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선추적기법을 적용한 편측무시 측정 방법 및 개선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Method and Contents for Unilateral Neglect using Eye-tracking Technique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8 no.5, 2018년, pp.187 - 195  

최정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신성욱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문호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구세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정성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시간 시선 및 머리 추적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지필검사의 실행증으로 인한 검사 오류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머리와 시선 방향의 틀어짐을 정량적으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시선 및 머리 움직임 정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기존 지필검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선 나누기 검사와 별 지우기 검사를 전산화하였다. 또한, 재활 훈련을 위해 Warren의 시지각 계층 모델 하위 수준의 시각적 기술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구현하여 반복적이고 독립적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가 능동적으로 재활에 참여하도록 하고 개선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using real-time gaze tracking and head tracking method, we intend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eviation between the patient's head and gaze direction while minimizing inspection errors due to apraxia of conventional paper-based examina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we developed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필검사의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실행증으로 인한 검사 오류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머리 방향과 시선 방향이 틀어진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간 시선 추적을 적용하여 이를 해결 하고자 하였다. tobii 사의 Eye-tracker 4C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시선 위치와 머리의 움직임정보(위치, 거리, 각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프로그램과 기존 지필검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선 나누기 검사와 별 지우기 검사를 전산화하였다.
  • 콘텐츠를 진행하는 동안 캐릭터가 유령에 닿으면 화면 좌측 상단의 하트가 줄어들며 총 3개의 목숨이 주어진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유령의 속도가 빨라지며 길의 형태와 유령의 종류를 다양하게 변경되게 하여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캐릭터 주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동작을 통해 시각적 주의력을 요구하는 과제 수행에 맞춰져 있다.
  • 피검자의 시선이 스톤을 추적할 수 있는 위치까지 움직이는 내용으로 스톤이 좌측 하우스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높은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단계가 상승함에 따라 직선으로 움직이는 스톤이 포물선 또는 지그재그 모양과 속도를 증가시켜 넓은 범위의 안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상대방 스톤 개수를 증가 시켜 게임의 집중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또한, 뇌의 주의력을 담당하는 부분의 신경 회로 손상회복을 위한 하위 수준의 시각적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훈련들 중에 기초적인 시각적 기술 영역과 기능적 접근의 반복적인 훈련 및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이에 대한 콘텐츠들은 편측무시의 치료법에서 기능적인 접근방법으로 반복적인 훈련과 환자의 독립적인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편측무시 환자의 질환 정도 및 인식 범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을 전산화하고 측정 프로그램으로부터 얻어진 정량화 된 환자의 머리 위치와 얼굴의 틀어짐 정도를 기준 자세로 설정 한 후 편측무시 개선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적으로 전산화 한 편측무시 검사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 나누기(Line Bisection Task)와 별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측 무시는 무엇인가? 편측 무시(Unilateral Neglect)는 시각적인 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 병변 환자에서 지각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뇌 손상 후 손상된 대뇌반구의 반대쪽공간에 주어지는 의미 있는 자극에 감지를 못하거나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1].
기존의 편측무시 치료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기존의 편측무시 치료법 중 임상적인 방법으로는 시각 훑기(Visual Scanning), 프리즘 안경, 강제 유도 치료법, 진동 자극 치료법 등이 사용되며, 작업치료 방법으로는 책 읽기, 글쓰기, 주소 옮겨 적기, 같은 그림 찾기 등과같은 시각적 주의력을 요구하는 과제가 사용되고 있다[7-10]. 작업치료 방법에 제시된 과제들 대부분은 그림 1(b)와 같이 Warren[11]의 시지각의 계층적 모델 중 시각 인식(Visual Cognition), 시각 기억(Visual Memory),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과 같은 상위 수준의 시각적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하위 수준의 시각적 주의력 훈련이 선행되어야 더욱 효과가 있다[12].
기능적 접근의 장점은 무엇인가? 기능적 접근은 편측 무시 증상과 관련된 과제들을 반복적으로 연습시킴으로써 추후 환자가 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이다. 시각적 단서를 사용한 시각적인 피드백 훈련 프로그램들로써 환자의 집중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수행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oo-Im Choi, "The Effects of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of Functional Activities to Unilateral Neglect and ADL in Person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reation Society, Vol. 10, No. 12, pp. 2879-2997, 2009. 

