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뇌 경색 이후 발생한 병적 웃음과 울음 환자: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following Midbrain Infarction: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28 no.4, 2018년, pp.103 - 112  

문소리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박서현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안선주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금동호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PLC) is a condition defined by relatively uncontrollable episodes of laughter, crying or both. PLC is an uncommon symptom usually caused by cerebral lesions. Midbrain involvement causing PLC is extremely unusual and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this condition dev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의 환자는 중뇌부위의 경색을 진단받은 자로, 발병 1달 후부터 갑자기 울거나 웃는 등 조절되지 않는 감정표현의 삽화를 보였다. 이에 8주 이상의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본원 한방재활의학과에 내원하였고 침 치료와 박동성 전기자장치료로 구성된 한방복합치료를 시행한 후 PLC뿐만 아니라 반신 기능부전, 운동실조, 보행 장애 등의 증상에 호전을 보였기에 본 증례를 PLC 유발 기전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현재까지 중뇌부위 병변으로 발생한 감정조절장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이에 관한 정확한 기전 역시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저자는 현 증례를 보고함과 동시에 중뇌와 관련된 PLC 유발 기전에 대해 문헌 고찰을 하고자 한다.
  • 이에 요약하면, 본 증례는 대뇌-뇌줄기 하부, 대뇌-다리뇌-소뇌에 이르는 상⋅하행성경로 및 중뇌 솔기핵의 상행성 세로토닌 기전을 고려할 때 중뇌부위의 경색이 PLC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 한방치료 이후 관련 평가지표들의 개선을 확인함으로써 PLC의 치료에 대해 약물치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다양하고 새로운 방식의 치료적 접근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 중뇌와 관련된 감정조절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중뇌부위 병변과 동시에 감정 발화 장애를 보고한 임상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PubMed에서 2018년 8월까지 게재된 논문 중 제목과 초록을 대상으로 검색을 진행하였으며 검색어는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TIAB] OR “Pathological Laughter”[TIAB] OR “Pathological Laughing” OR “Pathological Crying”[TIAB] OR “Emotional Incontience” [TIAB] OR “Emotional Lability”[TIAB] OR “Involuntary Emotional Expression Disorder”[TIAB] OR “Psedobulbar Affect”[TIAB]) AND “Midbrain”[TIAB]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적 웃음과 울음이란 무엇인가? 병적 웃음과 울음(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PLC)은 감정적 자극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부적절한 웃음이나 울음이 갑작스럽게 터져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1). PLC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뇌졸중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서 나타나는데1-4), 뇌졸중은 PLC의 원인 중 약 11~34%를 차지하며 뇌졸중 발병 후 첫 1년 내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1,4).
PLC가 발생하면 일차적으로 약물치료로 어떠한 것을 사용하는가? PLC가 발생하면 일차적으로 약물치료를 적용한다1).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삼환계 항우울제, 그 외 다른 계열의 약물을 사용하며, 약물의 반응은 빠르게 나타날 경우 복용 첫 주 안에 완전히 치료되기도 하며 길게는 4~5주에 치료반응이 나타기도 한다1).
PLC의 발생기전이라고 최근 보고되고 있는 것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PLC의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러한 행동적 및 기질적 정신적 변화는 이마엽(frontal lobe) 앞 병변과 관련하여 주로 발생하며5-8), 이 외 관련 있는 뇌 구조물로 앞쪽 띠이랑(anterior cingulate gyrus), 속섬유막(internal capsule), 시상(thalamus), 시상하부(hypothalamus), 다리뇌 바닥부분(basilar part of pons), 소뇌(cerebellum) 등이 최근 보고되고 있다4). 하지만 중뇌부위 병변으로 발생한 PLC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으며 이에 한방학적 치료를 시도한 사례는 더욱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JH, Nam BW, Choi JY.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13;21(2):93-8. 

  2. Wang GY, Teng F, Chen YH, Liu Y, Li Y, Cai L, Zhang X, Nie Z, Jin L. Clinical features and related factors of poststroke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2016;25(3):556-64. 

  3. Lauterbach EC, Cummings JL, Kuppuswamy PS. Toward a more precise, clinically-infomed pathophysiology of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2013;37(8):1893-916. 

  4. Parvizi J, Coburn KL, Shillcutt SD, Coffey CE, Lauterbach EC, Mendez MF. Neuroanatomy of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a report of the Americ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Committee on research.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9;21(1):75-87. 

  5. Norihiro S. Technique of neurologic examination and process for localization in clinical neurology. 1st ed. Seoul:Median Books Publication. 2013:204-41. 

  6. Brandstater ME, Basmajian JV. Stroke Rehabilitation. 1st ed. Philadelphia:Williams & Wilkins. 1984:318-29. 

  7. Chaudhry N, Puri V, Patidar Y, Khwaja GA. Pathological laughter associated with paroxysmal kinesigenic dyskinesia: a rare presentation of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Epilepsy Behav Case Rep. 2013;1:14-9. 

  8. Dabby R, Watemberg N, Lampl Y, Eilam A, Rapaport A, Sadeh M. Pathological laughter as a symptom of midbrain infarction. Behav Neurol. 2004;15(3-4):73-6. 

  9. Robinson RG, Parikh RM, Lipsey JR, Starkstein SE, Price TR. Pathological laughing and crying following stroke: validation of a measurement scale and a double-blind treatment study. Am J Psychatry. 1993;150(2):286-93. 

  10. Kim BR, Lee JY, Kim MJ, Jung HJ, Lee JM. Korean version of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and Rating of Ataxia in ataxic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2014;38(6):742-51. 

  11. Jung HY, Park BK, Shin HS, Kang YK, Pyun SB, Paik NJ, Kim SH, Kim TH, Han TR.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 Korean Acad Rehab Med. 2007;31(3):283-97. 

  12. Morris EB, Phillips NS, Laningham FH, Patay Z, Gajjar A, Wallace D, Boop F, Sanford R, Ness KK, Ogg RJ. Proximal dentatothalamocortical tract involvement in posterior fossa syndrome. Brain. 2009;132(11):3087-95. 

  13. Finkelstein Y, Zhang N, Fitsanakis VA, Avison MJ, Gore JC, Aschner M. Differential deposition of manganese in the rat brain following subchronic exposure to manganese: a T1-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Isr Med Assoc J. 2008;10(11):793-8. 

  14. Cao Z, Lv J, Ding Z, Du H. Pathological laughter in a patient with Rathke cleft cyst. J Clin Neurosci. 2008;15(11):1279-82. 

  15. Murai T, Barthel H, Berrouschot J, Sorger D, von Cramon DY, Muller U. Neuroimaging of serotonin transporters in post-stroke pathological crying. Psychiatry Res. 2003;123(3):207-11. 

  16. Tsutsumi S, Hatashita S, Kadota Y, Abe K, Ueno H. Tentorial meningioma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laughter-case report. Neurol Med Chir (Tokyo). 2000;40(5):272-4. 

  17. Keller R, Torta R, Lagget M, Crasto S, Bergamasco B. Psychiatric symptoms as late onset of Wilson's disease: neuroradiological finding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Ital J Neurol Sci. 1999;20(1):49-54. 

  18. Bauer G, Gerstenbrand F, Hengl W. Involuntary motor phenomena in the locked-in syndrome. J Neurol. 1980;223(3):191-8. 

  19. Parvizi J, Anderson SW, Martin CO, Damasio H, Damasio AR. Pathological laughter and crying: a link to the cerebellum. Brain. 2011;124(9):1708-19. 

  20. Morgane PJ, Galler JR, Mokler DJ. A review of systems and networks of the limbic forebrain/limbic midbrain. Progress in Neurobiology. 2005;75(2):143-60. 

  21. Lee WT, Park KA. Medical Neuroanatomy. 2nd ed. Seoul: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08:375,544. 

  22. Kin HS, Moon SG, Park SU, Han CH. Integrated clinical approach to stroke. 2nd ed. Seoul:Jeong Dam. 2007:367-409. 

  23. Zhu W, Ye Y, Liu Y, Wang XR, Shi GX, Zhang S, Liu CZ. Mechanisms of acupuncture therapy for cerebral ischemia: an evidence-based review of clinical and animal studies on cerebral ischemia. J Neuroimmune Pharmacol. 2017;12(4):575-92. 

  24. Choi JH, Kim LH, Yun JM, Moon BS. Study of clinical research acupuncture treatment on post-stroke depress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011;25(6):1119-28. 

  25. Xie Z, Cui F, Zou Y, Bai L. Acupuncture enhances effective connectivity between cerebellum and primary sensorimotor cortex in patients with stable recovery strok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1-9. 

  26. Kim EJ, Sim KC. The neuro-regeneration effect of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and rTMS in SCI induced rats. J Korean Health and Fundamental Med Sci. 2013;6(2):53-9. 

  27. Cha HG, Kim MK, Nam HC, Ji SG. Effects of high frequency repetitive magnetics stimulation on func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Magnetic. 2014;19(2):19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