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과일을 이용한 대추와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jube Wines Produced from Various Frui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5, 2018년, pp.696 - 702  

박정미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최원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박혜진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한봉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노재관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jube wines produced from various fruits (Campbell Early, aronia, apply). Before the preparation of jujube wine, jujube juice was extracted using hot water ($100^{\circ}C$, 2 hr). Different blends of jujube wines were produced by bl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Campbell Early),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 사과와 대추를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규명하여 와인 적성을 확인할 뿐 아니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대추와인 제품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란? 대추(Zizyphus jujuba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의 열매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중국은 전 세계 생산량의 90%를 생산하고 있다(Choi KS 1990; Hong 등 2010; Gao 등 2012).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용이하여 오래전부터 산간벽지뿐 아니라, 정원 등에서 재배되어온 과수 중에 하나로 해열, 강장, 완화제로 알려져 일찍부터 한약재 및 식품의 재료로 광범위하게 이용 되어 왔다(Min 등 1997).
대추 열매의 효능은? 대추 열매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며, 특히 비타민 C와 인 성분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Jo 등 2015), 각종 스테롤(sterol), 알칼로이드(alkaloid), 사포닌(saponin) 등의 약용 성분(Kwon 등 2000)과 함께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의 분비 등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2차대사 물질인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ate, adenosine, 3`-, 5`-cycli monophosphate)가 대추에만 포함되어 있고(Choi KS 1990; Lee 등 2005), 항산화 활 성(Jung & Noh 2006), 항암작용(Woo 등 2009), 진정작용(Han & Park 1987), 항알러지 작용(Yagi 등 1981)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양한 식음료들이 대추를 이용해 개발되어 대추 추출액을 첨가한 빵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Son 등 2003), 대추 추출물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Kwon 등 2000), 대추 식초 음료 생산을 위한 발효조건 최적화(Jo 등 2015), 대추 농축액을 이용한 데리야끼 소스 개발(Ahn 등 2012)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대추를 어떻게 사용해 왔는가? 대추(Zizyphus jujuba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의 열매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중국은 전 세계 생산량의 90%를 생산하고 있다(Choi KS 1990; Hong 등 2010; Gao 등 2012).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용이하여 오래전부터 산간벽지뿐 아니라, 정원 등에서 재배되어온 과수 중에 하나로 해열, 강장, 완화제로 알려져 일찍부터 한약재 및 식품의 재료로 광범위하게 이용 되어 왔다(Min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JB, Coi SH, Kim HR, Park ML, Lee SH, Kim DS. 2012. Development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Zizyphus jujube Miller) extracts. Korean J Cul Res 18:239-251 

  2.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pp.176-180. John Wiley & Sons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81:1199-1200 

  4.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10-1315 

  5. Choi JS, Yeo SH, Choi JH, Choi HS, Jeong ST. 2013. Quality properties of jujube Yakju based on the adding rate of dried jujube and storage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20:52-61 

  6.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 J Resour Fevelop 9:47-53 

  7. Choi SY, Cho HS, Kim HJ, Ryu CH, Lee JO, Sung NJ. 2006.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Korean J Food Nutr 19:311-317 

  8. Chung KT. 1979. Effect of bentonite and gelatin treatments on apple wine clearification. Res Rev Kyungpook Natl Univ 27:247-252 

  9. Denev PN, Kratchanov CG, Ciz M, Lojek A, Kratchanova MG. 2012. Bioavail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polyphenols: In vitro and in vivo evidences and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A review.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1:471-489 

  10. Eom HJ, Park JH, Lee SH, Jeong JE, Kim Y, Lee KH, Hoon EY. 2017.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varieties. Korean J Food Nutr 30:841-846 

  11. Gao QH, Wu CS, Yu JG, Wang M, Ma YJ, Li CL. 2012. Textural characteristic, antioxidant activity, sugar, organic acid, and phenolic profiles of 10 promising jujube (Ziziphus jujuba Mill.) selections. J Food Sci 77:1218-1225 

  12. Giusti MM, Wrolstad RE. 2001.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In Handbook of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pp.19-31. John Wiley & Sons 

  13. Han BH, Park MH. 1987. Sedative activity and its active components of Zizyphi fructus. Arch Pharmacal Res 10:208-211 

  14. Hong JY, Park MH, Shin SR. 2010. Study on the quality and process of jujube fruit jungkwa. Korean J Food Preserv 17:42-49 

  15. Jo Y, Han JW, Min DL, Lee YE, Choi YJ, Lim S. 2015. Optimiza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producing vinegar from extract of jujube (Zizyphus jujuba Mill.)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711-718 

  16. Jung SW, Noh WS. 2006.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349-356 

  17. Kang BT, Yoon OH, Lee JW, Kim SH. 2009. Qualitative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Korean J Food Nutr 22:548-553 

  18. Kang MY, Jeong YH, Eun JB. 1999.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grico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434-1439 

  19. Kim DJ, Kim SG, Kim MH, Lee HB, Lee JS. 2003. Analysis of trans-resveratrol contents of grape and grape products consum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5:764-768 

  20. Kim HA, Cho MH, Lee KH. 2009.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ine and imported w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593-602 

  21. Kim SJ, Chun MS.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nd soaked jujube wine. Korean J Food Nutr 23:332-341 

  22.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2000.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 Nutr 5:18-24 

  23.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Koh KH. 2002.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I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64-169 

  24. Lee JH, Kwon KI, Bae JH. 2005. Phyg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90-596 

  25.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06-212 

  26. Lu Y, Foo LY. 2000.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apple pomace. Food Chem 68:81-85 

  27. Min YK, Lee MK, Jeong HS.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rom different additional level of jujube fruit. J Appl Biol Chem 40:433-437 

  28. Park HJ, Min YK, Kim KY, Kang SW. 1998. Sterilization effects of hydrostaticpressure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on the jujube wine. Food Eng Prog 2:163-170 

  29. Park RD. 1987. Traditional Folk Liquor of Korea. p.67. Hyoilmunhwa 

  30. Rice-Evans C,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152-159 

  31. Son SS, Ji WD, Chung HC. 2003. Optimum condition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544-548 

  32. Urquiaga I, Leighton F. 2000. Plant polyphenol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Biol Res 33:55-64 

  33. Woo KS, Lee SH, Noh JW, Hwang IG, Lee YR, Park HJ, Lee J, Kang TS, Jeong SH. 2009.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dried jujub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244-251 

  34. Yagi A, Koda A, Inagaki N, Haraguchi Y, Noda K, Okamura N, Nishioka I.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Zizyphi fructus IV. Isolation of an anti-allergic component, ethyl ${\alpha}$ - D-fructoruranoside from EtOH extract of Zizyphi fructus. Yakugaku Zasshi: J Pharm Soc Jpn 101:700-707 

  35. Yoon HS, Park H, Park J, Jeon J, Jeong C, Choi W, Kim S, Park JM.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ronia wine. Korean J Food Nutr 30:599-608 

  36. Yoon HS, Park JM, Park H, Jeong C, Choi W, Park J, Kim S.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Korean J Food Nutr 29:538-5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