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ximate compositions,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ng-bean cultivars cultivated in the north-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with different seeding periods were evalu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proximate compositions and chromaticity of mung-beans accordi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두의 생산지역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중 북부 지역에서 생산된 녹두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검토하였다. 녹두의 일반성분 함량과 색도는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 Jangan) 품종은 무광택 종피의 소립, 다수성으로 바구미 저항성이 인정되어 1999년에 육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북부 지역에서 생산된 녹두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검토하여 추후 생산지역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두의 성분은? )는 아열대성 콩과작물로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고(Kim 등 2008), 종피 색에 따라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 빛을 띤 갈색 녹두 등으로 구분되며, 녹색 녹두가 90%를 차지한다(Kim 등 2013). 녹두는 당질(45~62%)과 단백질(20~28%)로 이루어져 있어 지방함량(1% 내외)이 낮고, 비교적 전분함량이 높아 쌀과 함께 부식 소재로 쓰이거나, 숙주나물과 빈대떡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Noh 등 2001; Imm & Kim 2010).
녹두의 기능성의 종류는? 녹두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녹두의 이소플라본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혈전용해 활성을 평가하였으며(Oh 등 2001; Kim 등 2007), 녹두 나물 생즙이 카드뮴에 의한 쥐 간 손상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Choi등 1998), 녹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항변이성 및 변이원성에 대한 비교 연구에서는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하여 유의적인 항변이성을 나타냈으며, 지시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나타났다(Chang 등 2002). 녹두 에탄올 추출물이 백내장, 동맥경화, Alzheimer’s disease의 질환과 관련이 있는 진행성 당화 종말생성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Peng 등 2008). 또한, 녹두 껍질에 특이적으로 함유된 vitexin과 isovitexin의 항산화 활성(Kim 등 2008; Kim 등 2010),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Imm & Kim 2010; Wi 등 2012)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flavonoid 류 등 기능성 물질은 특정 부위에 상대적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고(Kim & Kim 1996), 품종, 지역, 연차 및 온도 등의 재배조건에 따라 함량 변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Hoeck 등 2000; Kitamura 등 1991).
녹두의 특징은? 녹두(Phaseolus radiatus L.)는 아열대성 콩과작물로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고(Kim 등 2008), 종피 색에 따라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 빛을 띤 갈색 녹두 등으로 구분되며, 녹색 녹두가 90%를 차지한다(Kim 등 2013). 녹두는 당질(45~62%)과 단백질(20~28%)로 이루어져 있어 지방함량(1% 내외)이 낮고, 비교적 전분함량이 높아 쌀과 함께 부식 소재로 쓰이거나, 숙주나물과 빈대떡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Noh 등 2001; Imm &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SM, Nam SH, Kang MY. 2002. Screening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timutagen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from l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115-1122 

  2. Choi IH, Kim SO, Kim KS, Lee MY. 1998. Effect of mung bean sprouts juice on cadmium-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980-986 

  3.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130-138 

  4. Eldridge AC, Kwolek WF. 1983. Soybean isoflavone: Effect of environment and variety on composition. J Agric Food Chem 31:394-396 

  5. Hoeck JA, Fehr WR, Murphy PA, Welke GA. 2000. Influence of genotype and environment on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Crop Sci 40:48-51 

  6. Imm JY, Kim SJ. 2010.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ng bean and soybea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755-761 

  7. Jeong MS, Ko JY, Song SB, Lee JS, Jung TW, Yoon YH, Oh IS, Woo KS.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using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785-1790 

  8. Jin YI, Hong SY, Kim SJ, Ok HC, Lee YJ, Nam JH, Yoon YH, Jeong JC, Lee SA. 2010.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29:381-387 

  9. Joo YH, Park JH, Kim YH, Choung MG, Chung KW. 2004. Change in anthocyanin contents by cultivation and harvest time in black-seeded soybean. Korean J Crop Sci 49:512-515 

  10. Jung CS, Kwon YC, Suh HS, Park YJ. 1996.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color-soybean collections. Korean J Crop Sci 41:302-307 

  11. Kanatt SR, Arjun K, Shama A. 2011.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egume hulls. Food Res Int 44:3182-3187 

  12. Kim DK, Chon SU, Lee KD, Kim JB, Rim YS. 2008.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279-284 

  13. Kim DK, Lee JY, Yoon CY, Lee YS, Kuk YI, Chon SU, Park IJ. 2003. Growth and green pod yield by sowing and acclimation dates in autumn green pea. Korean J Crop Sci 48:447-451 

