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
Stress due to End-of-Life Care,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4, 2018년, pp.475 - 483  

권은희 (동아대학교병원) ,  주현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정은옥 (동아대학교병원) ,  한춘희 (동아대학교병원) ,  임진주 (동아대학교병원) ,  이유리 (동아대학교병원) ,  정민승 (동아대학교병원) ,  박소연 (동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ress levels due to end-of-life care,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on their well-being. Methods: A total of 128 nurses in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정적 정서인 업무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 등을 다루었고[3,15],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방안 중의 하나로 업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연구가 최근 보고되었다[16]. 대처방식은 스트레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가 많이 경험하는 신생아의 임종을 스트레스 사건으로 설정하여 간호사가 인지하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이에 대한 개인의 대처방식을 살펴보고,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가 신생아의 임종을 경험하면서 받는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생아집중치료실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중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 대처방식과 그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 대처방식과 그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 정도를 파악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간호사는 행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통해 자기 자신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7]. 삶의 질이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상태를 의미하며[12], 안녕감(Well-being), 적응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안녕감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으로 구분하고, 주관적 안녕감은 삶에 대한 전반적이고 주관적인 평가이며,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으로 구성된다[13].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가 높은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원인은?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는 제한된 시간과 지속적인 요구 속에서 신생아의 통증과 고통을 마주하고 있으며, 과도한 업무 등으로 정서적 안녕을 위협받고 있고[2], 고도로 전문화된 환경 때문에 매우 높은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3]. 특히 영아 사망의56.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 대처방식과 그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을 파악한 결과는 무엇인가? 30점이었다. 대상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망적 사고, 문제집중 대처, 사회적 지지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는 소망적 사고를 덜 할수록, 문제집중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를 많이 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생아집중치료실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에게 자신의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을 나눌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해 주고, 문제집중 대처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ang BH, Jung KA, Hahn WH, Shim KS, Chang JY, Bae CW. Regional analysis on the incidence of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infant an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200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011;18(1):70-75. https://doi.org/10.5385/jksn.2011.18.1.70 

  2. Dessy E. Effective communication in difficult situation: Preventing stress and burnout in the NICU. Early Human Development. 2009; 85(10):S39-S41.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09.08.012 

  3. Braithwaite M. Nurse burnout and stress in the NICU. Advances in Neonatal Care. 2008;8(6):343-347. https://doi.org/10.1097/01.ANC.0000342767.17606.d1 

  4. Statistics Korea. Infant, maternal and perinatal mortality statistics 2015. Statistic Repor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December. Report No. 11-1240000-000652-10. 

  5. Kang HJ, Bang K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4):252-261. https://doi.org/10.4094/chnr.2013.19.4.252 

  6. Yam BM, Rossiter JC, Cheung KY. Caring for dying infants: Experiences of neonatal intensive care nurses in Hong Ko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1;10(5):651-659.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1.00532.x 

  7. Han KS, Kim JH, Lee KM, Park JS.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4; 13(4):430-437. 

  8. Lazarus RS, Launier R. Stress-related transactions between person and environment. In: Pervin LA, Lewis M, editors. 1st ed. Perspectives in interactional psychology. New York: Plenum; 1978. p. 287-327. 

  9.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1st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1984. p. 1-445. 

  10. Kim JH, Lee JH. The components and the relationship of stress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Behavioral Science Research. 1985; 7:127-138. 

  11. Kim JH. Lee CH.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88; 1(1):25-45. 

  12. Wiedebusch S, Pollmann H, Siegmund B, Muthny FA.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strains and coping in parents of children with haemophilia. Haemophilia. 2008;14(5):1014-1022. https://doi.org/10.1111/j.1365-2516.2008.01803.x 

  13. Ryff C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9;57(6):1069-1081. 

  14. Kim MS, Kim HW, Cha KH. Analysi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WB)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01;15(2):19-39. 

  15. Yu M. Work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1):115-126.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1.115 

  16. Moore BM, Schellinger K. An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coping in NICU Nurses.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018;32(3):275-285. https://doi.org/10.1097/JPN.0000000000000353 

  17. Soper DS. A-priori sample size calculator fo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ternet]. California: Free Statistics Calculators 4.0; 2006 [cited 2017 May 15] Available from: https://www.danielsoper.com/statcalc/calculator.aspx?id16. 

  18. Jang SH.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stress of end-of-life care for high-risk newbor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3. p. 1-58. 

  19. Ryff CD, Keyes CLM.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69(4):719-727. 

  20. Kain VJ. Palliative care delivery in the NICU: What barriers do neonatal nurses face? Neonatal Network. 2006;25(6):387-392. https://doi.org/10.1891/0730-0832.25.6.387 

  21. Lim JH.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danc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15;26(3):81-93. https://doi.org/10.14385/KSSP.26.3.81 ISSN 1226-685X 

  22. Kwon KJ, Lee SH.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yles as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383-393.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383 

  23. Kang HY, Choi EY. Stress, stress coping methods,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behavioral styles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3):289-297.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3.289 

  24. Moon H, Sung MH. Impact of ego-resilience,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E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4):268-276.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268 

  25. Park JA, Lee EK.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3):267-276. 

  26. Cho HA, Kang JM. Effect of resilience, coping, and mental health on burnout of student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8;24(2):199-207. https://doi.org/10.4094/chnr.2018.24.2.199 

  27. Welbourne JL, Eggerth D, Hartley TA, Andrew ME, Sanchez F. Coping strategies in the workplace: Relationships with attributional styl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7;70(2):312-325. https://doi.org/10.1016/j.jvb.2006.10.006 

  28. Howlett M, Doody K, Murray J, LeBlanc-Duchin D, Fraser J, Atkinson PR. Burnout in emergency department healthcare professionals is associated with coping style: A cross-sectional survey.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15;32(9):722-727. https://doi.org/10.1136/emermed-2014-2037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