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 및 구강건강관련 특성과 우울증상(PHQ-9)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between Men and Women, and O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n Depressive Symptoms (PHQ-9)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4, 2017년, pp.179 - 188  

이은주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aged men and women in terms of the effect of health-related and o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n their depressive symptoms (PHQ-9). Methods : We used the 2nd year data of the 6th session of the Na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중장년층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 및 구강건강관련 특성이 우울증상(PHQ-9)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일반적 건강 및 구강건강이 뒷받침되는 효과적인 우울증상 관리를 위해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중장년층의 성별에 따라 건강관련 특성 및 구강건강관련 특성이 우울증상(PHQ-9)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성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일반적 건강 및 구강건강이 뒷받침되는 효과적인 우울증상 관리와 극복 및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5%로 소폭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중장년층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 및 구강건강관련 특성이 우울증상(PHQ-9)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일반적 건강 및 구강건강이 뒷받침되는 효과적인 우울증상 관리를 위해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중장년층의 성별에 따라 건강관련 특성 및 구강건강관련 특성이 우울증상(PHQ-9)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성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일반적 건강 및 구강건강이 뒷받침되는 효과적인 우울증상 관리와 극복 및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은 삶에 어떻게 연관되는가? 우울증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결과로 근심, 실패감, 침울함, 무력감, 상실감 등을 나타내는 정서적 장애이다. 일상생활과 대인관계, 사회생할 등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으로 여러 형태의 증상을 통해 건강악화와 삶의 질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4]. 특히 중장년층 여성은 우울감을 과반수이상 경험하므로 사회적으로 중요한 건강문제이다[5].
우울증이란 무엇인가? 우울증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결과로 근심, 실패감, 침울함, 무력감, 상실감 등을 나타내는 정서적 장애이다. 일상생활과 대인관계, 사회생할 등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으로 여러 형태의 증상을 통해 건강악화와 삶의 질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4].
우울증상의 심각도의 측정을 위하여 사용한 질문지는 무엇인가? [19]이 개발하였고 일차적으로 접하기 쉬운 정신질환들을 감지하고 주요우울장애의 진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자기 보고식 질문지로 9가지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PHQ-9는 우울증상의 심각도의 측정에서도 신뢰도가 높고 타당한 도구임이 밝혀졌다[20]. PHQ-9는 최근 2주 동안 얼마나 우울에 관련된 문제를 자주 겪었는지를 알아보며 측정한 점수를 합하여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HO(2011), Global Burden of Mental Disorders and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Coordinated Response from Health and Social Sectors at the Country Level,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 

  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4/2017090400203.html 

  3. H.K. Kim(2006), Fatigue and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Middle-aged Adults by Age Group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2(4);273-281. 

  4. H.K. Kim(2006), Comparison of Physical, Psychosocial and Cognitive Factors, and Depression betwee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8(3);446-456. 

  5. K.E. Lee, Y.H. Yom, S.S. Kim, J.H. Han(2014), Gender Differences in Oral Health Literacy 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Peopl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5(1);54-64. 

  6. H.K. Chang, B.K. Cha(2003), Influencing Factors of Climacteric Women'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3(7);972-980. 

  7. S.Y. Lee, S.H. Lee, B.S. Kee(1996), A Study on Psychological Strain in 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Obsterics & Gynecology, Vol.39(3);555-561. 

  8. J.I. Lee, K.H. Kim, S.H. Oh(2003),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a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5(3);422-431. 

  9. J.B. Lee, I.S. Yeo, M.H. Ko, S.H. Nam, D.W. Park, Y.S. Ahn, et al.(2008), Prothodontics, Komoonsa, pp.77-78. 

  10. G. Boretti, M. Bickel, A.H. Geering(1995), A Review of Masticatory Ability and Efficiency, J Prosthet Dent, Vol.74(4);400-403. 

  11. S.S. Han, S.W. Kang, S.H. Jeong, W.K. Yoo(2014),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Middle and Old-Aged Peopl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2);197-208. 

  12. H.S. Kim, S.S. Han, W.K. Yoo(2015), Analysis of the Determining Factor of Depressive Symptom among the Menopausal Wome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1);157-168. 

  13. W.H. Choi(2012),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2);91-99. 

  14. H.J. Lee, C.M. Kim, D.H. Lee(2014), The Effects of Oral Health on Activity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4(2);50-58. 

  15. H.J. Kwon, M.S. Yoon(2015), Relationship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5(6);825-835. 

  16. S.A. Jang, Y.S. Kim(2013),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Oral Health Status of Middle Aged Population in Korea, Aged Society Research of Hanyang University, Vol.4(2);71-90. 

  17. E.S. Lee, K.Y. Do, K.S. Lee(2017), Association of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7(1);73-80. 

  18. M.J. Cho, J.K. Ma(2016),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6(1);19-25. 

  19. R.L. Spitzer, K. Kroenke, J.B. Williams(1999),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Vol.282(18);1737-1744. 

  20. J.Y. An, E.R. Seo, K.H. Lim, J.H. Shin, J.B. Kim(2013),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19(1);47-56. 

  21.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96/en 

  22.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3. N.H. Jo, C.H. Seong(2016), Effects of Stre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7(6);89-97. 

  24. H.J. Lee, C.M. Kim, D.H. Lee(2016),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6(1);2234-2141. 

  25. J.Y. Kang(2017), The Relationship Depressive symptoms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aster' thesis, pp.3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