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성인에서 우울 중증도 관련요인의 성별 차이 :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dults: An Analysis of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549 - 559  

이영주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중년 성인의 우울 유병 현황과 성별에 따른 우울 증증도 관련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년 성인(40~64세) 2,24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우울 증상은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으로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우울을 3단계로 구분하여 우울 중증도의 관련요인을 다변량 순위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도 이상 우울($PHQ-9{\geq}10$)은 5.2% (남성 3.3%, 여성 7.0%)로 확인되었다. 중년 남성에서 우울 중증도의 관련요인은 낮은 연령, 동 지역 거주, 무직, 저체중, 고위험 음주이었고, 중년 여성은 배우자 없음, 낮은 수입, 신체적 활동제한, 적은 수면시간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우울 위험의 성별 차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중년 성인의 성별 특성에 기반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우울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n middle-aged adults and to identify the gender difference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The data of 2,241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에는 해당성을 잘 나타내는 민감한 변수를 선정함으로써 해당성에 대한 세심한 관련요인 분석과 깊이 있는 중재방안 마련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PHQ-9 도구를 사용하여 처음 실시된 국가적인 자료를 토대로 중년 남녀의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우울 중증도 관련요인을 규명하였고, 이 연구결과는 성별 특성에 기반한 중년의 우울증상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국가기반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일반집단을 대상으로 건강설문 및 검진조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2014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년의 우울 현황과 남녀 성별에 따른 우울 관련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성별 특징을 바탕으로 한 중년의 우울 예방과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지역사회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중년(40∼64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우울 유병 현황을 파악하고, 성별을 구분하여 우울 중증도의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우울 유병 현황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우울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설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년의 우울 유병 현황을 파악하고, 우울 중증도의 관련요인에 대한 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중년 성인의 중등도 이상 우울(PHQ-9≥10)은 5.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일반집단을 대상으로 건강설문 및 검진조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2014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년의 우울 현황과 남녀 성별에 따른 우울 관련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성별 특징을 바탕으로 한 중년의 우울 예방과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지역사회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과 관련 있는 동반질환은 무엇이 있는가? 중년은 만성질환이나 중증질환이 서서히 발생하는 시기이다. 중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없어 성인 전체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우울과 관련 있는 동반질환으로는 고혈압[10], 당뇨[11-13]외에도 뇌졸중과 심혈관질환[12], 암[14] 등이 확인되었다. 성별로 구분해 보면, 성인 남성은 우울과 심장마비가 관련이 있었고[12], 우울이 높은 성인 여성에게 당뇨 위험은 약 2배 높았으며[13],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갑상선질환 등의 질환이 동반될 때 성인 여성의 우울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12].
우울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울은 사회적, 심리적 및 생물학적 요인들의 복잡한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우울은 단순히 한 시기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삶 전반에 걸쳐 생애주기마다 마주하는 사건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기도 한다.
중년의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특히, 중년(40∼64세)의 경우에는 퇴직, 이혼, 질병, 노화, 자녀결혼 등과 같은 다양한 삶의 사건들로 가정과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과 내적 혼란을 갖는 중년의 위기를 겪는다. 이를 잘 극복하지 못하면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신체건강뿐 아니라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갖게 될 가능성이 크다[3]. 여성은 갱년기 이후에 가장 많이 우울증으로 이행하고[4], 조기 퇴직이나 실직으로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겪게 되는 45∼54세 남성은 가장 높은 자살생각을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Depression: let's talk 2015. World Health Organization [Online]. www.who.int/mental_health/management/depression/en/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Male : female ratio of age-standardized suicide rates 2015. World Health Organization [Online]. www.who.int/gho/mental_health/ suicide_rates_male_female/en/ 

  3. S. Yang, K. S. Lee, J. S Lee, H. J. Kwan, M.H. Lee, K.O. Oh, et al. (2016)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5th ed. Seoul ; Hyunmoonsa. 

  4. M. Azizi, E. Fooladi, M. Masoumi, T.G. Orimi, F. Elyasi, S.R. Davis. (2018).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risk factors in midlife women in the Middle East: a systematic review. Climacteric :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Menopause Society, 21(1), 13-21. DOI : 10.1080/13697137.2017.1406908. 

  5. Y. R. Chin, H. Y. Lee, E. S. So. (2011).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Korean adult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6(4), 429-39. DOI : 10.1007/s00038-011-0245-9. 

  6. C. Park & J. Lee. (2011).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 Male and Female.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99-128. 

  7. M. J. Han & J. H. Lee. (2013). Factors Influencing Self-Identity and Menopausal Symptoms on Level of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4), 275-84. 

  8. J. Kim & T. J. Lee. (2018). Economic Insecurity and Mental Health in the Middle-aged 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4(1), 142-66. 

  9. A. Pan, O.H. Franco, Y.F. Wang, Z.J. Yu, X.W. Ye & X. Lin. (2008). Prevalence and geographic disparity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 Chin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5(1-3), 167-75. DOI : 10.1016/j.jad.2007.05.003. 

