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도복숭아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nd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of Nectarine Vinega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10 = no.222, 2018년, pp.1193 - 1200  

정경임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한나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나연 (한국전통발효문화연구원)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천도복숭아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작용,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을 알아보았다. 천도복숭아식초의 pH는 3.70이였고, 당도는 $8.87^{\circ}Brix$였으며, 총산도는 6.29%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유기산 분석 결과 acetic acid가 32.42 mg/m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lac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총 페놀함량은 $121.84{\mu}g\;TAE/100ml$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40% 농도에서 84.47%의 소거능을 보였다. SOD 활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89.06%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천도복숭아식초 100% 농도, pH 1.2, 3.0, 6.0에서 각각 94.17, 76.91, 20.21%로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 식초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DH 활성 및 ALDH 활성을 분석한 결과, ADH 활성 및 ALDH 활성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각각 153.61%와 178.2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천도복숭아식초는 기능성 건강음료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tive, nitrite-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sm enzyme activities of nectarine vinegar prepared by a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 The pH of nectarine vinegar was 3.70, the sugar content was $8.87^{\circ}Brix$, and the t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방법으로 천도복숭아 식초를 제조하여 pH와 당도 및 총산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유기산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효과와 알코올 분해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초의 유효 성분의 효능은 무엇인가? 알코올 발효 및 초산 발효를 통해 만들어지는 식초는 신맛의 초산성분을 비롯하여 유기산과 ester, 아미노산 및 각종 영양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데[9], 식초는 원료 및 제조방법에 따라 유기산과 유리아미노산 등 휘발성 성분의 함량 및 조성이 다르고 전통 초산발효에 의해 유효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용성분들은 amylase 활성 저해와 대사 활성화를 통해 당뇨병, 만성질환 예방 및 체지방 감소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14, 37], 또한 항고혈압, 항산화 활성, 피로회복, 미백효과 등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산미료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음료 등의 기능성식품으로 활용 되고 있다[15]. 식초에 대한 연구로는 배[31], 복분자[15], 레몬그라스[37], 참다래[36], 보리수 열매[4], 흑마늘[34]을 이용한 연구가 있으나 천도복숭아를 이용한 식초제조 및 식초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천도복숭아에 함유된 성분은 무엇인가? 따뜻한 온대지역에서 약 2,000년 전부터 재배되기 시작한 천도복숭아는 승도 또는 숭도라고도 불리는데, 일반 복숭아와는 달리 껍질에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38]. 천도복숭아에는 수분 90.2%, 단백질 1.2%, 지질 0.2%, 당질 7.6%, 섬유도 0.6%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미량성분으로는 가식부 100 g당 칼륨 189 mg, 비타민 C 6 mg, 비타민 B 1 과 B 2 각각 0.02 mg, 베타카로틴 12 μg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복숭아의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나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독특한 향이 있고,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으며[7] 변비 해소[5]와 항노화 및 미백효과[16], 피로회복, 숙취해소 및 만성퇴행성질환 등의 예방 효과[1]가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도복숭아가 가지는 껍질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건강증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섭취 식품의 영양적 및 기호적 기능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을 가진 과일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7]. 따뜻한 온대지역에서 약 2,000년 전부터 재배되기 시작한 천도복숭아는 승도 또는 숭도라고도 불리는데, 일반 복숭아와는 달리 껍질에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38]. 천도복숭아에는 수분 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lock, G., Patterson, B. and Subar, A. 1992. Fruit, vegetable, cancer prevention: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Nutr. Cancer 18, 1-29.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3. Choi, J. T., Joo, H. K. and Lee, S. K. 1995.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gri. Chem. Biotech. 38, 278-282. 

  4. Cho, K. M., Hwang, C. E. and Joo, O. S. 2017.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during the vinegar fermentation of Elaeagnus multiflora fruit. Kor. J. Food Preserv. 24, 125-133. 

  5. Chung, J. H., Mok, C. K., Lim, S. B. and Park, Y. S. 2003. Change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of peach wine and quality improvement by ultrafiltr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2, 506-512. 

  6. Jung, K. M., Choi, M. A. and Park, S. I. 2017. Effect of oligosaccharid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preserved in sugar. Culinary Sci. Hospitality Res. 23, 163-172. 

  7. Jung, K. M., Kim, S. H., Jeong, Y. J. and Choi, M. A.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 of sugar preserved wild peach (Prunus persica L.) juice by enzymatic treatment. Culinary Sci. Hospitality Res. 23, 25-33. 

  8. Chung, N. H., Jo, Y. H., Gao, Y. P., Gu, S. Y., Jeong, Y. J. and Kwon, J. H. 2015.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urally-fermented commercial rice vinegars produced in Korea, China, and Japan. Kor. J. Food Cook Sci. 44, 1799-1805. 

