜경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취목표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C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을 편의표집하여 수집된 294명의 자료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목표와 교수자의 자율성지지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성취목표의 하부요인 중 숙달목표(r=.626, p<.001)와 수행접근목표(r=.553, p<.001)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적 상관, 수행회피목표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는 부적 상관(r=-.326, p<.001)이 있었다.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Sobel test로 검정한 결과 교수자의 자율성지지는 숙달목표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Z=3.922, p<.001).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 강화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통해서 관련요인들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descriptive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ue to nursing students' achievement-goal and to make sure mediating effect of autonomous support of professor. A convenience sample of 294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취목표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들은 많았으나 하부요인들간의 관계에서는 일관성이 없는 결과들을 나타내고 있고[20]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으로써 두 변수를 비교한 연구가 있었으나[21]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의 관계와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취목표,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취목표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취목표,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수자의 자율성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취목표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교수자의 자율성지지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취목표,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의 관계를 확인하고 변수와의 관계에서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성지지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교수자는 자율성지지를 통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율성지지는 자기주도적이고 자율적이고자 하는 능력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으로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자는 긍정적인 정보와 피드백을 주며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하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게 하며 문제해결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7,8]. 자율성이 부여된 환경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유능감과 성취목표가 향상되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9].
자율성이 부여된 환경이 가지는 이점은 무엇인가? 자율성지지는 자기주도적이고 자율적이고자 하는 능력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으로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자는 긍정적인 정보와 피드백을 주며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하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게 하며 문제해결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7,8]. 자율성이 부여된 환경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유능감과 성취목표가 향상되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9].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동기적 전략은 무엇인가?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동기적, 인지적, 행동적 전략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데 인지적으로는, 자발적으로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접근하며 자신의 학습계획과 목적을 스스로 설정하고 자기 점검과 자기 평가를 하면서 학습에 대한 통찰력과 확신을 갖게 된다. 동기적으로는, 자기효능감이 높고 자발적이며 과제에 본질적인 흥미를 가지고 접근하며 행동적으로는, 학습을 위한 환경을 선택하고 창조하며 조언을 구하면서 자기교수와 자기강화를 하게 된다[10]. 이때 학습자는 학습에 주도권을 가지고 환경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으므로 학습상황에서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몰입에 잘 도달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 Ryan, M. Julian, S. David, H. Rose, J. H. Stanley, Z. Benjamin & A. C. David. (2015). Self­regulated learning in simulation­based train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al Education 49, 368-378 DOI: 10.1111/medu.12649. 

  2. C. Patterson, D. Crooks & O. Lunyk-Child. (2002). A new perspective on competencies for self- directed learning. J of Nursing Education 4(1), 25-31. DOI :10.3928/0148-4834-20020101-06 

  3. B. J. Zimmerman & M. Martinez-Pons.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84-290. DOI : 10.1037/0022-0663.80.3.284 

  4. P. R., Pintrich & E. V. De Groot. (1990). Motivational &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92-100. 

  5. A. Y. Kim, J. E. Cha, D. S. Lee, I. H. Lim, H. Y. Tack & Y. N. Song. (2008). Influence of parents' autonomous support on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 35(4). 3-24. 

  6. Y. B. Heo & A. Y. Kim.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autonomous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4), 1075-1096. 

  7. R. M. Ryan & E. L. Deci.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DOI : 10.1037/0003-066X.55.1.68 

  8. W. S. Grolnick & R. M. Ryan. (1989). Parent style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ompetence in schoo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143-154. DOI: 10.1037/0022-0663.81.2.143 

  9. Skaalvik, E. M. (1997). Self-enhancing and selfdefeating ego orientation, achievement, self-perceptions, and anxie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 71-81. 

  10. B. J. Zimmerman. (1989). A social-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11. B. R. Choi. (2014). The effect of personality on learning flow: with self-directed learning as mediating variable. Korean Jounal of Youth Studies. 21(5), 247-267. 

  12. Pintrich, P. R. (1995). Understanding self-regulated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3. M. H. Yang & J. C. Oh. (2006).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747-764. 

  14. C. Ames. (1992). Classroom: goal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261-271. 

  15. J. L. Meece, P. C. Blumenfeld & R. H. Holye. (1988).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514-523. 

  16. F. S. Elliot & C. S. Dweck. (1988). Goal: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5-12. 

  17. A. J. Elliot. (1999).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American Psychologist, 34, 169-189. DOI : 10.1207/s15326985ep3403_3 

  18. M. Middleton & C. Midgley. (1997). Avoiding the demonstration of lack of ability: An under explored aspect of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 710-718. 

  19. H. T. Shin & H. J. Ahn. (2014). The experience of the stop-out of femal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3(3). DOI : 10.12934/jkpmhn.2014.23.3.165 

  20. Y. S. Kim. & H. I. Cho. (2014).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2(3) 147-174. 

  21. E. A. Park & K. H. Chun. (2014). Differences in non-cogn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6(1), 32-41. 

  22. A. Elliot & M. A. Church. (1997). A Hierarchi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461-475. 

  23. A. R. Yoon. (2009)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chievement go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4. M. K. Chung. (2005). The Development of Self- Regulated Learning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8(3), 155-181. 

  25. G. C. Williams, & E. L. Deci. (1996). Internalization of biopsychological value by medical students: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767-779. 

  26. J. W. You.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eng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Y. M. Cha. (2017). Structural relations among autonomy support,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s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8. M. H. Park. (2017). Convergenc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atient safety attitude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17-327. 

  29. H. S. Kang & Y. Y. Kim. (2017).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617-625. 

  30. M. L. Lee & H. C. Lee. (2018). A study of satisfaction and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in department health scienc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2), 137-153. 

  31. J. Y. Park, C. H. Woo, J. H. Lee & J. M. Kim. (2018). The impa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freshmen in nursing colleg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4(2), 127-136. 

  32. B. S.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for intimate relation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245-252. 

  33. M. O. Suh. (2012).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ion strategies, achievement of goal-oriented and learning styles in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0(1), 55-79. 

  34. Y. J. Kim. (2011). The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profiles. J Educ Stud, 32(1), 1-22. 

  35. S. Y. Kwon. (2008).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1), 213-240. 

  36. Y. M. Cha & W. Y. Eom. (2015).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junior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flow.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1), 83-105. 

  37. M. O. Lee, S. Y. Kim & M. Y. Lee. (2015). The influence of autonomous support and self-determinated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223-5231. 

  38. E. L. Deci. & R. M .Ryan.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y Inquiry, 11(4), 227-268. DOI : 10.1207/S15327965PLI1104_01 

  39. J. H. Park. (2016). The effect of clinical convergence self-directedness practice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ness and competency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nvergence Society, 7(4), 51-58. 

  40. H. Y. Jung & S. Kang. (2018).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basic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6), 241-25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