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임종에 관한 간호사의 인식과 이직 의도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related to End-of-Life Care and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4, 2018년, pp.353 - 363  

백숙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서울대학교병원) ,  강숙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in end-of-life care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among 111 hospital nurses.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were m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의 아동 임종 간호에 대한 인식과 경험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임종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와 임종 간호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이직 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임종에 관한 간호사의 인식과 이직 의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국내에서도 환아 생애 말기의 질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임종 간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14], 간호사의 임종 간호 수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임종을 앞둔 환아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이직 의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보다 나은 아동 임종 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 임종 간호의 경우 제공해야하는 간호는? 임종 간호란 완화 간호의 일부로써 임종 환자의 삶의 질과 개인적 위엄을 유지하며, 임종의 순간을 평온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에게 총체적인 돌봄을 제공하여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다[3,4]. 아동 임종 간호의 경우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간호를 제공해야 하고, 대상자로 아동의 가족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개별적이면서도 가족 중심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5,6]. 아동의 임종 간호는 언어 장벽, 불확실한 진단, 가족 구성원이 환아의 상태를 인정하는지 여부, 보호자의 적극적인 참여, 시간 제약 등의 특수한 요인을 포함한다[4].
간호사가 임종 상황에서 윤리적 갈등과 도덕적 고뇌를 겪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 규모 점수가 가장 높은 장애요인인 ‘환아가 회복할 가망이 없는데도 고통스러운 치료나 검사를 지속하는 경우‘는 도덕적인 갈등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부모들은 환아의 상태를 믿을 수 없고, 죽음에 임박한 순간까지 적극적인 치료를 계속하길 원하며, 이로 인해 임종을 준비할 시기를 놓치기도 한다[14]. 또한 환아의 질환 특성상 질병의 진행단계나 종합적인 진단이 어려워 의료진도 환아의 생존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를 지속하게 된다[17]. 그러나 이러한 주치의와 가족의 의견과는 다르게 간호사는 환아의 피할 수 없는 생명연장 치료에 대해 좌절감을 느낄 때 도덕적 갈등이 일어난다고 보고되고 있다[18]. 이는 의사의 처방이나 가족의 요구로 아동에게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무의미한 치료 행위를 지원하면서 도덕적 고뇌나 윤리적 딜레마를 느끼게 되며, 이를 임종 간호 장애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사가 임종 상황에서 윤리적 갈등과 도덕적 고뇌를 해소할 수 있고, 환아가 편안한 임종을 맞이하도록 도울 수 있는 윤리적 방향성에 대한 제도와 교육이 필요하다.
임종 간호란 무엇입니까? 2%가 의료기관에서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아동을 위한 적절한 임종 간호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1]. 임종 간호란 완화 간호의 일부로써 임종 환자의 삶의 질과 개인적 위엄을 유지하며, 임종의 순간을 평온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에게 총체적인 돌봄을 제공하여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다[3,4]. 아동 임종 간호의 경우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간호를 제공해야 하고, 대상자로 아동의 가족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개별적이면서도 가족 중심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6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August 3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59243&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0. 

  2. Yang SA.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5;6(4): 73-88. https://doi.org/10.15207/JKCS.2015.6.4.073 

  3. Woo YW, Kim KH, Kim K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16(1):33-41. https://doi.org/10.14475/kjhpc.2013.16.1.033 

  4. Bergstraesser E, Zimmermann K, Eskola K, Luck P, Ramelet A, Cignacco E. Paediatric end-of-life care needs in Switzerland: Current practices, and perspectives from parents and professionals. A study protoco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5;71(8):1940-1947. https://doi.org/10.1111/jan.12650 

  5. Mullen JE, Reynolds MR, Larson JS. Caring for pediatric patients' families at the child's end of life. Critical Care Nurse. 2015;35(6):46-56. https://doi.org/10.4037/ccn2015614 

  6. Tirgari B, Forouzi MA, Razban F, Alimirzaei R. Difficulties felt by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in Southeast Ir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2016;18(5):443-449. https://doi.org/10.1097/NJH.0000000000000273 

  7. Contro NA, Larson J, Scofield S, Sourkes B, Cohen HJ. Hospital staff and family perspectives regarding quality of pediatric palliative care. Pediatrics. 2004;114(5):1248-1252. https://doi.org/10.1542/peds.2003-0857-L 

  8. Park MH.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ositive think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pediatric nurse.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14;10(11):269-287. 