  9. Gil, B. I. 200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s produced by traditional and industrial manufacturing method. J. Nat. Sci. 11, 1-7. 

  10. Gray, J. I. and Dugan, J. R. L. 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1. Hong, D. W., Shin, S. W. and Chun, J. Y. 201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citrus fruit vinegar products. Kor. J. Food Cook Sci. 33, 420-426. 

  12. Hong, S. M., Kang, M. J., Lee, J. H., Jeong, J. H., Kwon, S, H. and Seo, K. I. 2012.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 J. Food Preserv. 19, 594-603. 

  13. Hong, T. G., Lee, Y. R., Yim, M. H. and Hyun, C. N. 2004.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Kor. J. Food Preserv. 11, 94-99. 

  14. Hwang, J. Y., Cho, H. J. and Pyo, Y. H. 2016. Effect of unpolished rice vinegar containing monascus-fermented soybean on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elastase. J. Kor. Soc. Food Sci. Nutr. 45, 149-154. 

  15. Jeong, E. J., Park, H. J. and Cha, Y. J. 2016. Fermented production of onion vinegar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Kor. J. Food Nutr. 29, 962-970. 

  16. Kim, K. H., Kim, D. M., Yu, S. and Yook, H. S. 2012.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unripe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J. Kor. Soc. Food Sci. Nutr. 41, 156-160. 

  17. Kim, M. J. and Park, E. J. 2011.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J. Kor. Soc. Food Sci. Nutr. 40, 1053-1062. 

  18. Kim, N. M., Lee, J. W., Do, J. H. and Yang, J. W. 2003.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Kor. J. Food Sci. Technol. 35, 272-279. 

  19. Kim, S. M., Kang, S. H., Ma, J. Y. and Kim, J. H. 2006. A study on the extraction and efficacy of bioactive compound from Hovenia dulcis. Kor. J. biotechnol. Bioeng. 21, 11-15. 

  20. Koivula, T. and Koivusalo, M. 1975. Different fro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lar distribution. Biochim. Biophys. Acta. 397, 9-23. 

  21. Lee, J. A.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powder. Culinary Sci. Hospitality Res. 22, 108-120. 

  22. Lee, K. S., Kim, G. H., Seong, B. J., Kim, H. H., Kim, M. Y. and Kim, M. R. 2009. Effects of aqueous medicinal herb extracts and aqueous fermented extracts on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 J. Food Preserv. 16, 259-265. 

  23. Lee, S. J., Chung, M. J., Shin, J. H. and Sung, N. J. 2000. Effect of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J. Fd. Hyg. Safe 15, 88-94. 

  24. Lee, S. J., Shin, J. H., Chung, M. J. and Sung, N. J. 2000. Effect of natural foods on the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J. Fd. Hyg. Safe 15, 95-100. 

  25. Lee, Y. C. and Lee, J. H. 2000. A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strength vinegar. Food Industry Nutr. 5, 13-17. 

  26.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7. Moon, S. Y., Chung, H. C. and Yoon, H. N.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28. Noh, K. S., Yang, M. O. and Cho, E. J. 2002.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Umbelliferaeceae. Kor. J. Soc. Food Cookery Sci. 18, 8-12. 

  29. Park, E. M., Lee, H. J. and Jung, Y. K.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rice pear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1041-1048. 

  30. Park, E. M., Ye, E. J., Kim, S. J., Choi, H. I. and Bae, M. J. 2006.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 J. Food Cult. 21, 71-75. 

  31. Park, Y. O.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inegars using pear. Kor. J. Food Preserv. 23, 778-787. 

  32. Park, Y. O. 2018. Quality comparison of natural fermented vinegar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raw materials. J. Kor. Soc. Food Sci. Nutr. 47, 46-54. 

  33. Racker, E. 1955. Alcohol dehydrogenase from bakers yeast. Methods Enzymol. 1, 500-503. 

  34. Sim, H, J., Seo, W. T., Choi, M. H., Kim, K. H., Shin, J. H. and Kang, M. J.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black garlic. Kor. J. Food Cook Sci. 32, 16-26. 

  35. Singleton, V. L., Orthofer, R. and Lamuela-Raventos, R. 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a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36. Woo, S. M., Kim, O. M., Choi, I. W., Kim, Y. S., Choi, H. D. and Jeong, Y. J. 2007.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kiwi vinegar. Kor. J. Food Preserv. 14, 100-104. 

  37. Yi, M. R., Kang, C. H. and Bu, H. J. 2017.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mongrass vinegar. Kor. J. Food Preserv. 24, 680-687. 

  38. Youn, S. J., Lee, E. T., Cho, J. G. and Kim, D. J. 2010. Effect of enzym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of nectarine beverage. J. Kor. Soc. Food Sci. Nutr. 39, 1379-1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