  2. A. Farne, L. J. Buxbaum, M. Ferraro, F. Frassinetti, J. Whyte, T. Veramonti, V. Angeli, H. B. Coslett, E. Ladavas, "Patterns of spontaneous recovery of neglect and associated disorders in acute right brain-damaged patient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Vol. 75, No.10, pp.1401-1410, 2004. DOI : http://dx.doi.org/10.1136/jnnp.2002.003095 

  3. Sylvie Chokron, Eve Dupierrix, Matthias Tabert, Paolo Bartolomeo, "Experimental remission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Neuropsychologia, Vol. 45, Issue 14 pp. 3127-3148, 2007. DOI : https://doi.org/10.1016/j.neuropsychologia. 2007.08.001 

  4. Sang-Woo Han, Doc-Young Oh, Sin-Ae Song, Seu-La Ryu, Su-Kyoung Kim, "The Effect of Dynavision Rehabilitation on Visual Attention and Unilater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5. No. 3, pp. 73-82, 2007. 

  5. P. Plummer, M. E. Morris, J. Dunai, "Assessment of unilateral neglect", Physical Therapy, Vol. 83, Issue 8, pp. 732-740, 2003. DOI : https://doi.org/10.1093/ptj/83.8.732 

  6. M. Y. Kim, S. I. Chun, E. S. Park, J. J. Lee, J. H. Kim, "A Trial of Diagnostic Program Using a Computer for Unilateral Visual Neglec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5, No. 1, pp. 39-50, 2001. DOI : https://www.e-arm.org/journal/view.php?number2302 

  7. HO. Karnath, "Spatial attention systems in spatial neglect", Neuropsychologia, Vol. 75, pp. 61-73, 2015. DOI : https://doi.org/10.1016/j.neuropsychologia. 2015.05.019 

  8. Georg Kerkhoff, "Rehabilitation of visuospatial cognition and visual exploration in neglect: a cross-over study",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Vol. 12, No.1 pp. 27-40, 1998. 

  9. Yves Rossetti, Gilles Rode, Laure Pisella, Alessandro Farne, Ling Li, Dominique Boisson, Marie-Therese Perenin, "Prism adaptation to a rightward optical deviation rehabilitates left hemispatial neglect", Nature, Volume 395, Issue 6698, pp. 166-169, 1998. DOI : http://dx.doi.org/10.1038/25988 

  10. Johanna H. van der Lee, Robert C. Wagenaar, Gustaaf J. Lankhorst, Tanneke W. Vogelaar, Walter L. Deville, Lex M. Bouter, "Forced Use of the Upper Extrem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Results From a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Stroke, Vol. 30, No. 11, 1999. DOI : https://doi.org/10.1161/str.30.11.2369 

  11. Mary Warren, "A hierarchical mode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perceptual dysfunction in adult acquired brain injury, part 1",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47, No.1, pp. 42-54, 1993. DOI : 10.5014/ajot.47.1.42 

  12. Peter Klavora, Mary Warren, "Rehabilitation of visuomotor skills in poststroke patients using the Dynavision apparatu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 86 No. 1 pp. 23-30, 1998. DOI : https://doi.org/10.2466/pms.1998.86.1.23 

  13. Mylene C. Dault , Mirjam de Haart, Alexander C.H. Geurts, Ilse M.P. Arts, Bart Nienhuis, "Effects of visual center of pressure feedback on postural control in young and elderly healthy adults and in stroke patients", Human Movement Science, Vol. 22, No. 3, pp. 221-236, 2003. DOI : https://doi.org/10.1016/S0167-9457(03)00034-4 

  14. Byung-Hun Oh, Kwang-Woo Chung, Kwang- Seok Hong, "Gaze Recognition System using Random Forests in Vehicular Environment based on Smart-Phon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JIIBC), Vol. 15, No. 1, pp. 191-197, 2015. DOI : http://dx.doi.org/10.7236/JIIBC.2015.15.1.191 

  15. T. Schenkenberg, D. C. Bradford, E. T. Ajax, "Line bisection and unilateral visual neglect in patients with neurologic impairment", Neurology, Vol. 30, No.5, pp. 509-509, 1980. DOI : https://doi.org/10.1212/WNL.30.5.509 

  16. B. Zoltan,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 A manual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dult with acquired brain injur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ptometry, Vol. 84, Issue 10, pp. 934, 2007. DOI : 10.1097/OPX.0b013e3181580dbc 

  17. T. Tanaka, S. Sugihara, H. Nara, S. Ino, T. Ifukube, "A preliminary study of clinical assessment of left unilateral spatial neglect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system (HMD) in rehabilitation engineering technology",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 2, No. 31, pp. 1-9, 2005. DOI : https://doi.org/10.1186/1743-0003-2-31 

  18. Christian Eichhorn, David A. Plecher, Gudrun Klinker ,Martin Lurz, Nadja Leipold, Markus Bohm, Helmut Krcmar, Angela Ott, Dorothee Volkert, Atsushi Hiyama, "Innovative Game Concepts for Alzheimer Patient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Aspects of IT for the Aged Population, Springer, Cham, pp. 526-545, 2018. DOI : https://doi.org/10.1007/978-3-319-92037-5_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