  9. Park SY, Ju HO, Lee G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rom children: Experiences of nurses caring for the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3):364-374. https://doi.org/10.4094/chnr.2017.23.3.364 

  10. Beckstrand RL. National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nd effect of incentives on survey response rates [dissertation]. Utah; The University of Utah; 2001. p. 1-190. 

  11. Im MS, Lee Y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1):37-44. https://doi.org/10.4094/chnr.2016.22.1.37 

  12. Vicente DA, Shadvar S, Lepage S, Rennick JE. Experienced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work-related stressors on general medical and surgical units: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6;60:216-22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6.05.005 

  13. Karanikola MNK, Albarran JW, Drigo E, Giannakopoulou M, Kalafati M, Mpouzika M, et al. Moral distress, autonomy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Ital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4):472-484. https://doi.org/10.1111/jonm.12046 

  14. Kang KA, Kim HS, Kwon SH, Nam MJ, Bang KS, Yu SJ, et al.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of Korea.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4;17(4):289-300.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4.289 

  15. Beckstrand RL, Rawle NL, Callister L, Mandleco BL.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oflife car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0;19(6):543-552. https://doi.org/10.4037/ajcc2009497 

  16. Yeun EJ, Kim H.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Nurse Turnover Intention Scale (N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56-266. https://doi.org/10.4040/jkan.2013.43.2.256 

  17. Davies B, Sehring SA, Partridge JC, Cooper BA, Hughes A, Philp JC, et al. Barriers to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Perceptions of pediatric health care providers. Pediatrics. 2008;121(2):282-288. https://doi.org/10.1542/peds.2006-3153 

  18. Beckstrand RL, Callister LC, Kirchhoff KT. Providing a "good death": Critical care nurses' suggestions for improving end-of-life car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6;15(1):38-45. 

  19. McConnell T, Porter S. The experience of providing end of life care at a children's hospice: A qualitative study. BMC Palliative Care. 2017;16(1):15. https://doi.org/10.1186/s12904-017-0189-9 

  20. Ji SI, You HS.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4;17(4):232-240.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4.232 

  21. Baek EK, Choi EJ.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ine ward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5;18(4):267-275.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4.267 

  22. Heyland DK, Dodek P, Rocker G, Groll D, Gafni A, Pichora D, et al. What matters most in end-of-life care: Perceptions of serious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6;174(5):627-633. https://doi.org/10.1503/cmaj.050626 

  23. Maijala H, Luukkaala T, Astedt-Kurki P. Measuring parents' perceptions of care: Psychometric development of a research instrument. Journal of Family Nursing. 2009;15(3):343-359. https://doi.org/10.1177/1074840709339167 

  24. Lee HR, Lee YO, Choi EY, Park YM.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Asian Oncology Nursing. 2007;7(1):26-35. 

  25. Peng NH, Lee CH, Lee MC, Huang LC, Chang YC, DeSwarte-Wallace J. Effectiveness of pediatric palliative care education on pediatric clinician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7;39 (12):1624-1638. https://doi.org/10.1177/0193945916680615 

  26. Kang KA, Kim SJ.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instrument for hospice care in families of the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5;7(1):57-68. 

  27. Yi YH, Yang HM. Nurse's grief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 bereavement/end-of-life care of families of dying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2):1045-1060. 

  28. Adwan JZ. Pediatric nurses' grief experie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4;29(4):329-336. https://doi.org/10.1016/j.pedn.2014.01.011 

  29. Kim JI, Son HM, Park IH, Shin HJ, Park JH, Cho MO, et al. Phenomenological study on burnout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who have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297-307. https://doi.org/10.4069/kjwhn.2015.21.4.297 

  30. Jin JH, Ju HO, Kim KS, Park YM. Effects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2):142-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