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전 디지털 시스템으로 기존 교합을 보전한 All-on-4 임플란트 수복증례
All-on-4 implant restoration with full-digital system preserving existing occlusion: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6 no.4, 2018년, pp.330 - 337  

김경희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치과보철과) ,  정승미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치과보철과) ,  이예찬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치과보철과) ,  안설은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치과보철과) ,  최병호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치악 환자에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수복 치료는 그 효용성이 검증되었으나, 복잡한 치료과정이 수반된다. 반면, 현대 치의학에서 디지털 기술력은 나날이 발전하여 현재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치료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66세 하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에 대하여 진단부터 수술, 임시수복물 및 최종수복물의 디자인과 제작까지 디지털 시스템을 모든 단계에 이용하였다. 수술 전 진단단계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점막스캔과 환자의 안정적인 기존 총의치 교합을 토대로 임시수복물을 디자인하였다.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후에 사전제작한 임시수복물을 임플란트와 연결하여 즉시 임시수복물로써 사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된 임시수복물의 수직고경과 중심위를 이전하여 최종수복물을 디자인 및 제작 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수직고경과 교합을 보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치악환자에서 복잡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료의 간단한 프로토콜을 정립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edentulous patients, implant - supported fixed prosthesis treatment has been proved to be useful, but involves complex treatment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modern dentistry, digital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day by day and it has expanded its range to the implant restoration of eden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료의 목적은 디지털시스템을 사용하여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보철 치료를 행함에 있어서 진단 및 수술단계부터 최종보철물의 수복단계까지 각 과정의 통일성과 간단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정보를 디지털화하는데 쓰이는 기술을 무엇인가? 현대 디지털치의학은 점차 그 적용범위가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치과임플란트 치과분야에서 그 효용성을 높게 나타내고 있다.4,5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D/CAM) 기술을 통해 환자의 정보를 디지털화 하여 치료의 각 단계마다 정보의 이전이 용이해졌다. 보전된 환자의 정보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고, 진단결과 수립된 치료계획과 일치하는 보철수복치료를 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하악의치 사용이 상악보다 더 불편한 이유는? 총의치의 착용은 잔존 치조골 흡수를 야기할 수 있으며, 흡수량은 하악이 상악에 4배에 달한다.6 또한 하악의 경우 상악보다 의치지지면적이 작으며 혀의 움직임까지 동반하기 때문에 의치의 지지, 안정,유지 기능을 수행하기에 한계가 있다.7 이러한 이유로 환자들은 상악보다는 하악의치 사용에 많은 불편감을 나타낸다.
악골의 흡수 및 총의치 사용의 부적응으로 인한 의치사용에 제한이 있는 환자에게 좋은 대안은? 또한 악골의 흡수정도와 상관없이 자연치와 비교한 의치의 교합력 부족 및 의치 유동성으로 인하여 의치사용에 적응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있다. 악골의 흡수 및 총의치 사용의 부적응으로 인하여 의치사용에 제한이 있는 환자에게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2 무치악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은 그 기능에 있어서 효용성이 입증되었으나 수술부터 최종수복물 제작까지 각 과정이 복잡하여 술자와 환자 모두 치료과정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Wyatt CC. The effect of prosthodontic treatment on alveolar bone lo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Prosthet Dent 1998;80:362-6. 

  2. Kopp CD. Branemark osseointegration. Prognosis and treatment rationale. Dent Clin North Am 1989;33:701-31. 

  3. Zarb GA, Schmitt A. The longitudinal clinical effectivenes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the Toronto Study. Part II: The prosthetic results. J Prosthet Dent 1990;64:53-61. 

  4. Joda T, Bragger U. Digital vs. conventional implant prosthetic workflows: a cost/time analysis. Clin Oral Implants Res 2015;26:1430-5. 

  5. Papaspyridakos P, Gallucci GO, Chen CJ, Hanssen S, Naert I, Vandenberghe B. Digital versus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for edentulous patients: accuracy outcomes. Clin Oral Implants Res 2016;27:465-72. 

  6. Choi BH, Jeong SM. Digital flapless implantology. 1st ed., Seoul; Jisung Publishing, 2015. 

  7. Tallgren A. The continuing reduction of the residual alveolar ridges in complete denture wearers: a mixed-longitudinal study covering 25 years. J Prosthet Dent 1972;27:120-32. 

  8. Zarb G, Bolender C.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12th ed. St. Louis; Mosby; 2004. 

  9. Wismeijer D, van Waas MA, Kalk W. Factors to consider in selecting an occlusal concept for patients with implants in the edentulous mandible. J Prosthet Dent 1995;74:380-4. 

  10. Ting-Shu S, Jian S. Intraoral digital impression technique: A review. J Prosthodont 2015;24:313-21. 

  11. Ender A, Attin T, Mehl A. In vivo precision of conventional and digital methods of obtaining complete-arch dental impressions. J Prosthet Dent 2016;115:313-20. 

  12. Lee JH. Improved digital impressions of edentulous areas. J Prosthet Dent 2017;117:44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