  14. Kim DK, Son DM, Choi JG, Shin HR, Chon SU, Lee KD, Jung KY, Rim YS. 2011. Comparison in seed and sprout quality under different cropping patterns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56:212-218 

  15. Kim DK, Son DM, Choi JK, Chon SU, Lee KD, Rim YS. 2010. Growth property and seed quality of mungbean cultivars appropriate for labor saving cultivation. Korean J Crop Sci 55:239-244 

  16. Kim HM, Jang EK, Gwak BS, Hwang TY, Yun GS, Hwang SG, Jeong HS, Kim HS. 2018.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and classification using multivariate analysis in Korean soybean varieties released from 1913 to 2013. Korean J Breed Sci 50:50-60 

  17. Kim HS, Kim HS, Kim KH, Oh YJ, Suh SK, Park HK. 2005. Water absorption and germination ratio of sprout-soybean varietie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date. Korean J Crop Sci 50:132-135 

  18. Kim HS, Kim HS, Kim KH. 2006. Effects of sowing date for seed quality of sprout-soybean. Korean J Crop Sci 51: 152-159 

  19. Kim KJ, Kim KH, Kim YH. 1981.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II. Variation in distribution of flowering dates and pod setting ratio of soybean, azuki-bean and mungbean. Korean J Crop Sci 26:243-250 

  20. Kim MY, Lee SH, Jang GY, Kim HY, Woo KS, Hwang IG, Lee J, Jeong HS. 2013.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y of hydrolyzed mung 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34-39 

  21. Kim OM, Gu YA, Jeong YJ. 2007.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powders after various hydrolysis protocols. Korean J Food Preserv 14:301-307 

  22. Kim SR, Kim SD. 1996. Studies on soybean isoflavones. RDA J Agric Sci 38:155-165 

  23. Kitamura K, Ijita K, Kikuchi A, Kudou S, Okubo K. 1991. Low isoflavone content in some early maturinr cultivars, so called "summer-type soybeans" (Glycine max (L) Merrill). Japan J Breed 41:651-654 

  24. Ko MS, Hyon SW, Song CH, Kang YK. 1992. Effects of seed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37:461-467 

  25. Leach HW, McCowen LD, Schoch TJ. 1959. Structure of starch granule. I. Swelling and solubility patterns of various starches. Cereal Chem 36:534-544 

  26. Lee AR, Kim SK. 1992. Gelatinization and gelling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J Korean Soc Food Nutr 21:738-747 

  27. Lee KH, Kim HJ, Lee SK, Park HY, Sim EY, Cho DH, Oh SK, Lee JH, Ahn EK, Woo KS. 2017.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cook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rice supple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9:311-317 

  28. Lee SC, Jeong SM, Kim SY, Park HR, Nam KC, Ahn DU. 2006.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peanut hulls. Food Chem 94:489-493 

  29. No JH, Kim HS, Lee KA, Shin M. 2012.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Korean variety mung bean hull extracts as dependent on th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605-612 

  30. Noh MJ, Kwon JH, Byun MW. 2001. Water-soluble components of small red bean and mung bean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Korean J Food Sci Thechnol 33:184-189 

  31. Oh HS, Kim JH, Lee MH. 2001. Isoflavone content,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263-270 

  32. Peng X, Zheng Z, Cheng KW, Cheng KW, Shan F, Ren GX, Chen F, Wang M. 2008. Inhibitory effect of mung bean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vitexin and isovitexin on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Food Chem 106:475-481 

  33. Shin DS, Choi YJ, Jeong ST, Sim EY, Lee SK, Kim HJ, Woo KS, Kim SJ, Oh SK, Park HY.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makgeolli with barley and wheat. Korean J Food Nutr 29:565-572 

  34. Wang H, Murphy PA. 1994. Isoflavone composition of American and Japanese soybeans in Iowa: Effects of variety, crop year, and location. J Agric Food Chem 42:1674-1677 

  35. Wi E, Park J, Shin M. 201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y of Korean organic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Cook Sci 29:785-794 

  36. Wi H, Choi M, Choi S, Kim AJ, Lee M. 2012. Effects of vitexin from mung bean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gulation according to adipocytokine secre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079-1085 

  37. Woo KS, Song SB, Ko JY, Kim YB, Kim WH, Jeong HS. 2016. Antioxidant properties of adzuki bea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ccording to cultivated methods. Korean J Food Nutr 29:134-1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