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치조제 관계 진단 및 총의치 수복 증례
Interalveolar ridge crest relation analysis and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using dental CAD software: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7 no.1, 2019년, pp.31 - 36  

홍영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김종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심준성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령인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치악 환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방식의 의치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전통적인 방식의 의치에서 만족 할 만한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하악 치조제의 관계 및 형태에 맞춰 치아를 배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79세 여자 환자로 환자의 심리 및 경제적인 이유로 급여 의치 제작을 희망하였다. 치조골이 심하게 위축된 상태로 치조제 간의 위치관계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교합기에 부착한 주모형을 스캔하여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고, 프로그램 상에서 치조제 관계를 확인하여 치조정간선 법칙에 따라 구치부는 교차교합 형태로 배열하였다. 완성 후 정기적인 검사 및 치료 결과 의치는 적절한 안정과 유지를 보였으며 환자 역시 높은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치조제 간의 측방적 관계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진단 및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proportion of edentulous patients is increasing, and the demand for traditional dentures will also increase. Arranging the artificial teeth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and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alveolar ridge is an important factor increa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심한 잔존치조제의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서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로 상,하 치조제 관계에 대해 측정함으로써 총의치 교합 형성의 기준으로 활용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보험 중기 보장성 강화 계획을 수립하려는 이유는? 3%로 국제연합(UN)에서 정의한 고령사회이며, 이 비율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5년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였다.1 2011년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국민구강건강 관련 실태조사 자료 심층 분석에서는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는 완전 무치악 비율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또는 소득이 낮을수록 적절한 구강건강 회복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건강보험 중기 보장성 강화 계획을 수립하여 노인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보험 적용을 원하는 노인 환자들의 증가와 더불어 보험 적용 가능한 의치의 제작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유치악 상태의 일반적인 형태는? 3-7 무치악 상태에서 치조제의 형태와 상하악 잔존치조제간의 위치 관계는 인공치아의 형태 및 위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유치악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악 악궁이 하악 악궁을 덮고 있는 형태이나, 치아가 상실되고 치조제의 흡수가 진행됨에 따라 반대 형태의 치조제 관계를 가지게 되며 발치 후 3년 지나면 교차교합 형태의 치조제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8 그러나 실제 환자가 장착 중인 의치를 조사한 결과 이러한 치조제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치아를 배열하여 인공치의 위치가 치조제에서 벗어난 의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로 제작한 의치의 상용화가 가능해질 시 기대효과는? 그러나 아직 까지는 의치용 의치상 및 인공치아 재료의 사용이 법적으로 허가되지 않았으며, 그 물성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아 임상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후 디지털로 제작한 의치의 상용화가 가능해진다면 본 증례에서처럼 진단 뿐만 아니라 제작 과정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수정이 용이하고 가역적인 치아 배열을 통해 더욱 정확한 교합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기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orea S.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5-204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checkFlagN, 2017-06-15.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dvanced analysis of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11, p. 320-49. 

  3. Yadav B, Jayna M, Yadav H, Suri S, Phogat S, Madan R. Comparison of different final impression techniques for management of resorbed mandibular ridge: a case report. Case Rep Dent 2014;2014:253731. 

  4. McCord JF, Tyson KW. A conservative prosthodontic option for the treatment of edentulous patients with atrophic (flat) mandibular ridges. Br Dent J 1997;182:469-72. 

  5. Tunkiwala A, Ram S. Management of mandibular poor foundation: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Dent Pract 2013;11:34-7. 

  6. Makzoume JE. Morphologic comparison of two neutral zone impression techniques: a pilot study. J Prosthet Dent 2004;92:563-8. 

  7. Beresin VE, Schiesser FJ. The neutral zone in 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1976;36:356-67. 

  8. Sanghvi SJ, Bhatt NA, Bhargava K. An evaluation of crossbite ridge relationships. A study of articulated jaw records of 150 edentulous patients. J Prosthet Dent 1981;45:24-9. 

  9. Kapur KK, Soman S. The effect of denture factors on masticatory performance part III. The location of food platforms. 1965. J Prosthet Dent 2006;95:265-73. 

  10. Bilhan H, Geckili O, Ergin S, Erdogan O, Ates G. Evaluation of satisfaction and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existing complete dentures. J Oral Sci 2013;55:29-37. 

  11. Wehner PJ, Hickey JC, Boucher CO. Selection of artificial teeth. J Prosthet Dent 1967;18:222-32. 

  12. Yoshida K, Okane H, Nagasawa T, Tsuru H. A criterion for the selection of artificial posterior teeth. J Oral Rehabil 1988;15:373-8. 

  13. McGarry TJ, Nimmo A, Skiba JF, Ahlstrom RH, Smith CR, Koumjian JH. Classification system for complete edentulism. Dent Today 2001;20:9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