  10. Z. Li, Y. Li, L. Chen, P. Chen & Y. Hu. (2015).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ine, 94(31), e1317. DOI : 10.1097/md.0000000000001317. 

  11. Y. Wang, J.M. Lopez, S.C. Bolge, V.J. Zhu & P.E. Stang. (2016). Depression among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2005-2012. BMC psychiatry, 16:88. DOI : 10.1186/s12888-016-0800-2. 

  12. W. K. Kim, D. Shin & W. O. Song. (2015). Depression and Its Comorbid Conditions More Serious in Women than in Me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Women's Health (Larchmt), 24(12), 978-85. DOI : 10.1089/jwh.2014.4919. 

  13. R. T. Demmer, S. Gelb, S. F. Suglia, K.M. Keyes, A.E. Aiello & P.C. Colombo, et al. (2015). Sex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Psychosomatic medicine, 77(4), 467-77. DOI : 10.1097/psy.0000000000000169. 

  14. A.M. Krebber, L.M. Buffart, G. Kleijn, I.C. Riepma, R. de Bree & C.R. Leemans, et al. (2014). Prevalence of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of diagnostic interviews and self-report instruments. Psycho-oncology, 23(2), 121-30. DOI : 10.1002/pon.3409. 

  15. J. E. Chu, H. Lee, C.H. Yoon, H. I. Cho, J.Y. Hwang & Y.J. Park. (2014).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ed Mood and Life Style Patterns in Koreans Aged 4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3(5), 772-83. 

  16. K. A. Kong, H.Y. Choi & S.I. Kim. (2017). Mental health among single and partnered parents in South Korea. PloS one, 12(8), e0182943. DOI : 10.1371/journal.pone.0182943. 

  17. K. Kroenke, R.L. Spitzer & J .B. Williams. (2001).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6(9), 606-13. 

  18. C. Han, S.A. Jo, J.H. Kwak, C.U. Pae, Steffens D & Jo I, et al. (2008).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ehensive psychiatry, 49(2), 218-23. DOI : 10.1016/j.comppsych.2007.08.006.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Guide to the utilization of the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6_02.do 

  20. A.S. Fullerton. (2009). A Conceptual Framework for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38(2), 307 

  21. C.S. Lopes, N. Hellwig, G.A.E. Silva, P.R. Menezes. (2016). Inequities in access to depression treatment: results of the Brazilian National Health Survey - PNS.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5(1), 154. DOI : 10.1186/s12939-016-0446-1. 

  22. J. Hoebel, U.E. Maske, H. Zeeb, T. Lampert. (2017). Social Inequaliti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ults: The Rol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PloS one, 12(1), e0169764. DOI : 10.1371/journal.pone.0169764. 

  23. Y. Liu, I.D. Ozodiegwu, Y. Yu, R. Hess, R. Bie. (2017). An association of health behaviors with depression and metabolic risks: Data from 2007 to 2014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17, 190-6. DOI : 10.1016/j.jad.2017.04.009. 

  24. L.E. McKenzie, R.N. Polur, C. Wesley, J.D. Allen, R.E. McKeown, J. Zhang. (2013). Social contacts and depression in middle and advanced adulthood: findings from a US national survey, 2005-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9(7), 627-35. DOI : 10.1177/0020764012463302. 

  25. L.M. de Wit, A. van Straten, M. van Herten, B.W. Penninx, P. Cuijpers. (2009). Depression and body mass index, a u-shaped association. BMC public health, 9:14. DOI : 10.1186/1471-2458-9-14. 

  26. S.J. Danke, J.P. Loenneke, P.D. Loprinzi. (2016). Mild Depressive Symptoms Among Americans in Relation to Physical Activity, Current Overweight/Obesity, and Self-Reported History of Overweight/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3(5), 553-60. DOI : 10.1007/s12529-016-9541-3. 

  27. J.H. Kim, W.ML Kang & S.Y. Mun. (2013). The Effects of Problem Drinking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Depression among the Middle-Aged: Focusing on Gende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3), 185-203. 

  28. A.C. Hayley, L.J. Williams, K. Venugopal, G.A. Kennedy, M. Berk, J.A. Pasco. (2015).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omnia, sleep apnoea and depression: findings from the Americ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08.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9(2), 156-70. DOI : 10.1177/0004867414546700. 

  29. M. R. Song, Y.S. Lee, J. D. Baek & M. Miller. (2012). Physical activity status in adults with depression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06. Public health nursing (Boston, Mass), 29(3), 208-17. DOI : 10.1111/j.1525-1446.2011.00986.x. 

  30. J.T. Bromberger, L. Schott, H.M. Kravitz & H. Joffe. (2015). Risk factors for major depression during midlife among a community sample of women with and without prior major depression: are they the same or different? Psychological medicine, 45(8), 1653-64. DOI : 10.1017/s0033291714002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