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음주자의 음주 패턴에 따른 정신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to mental distress and self-rated health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319 - 328  

이은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조혜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 음주자의 음주 패턴과 정신건강 및 주관적 불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민건강 영양조사(2010~2013)의 19세 이상 성인 음주자 19,85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였다. 저위험 음주를 기준으로 했을 때 남성은 알코올 사용장애에서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및 자살 생각을 경험할 위험이 높았고, 여성은 알코올 사용장애 뿐만 아니라 위험 음주에서도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및 자살 생각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 남성보다 음주 문제로 인한 정신건강의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남녀 모두 과거 음주는 저위험 음주와 비교했을 때 정신건강 손상의 위험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주관적으로 불건강하다고 평가할 위험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해 음주자를 조기 선별하여 신체와 정신 건강 상태에 대한 포괄적 평가와 함께 여성 음주자를 위한 차별화된 정신건강 관리대책이 필요하고, 과거 음주를 비음주나 저위험 음주로부터 분리하여 신체 및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s of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to mental distress and self-rated health. Data of 19,856 adult drinkers over 19 years of age and older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evalu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0~2013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 남녀음주자의 음주 패턴에 따른 정신건강과 주관적 불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횡단 조사 연구이다
  • 또한 남성은 여성보다 음주율과 고위험 음주율이 높지만, 우울감 및 자살 생각 경험률이나 주관적 불건강 상태 등은 여성이 더 높기 때문에 음주와 정신건강 및 주관적 건강 상태의 관계에서 성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일반인구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음주자의 음주 패턴을 세분화하고 성별로 음주 패턴과 정신건강 상태(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경험, 자살생각 경험, 우울증 이환) 및 주관적 불건강 상태와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음주 폐해 예방정책과 알코올 사용 가이드 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한국의 대표적 일반 인구 자료를 이용하여 남녀 성인 음주자의 음주 패턴과 정신건강 및 주관적 불건강 상태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음주 패턴을 분류할 때 과거 음주와 저위험 음주(AUDIT 1~7점)를 구분함으로써 음주와 건강과의 관계에서 질병, 노화 등의 이유로 단주한 과거 음주자가 저위험 음주에 포함되는 오류로 인한 선택적 편견(bias)을 줄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한편, 본 연구에서 과거 음주는 남녀 모두 저위험 음주와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과 자살 생각 경험, 우울증 이환 등 정신건강 손상의 위험에서 차이가 없었다. 음주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 상황에서 긴장감소를 위한 음주 행위 강화로 음주 문제가 야기된다는 가설과 과도한 음주 문제로 인해 우울 등의 부정적 정서가 야기된다는 가설로 설명된다. 음주와 우울의 종단적 관계를 확인한 선행연구들[32,36]에서는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우울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커서 음주 문제가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사망의 원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1%를 차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사망의 원인은 소화기 질환, 심혈관 질환 및 당뇨, 감염성 질환, 암, 손상 등이었으며, 알코올로 인한 장애보정손실 연수의 49%는 비전염성 질환과 정신건강 상태 때문이었다[1]. 실제로 음주는 정신건강 손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알코올 의존을 포함한 많은 정신건강 상태의 주요 원인이다[1].
지역사회 건강정책 수립 시 음주 폐해 예방사업과 정신건강 증진사업을 통합하여 기획 및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인 이유는? 실제로 음주는 정신건강 손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알코올 의존을 포함한 많은 정신건강 상태의 주요 원인이다[1]. WHO의 정신건강 행동계획 2013-2020에서는 음주가 정신건강 상태의 위험 요인이고 알코올 및 기타 물질사용 장애가 심각한 정신장애와 공동 이환될 가능성이 높음을 인정하여, 정신건강 행동계획의 실행과 함께 유해한 알코올 사용 감소를 위한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강화하고 있다[2]. 따라서 지역사회 건강정책 수립 시 음주 폐해 예방사업과 정신건강 증진사업을 통합하여 기획 및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고, 이를 위해 지역사회 일반인의 음주 패턴과 전반적인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주관적 건강 상태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편 주관적 건강 상태는 가장 보편적으로 건강 수준을 평가하는 건강지표 중 하나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대한 자가평가는 건강에 대한 객관적 상태뿐만 아니라 생리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이 개입되기 때문에 건강 상태에 대한 전반적 평가가 가능한 척도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5]. 알코올 사용은 많은 급만성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고 사망률을 높이기 때문에[4] 주관적 건강 상태와 부적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 되지만, 국내 선행연구들에서 문제 음주자가 주관적 건강 상태를 나쁘게 인식한다는 보고[16,17]와 반대로 문제 음주자가 정상 음주자에 비해 주관적 건강 상태를 보통 이거나 좋게 평가한다는 보고[18-20], 그리고 문제 음주와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21]도 있어 음주와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관계는 복잡해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and health 2018. Geneva: WHO [Online]. www.who.int/substance_abuse/publications/global_alcohol_report/gsr_2018/en/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s 2013-2020. Geneva: WHO [Online]. http://www.who.int/nmh/events/ncd_action_plan/en/ 

