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d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Suicide of Idea the Elderly Living Alon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5, 2018년, pp.11 - 17  

김정숙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영향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K & C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75명을 대상으로 한 융합적 서술조사연구이며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산출 및 다중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1월 부터 2017년 3월까지 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살생각은 사회활동(r=-.106, p<.05), 주관적 건강상태(r=-.292, p<.01), 자아존중감(r=-.069, p<.05), 자기통제감(r=-.201, p<.01)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r=.023, p<.01), 스트레스(r=.320 p<.05)는 자살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통제감, 사회활동 순으로 나타났고, 총 43.5%의 설명력을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살요인을 파악하고 건강상태, 사회활동,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관련하여 상담 및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자살예방을 돕는 적극적인 간호중재의 모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 of suicide ideation in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of 175 elderly living alone in K&C region. It is 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are analysis. AMOS statistics were performed. Data collecti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지역과 대상, 관련변수들을 새롭게 추가하여 달리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예측 변수들을 고려하여 자살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독거노인의 자살에 대하여 융합적 관점에서 반복연구를 하며, 일반노인에 비하여 외롭고 소외된 독거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켜 독거노인의 자살예방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사회활동,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살생각과 관련 독립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사회활동참여,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융합적 서술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부지역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영향요인과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살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자기통제감은 성공적인 노화의 과정으로 새로운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요인이지만 자기통제감과 자살생각을 주요변수로 두고 한 연구논문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과 대상, 관련변수들을 새롭게 추가하여 달리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예측 변수들을 고려하여 자살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독거노인의 자살에 대하여 융합적 관점에서 반복연구를 하며, 일반노인에 비하여 외롭고 소외된 독거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켜 독거노인의 자살예방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의 적극적인 사회활동참여는 장점은 무엇인가? 노년기의 사회활동은 긍정적, 규칙적인 생활태도로 정신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강력한 자원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적극적인 사회활동참여는 우울, 외로움, 고독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여 자살생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22-24]. 우울은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의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직장에서 정년퇴직후에 줄어든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에서 오는 스트레스, 가족간의 의견차이, 가정불화, 개인의 가치와 태도, 차이 때문에 생겨나는 다양한 갈등, 가치관의 차이 등 여러 요인에 의한 것이라 추측되어진다. 자아존중감은 본 연구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들과 일치된 결과였다[20,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tatistics Korea.(2016). Suicide rate. Statistics Korea. http://kosis.kr/statistics List Index. 

  2. O. S. Kim. (2008). Study of Suicide-Thinking of Solitary Elderly : Focused on Euijeongbu City. Master's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3. L. G. Oh. (2008). Process on suicide ideation among low-income older adults in south Korea using a path analysis : focusing on differences in household living arrangenements. Doctoral disser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4. G. S. Son. (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icidal thoughts of the aged person living alone. Macter's dissertation Samgyuk University. Seoul. 

  5. J. H. Kwon. (2009).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Master's dissertation. Mokwon University. Daejeon. 

  6. K. G. JO.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e Ideation in the Elderly Living Alone. Master'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won. 

  7. R. S. Weiss. (1973).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MIT Press. 

  8. A. Y. Kim. (2008).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Psychological Factors. Master's dissertation Chongshin University. Seoul. 

  9. J. A. Yesavage & J. I. