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PC 기반 특허 기술 분류 분석 모델
A Study of CPC-based Technology Classification Analysis Model of Pat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0, 2018년, pp.443 - 452  

채수현 (국립군산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공학과) ,  김장원 (국립군산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지식재산권의 확보는 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점점 더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특허는 기업의 핵심 기술 및 요소 기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특허 분석을 통한 기업 가치 측정 및 경쟁 기술 분야 분석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특허분류(IPC)를 기반으로 다양한 특허 분석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IPC는 최신의 기술 분야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기술의 상세 분류가 충분하지 않아 기술 분류 정확도가 낮아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신의 기술 분야를 포함하고 상세한 기술 분류를 위한 선진특허분류(CPC)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특허 분석 연구가 아직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CPC의 상세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특허에 포함된 기술 분류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CPC의 상세 분류체계간의 연관관계 중요도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출원인의 특허를 분석하여 핵심 기술 분류 추출을 통해 기존 IPC 기반의 방법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의 IPC 기반의 특허 분석 방법과 비교 평가를 통해 제안 모델이 출원인의 핵심 기술 분류를 분석함에 있어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explosively increas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ur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is more and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since patents include core technologies and element technologies, patent analysis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to measure the technologica...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2015년 1월 이후 모든 신규 출원 특허에 CPC가 부여되고 있으며 2018년 7월 현재 한국특허정보원(Kipris)에서 제공되는 약 111만 건의 국내 특허에 CPC가 부여되고 있지만 CPC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출원인의 핵심 기술 분류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CPC 기반 특허 기술 분류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IPC 기반의 핵심 기술 분류 도출 방법과 비교 분석을 통해 CPC의 유용성을 보이며, CPC를 통해 기업의 핵심 기술 분류를 보다 상세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 ANP는 다기준 의사결정 분석방법(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rking)중 하나로 각 의사결정 요소를 네트워크 구조로 만들어 의사결정 요소 간 복잡한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11]. 본 논문에서는 ANP 기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의사결정 요소를 CPC 코드들로 대응하여 핵심 기술 분류를 분석한다. 연관 규칙 분석을 통해 도출된 지지도 행렬을 통해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네트워크 모형 구축, 그리고 쌍대 비교를 하여 분류 코드별 중요도 값을 도출한다.
  • 분류체계 기반의 특허 분석 연구 또한 제안되었으나 CPC 기술 분류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CPC 기술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특허의 핵심 기술 분류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 IPC 기반의 기존 연구 방법과 비교하여 CPC 기술 분류 체계의 유용성 및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개의 출원인을 대상으로 IPC와 CPC 기술 분류 각각에 대한 핵심 기술 분류를 도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CPC를 기반으로 한 핵심 기술 분류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그림 1]은 핵심 기술 분류 도출을 위한 구성요소의 개요를 나타내며 특허 데이터 수집, 특허 데이터 정제 및 처리, 특허 데이터 분석, 그리고 핵심 기술 분류 도출 및 비교 평가의 4단계로 구성된다.
  • DEA의 결과로 도출되는 효율성 값은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대상 변수들 간의 상대적 효율성이 높으므로 이를 출원인의 핵심 기술 분류로 추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기술 분류를 나타내는 CPC 기술 분류 코드의 중요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CPC 코드들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점수가 높은 코드를 핵심 기술 분류로 추출한다. 이를 위해 ANP를 통해 계산된 출원인의 CPC 코드별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를 산출 요소로 사용하며 투입 요소를 고정시켜 투입 요소와 산출 요소의 관계가 가변규모수익인 BCC모형과, 산출 요소를 최대화하는 산출 지향(output-oriented)모형을 이용하여 출원인 별 핵심 기술 분류 코드를 도출한다.
  • CPC 기술 분류는 [그림 2]와 같이 섹션(section), 클래스(class), 서브클래스(sub-class), 메인그룹(main-group), 서브그룹(sub-group), 서브 그룹 이하의 계층적 구조로 기술을 분류하며 코드 형태로 기술 분류를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 CPC 코드 기반의 출원인의 핵심 기술 분류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표 1]과 같이 정제과정을 수행한다. 한 개의 특허는 한 개 이상의 CPC 분류 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각 분류 코드는 서브 그룹 이하까지 상세하게 표현될 수 있다.
  • 이처럼 IPC를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최근 기술의 발전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기 정의된 IPC로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표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에 대응할 수 없으며, 서로 다른 나라에서 출원되는 특허들의 기술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안으로 CPC가 개발되었다. CPC는 IPC 체계를 기반으로 다양하고, 세부적으로 확장된 체계로 국내에서는 2015년 이후 발명 특허부터 CPC가 부여되었으나 최근에는 2013년 이전의 특허에도 CPC가 부여되어 과거 개발된 특허에 대한 분류 및 정보 검색에 CPC를 활용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PC 기술 분류는 기술을 어떻게 분류하는 가? CPC 기술 분류는 [그림 2]와 같이 섹션(section), 클래스(class), 서브클래스(sub-class), 메인그룹(main-group), 서브그룹(sub-group), 서브 그룹 이하의 계층적 구조로 기술을 분류하며 코드 형태로 기술 분류를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 CPC 코드 기반의 출원인의 핵심 기술 분류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표 1]과 같이 정제과정을 수행한다.
어떤 특허 분석 기법들이 연구되었는 가? 그러므로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 기술 및 기업 별 요소 기술들을 상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특허 분석 기법들이 연구되었으며, 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특허기술 용어를 분석하는 방법[3][4], 그리고 특허 발명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특허 발명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5][6]. 그렇지만 특허가 발명되기 위해서는 신규성, 진보성 등이 있어야하기 때문에 특허 내 표현되는 기술 용어의 경우 유사한 기술에 대한 권리를 주장함에도 서로 다른 용어로 표현되는 특성이 있다.
대안으로서 CPC가 개발된 이유는? 도출된 기술 중요도 값은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방법을 통해 핵심기술을 도출한다. 이처럼 IPC를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최근 기술의 발전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기 정의된 IPC로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표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에 대응할 수 없으며, 서로 다른 나라에서 출원되는 특허들의 기술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안으로 CPC가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Z. Griliches, A. Pakes, and B. H. Hall, The Value of Patents as Indicators of Inventive Activity, Economic Policy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ntents Pub, 1987. 

  2. 전기억, "특허 빅데이터를 활용한 R&D 전략과 특허분쟁 대응," 전자공학회지, 제41권, 제9호, pp.64-72, 2014. 

  3. 남성현, 김광수, "유사특허의 청구항 기반 특허분석법,"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248-2252, 2015. 

  4. 노태연, 정유진, 윤병운, "LSA와 연관규칙 마이닝기반의 특허 서술형태 분석을 통한 선택적 기술정보 도출,"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pp.2949-2966, 2016. 

  5. 안성준, 김종찬, 이준혁, 박상성, 장동식, "특허정보를 활용한 기업 기술동향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25권, 제1호, pp.13-14, 2015 

  6. 이원상, 손소영,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대용량 삼극특허 분석 기반의 기술융복합 패턴 예측,"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pp.1153-1170, 2013. 

  7. 김철현, "핵심 기술 파악을 위한 특허 분석 방법: 데이터 마이닝 및 다기준 의사결정 접근법,"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13-220, 2014. 

  8. 김현우, 김종찬, 이준혁, 박상성, 장동식, "핵심 기술 및 특허 추출을 위한 IP 마이닝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5권, 제4호, pp.392-397, 2015. 

  9. 이경래, 이준석, 박상성, "IPC코드 기반의 기술이전 특허의 기술관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25권, 제2호, pp.181-182, 2015. 

  10. 강지호, 김종찬, 이준혁, 박상성, 장동식, "IoT와 Wearables 기술융합을 위한 특허동향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5권, 제3호, pp.306-311, 2015. 

  11. T. L. Saaty, "Decision ma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 of services sciences, Vol.1, No.1, pp.83-98, 2008. 

  12. 서창적, 이정식, "DEA 모형을 활용한 전자소매 점포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 - S전자 소매점포를 대상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43-268, 2014. 

  13. 조남권, 김규환, 이석진, "DEA를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R&D 효율성 분석," 지식재산연구, 제13권, 제2호, pp.207-236, 2018. 

  14. J. Simm, G. Besstremyannaya, and M. J. Simm, Package 'rDEA', 2016. https://github.com/jaak-s/rDEA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