  3. C. T. Veit & J. E. Ware. (1983).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well-being in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5), 730-742. DOI : 10.1037/0022-006X.51.5.730 

  4. J. Rehm et al. (2003). Alcohol as a risk factor for global burden of disease. European Addiction Ressearch, 9(4), 157-164. DOI : 10.1159/000072222 

  5. J. Brady. (2006).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misuse and suicidal behaviour. Alcohol and Alcoholism, 41(5), 473-478. DOI : 10.1093/alcalc/agl060 

  6. P. Makela, K. Raitasalo & K. Wahlbeck. (2015). Mental health and alcohol use: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Finnish general population.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5(2), 225-231. DOI : 10.1093/eurpub/cku133 

  7. A. Appleton, R. James & J. Larsen. (2018). The association between mental wellbeing, levels of harmful drinking, and drinking motivations: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UK adult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7), 1333. DOI : 10.3390/ijerph15071333. 

  8. G. W. Smith & M. Shevlin. (2008). Patterns of alcohol consumption and related behaviour in Great Britain: a latent class analysis of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Alcohol and Alcoholism, 43(5), 590-594. DOI : 10.1093/alcalc/agn041 

  9. A. Sohn, S. Hong, T. K. Kim, E. Ryu, G. J. Oh & S. V. Legaspi. (2009). Alcohol use disorder, stress, mental health and suicide among seoul citize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4), 73-83. 

  10. H. Lee & S. Roh. (2011). The relations of alcohol drinking behavior,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ults. Korean Society of Alcohol Science and Health Behavior, 12(1), 155-168. 

  11. E. J. Lee & E. S. Lee. (2020).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mood among problem drinkers by gend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2), 375-384. DOI : 10.15207/JKCS.2020.11.2.375 

  12. S. I. Saarni et al. (2008). Alcohol consumption, abstaining, health utility, and quality of life-a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Finland. Alcohol and Alcoholism, 43(3), 376-386. DOI : 10.1093/alcalc/agn003 

  13. N. El-Guebaly. (2007).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moderate drinking and mental health. Annals Epidemiology, 17(5), 55-62. DOI : 10.1016/j.annepidem.2007.01.013 

  14. A. Gea et al. (2012). A longitudinal assessment of alcohol intake and incident depression: the SUN project. BMC Public Health, 12, 954. DOI : 10.1186/1471-2458-12-954 

  15. S. O. Lee & Y. J. Joo. (2018). Finding the cause of subjective declining health and regional differences. Monthly Community Health Report, 25, 8-9. 

  16. J. Ryu, K. H. Kang & J. H. Lee. (2011). Factors of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2(1), 29-42. 

  17. S. Y. Park & S. Yang. (2018). Factors associated with risky drinking of adult women: Focused on convergent im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7), 469-478. DOI : 10.14400/JDC.2018.16.7.469 

  18. Y. C. Lee & B. H. Im. (2010). Associated factors of problem drinking grade and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by drinking grade among korean men and women.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1(2), 107-123. 

  19. H. Lee, H. B. Lee, J. H. Lim & M. Choi. (2012).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problem drinking of korean adults and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3(1), 109-121. 

  20. S. S. Chung & K. H. Joung. (2012).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tterns of alcohol us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5), 441-453. DOI : 10.7475/kjan.2012.24.5.441 

  21. J. Hong, J. Kim & O. Kim. (2014).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of male drinkers according to life cycl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2), 139-148. DOI : 10.7475/kjan.2014.26.2.139 

  22. A. Salonsalmi, O. Rahkonen, E. Lahelma & M. Laaksonen. (2017).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drinking and self-reported mental and physical functioning: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city of Helsinki employees. BMJ Open, 7(4), e014368. DOI : 10.1136/bmjopen-2016-014368 

  23. J. L. Valencia-Martin, I. Galan & F. Rodriguez-Artalejo. (2009). Alcohol and self-rated health in a Mediterranean country: the role of average volume, drinking pattern, and alcohol dependence.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3(2), 240-246. DOI : 10.1111/j.1530-0277.2008.00826.x 

  24. M. Frisher, M. Mendonca, N. Shelton, H. Pikhart, C. de Oliveira & C. Holdsworth. (2015). Is alcohol consumption in older adults associated with poor self-rated heal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from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BMC Public Health, 15, 703. DOI : 10.1186/s12889-015-1993-x 

  25. S. Stranges et al. (2006). Alcohol drinking pattern and subjective health in a population-based study. Addiction, 101(9), 1265-1276. DOI : 10.1111/j.1360-0443.2006.01517.x 

  26. P. Guallar-Castillon, F. Rodriguez-Artalejo, L. D. Diez Ganan, J. R. Banegas Banegas, P. L. Lafuente Urdinguio & R. H. Herruzo Cabrera. (2001).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and subjective health in Spai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5(9), 648-652. DOI : 10.1136/jech.55.9.648 

  27. A. G. Shaper, G. Wannamethee & M. Walker. (1988). Alcohol and mortality in British men: explaining the U-shaped curve. Lancet, 2(8623), 1267-1273. DOI : 10.1016/s0140-6736(88)92890-5 

  28. K. M. Fillmore, T. Stockwell, T. Chikritzhs, A. Bostrom & W. Kerr. (2007). Moderate alcohol use and reduced mortality risk: systematic error in prospective studies and new hypotheses. Annals of Epidemiology, 17(5), S16-S23. DOI : 10.1016/j.annepidem 

  29. T. F. Babor, J. C. Higgins-Biddle, J. B. Saunders & M. G. Monteiro. (2001).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second edi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30. E. F. Mathiesen, S. Nome, M. Eisemann & J. Richter. (2012). Drinking patterns, psychological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a Norwegian general population-based sample. Quality of Life Research, 21(9), 1527-1536. DOI : 10.1007/s11136-011-0080-8 

  31. B. F. Grant, F. S. Stinson, D. A. Dawson & S. P. Chou. (2004). Prevalence and co-occurrence of substance use disorders and independent mood and anxiety disorder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1(8), 807-816. DOI : 10.1001/archpsyc.61.8.807 

  32. S. E. Gilman & H. D. Abraham. (2001). A longitudinal study of the order of onset of alcohol dependence and major depression. Drug and Alcohol Dependence, 63(3), 277-286. DOI : 10.1016/s0376-8716(00)00216-7 

  33. J. M. Boden & D. M. Fergusson. (2011). Alcohol and depression. Addiction, 106(5), 906-914. DOI : 10.1111/j.1360-0443.2010.03351.x 

  34. Mood and Anxiety Disorders in Women Edited by David Castle, Jayashri Kulkarni & Kathryn M. Ab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Cambridge, New York. chap.3 Substance use and abuse in women by Clare Gerada, Kristy Johns, Amanda Baker, David Castle. pp.39-58. 

  3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6. H. S. Gweon & H. J. Sung. (2010). Effects of problem drinking of adult on depression : gender difference.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3(1), 147-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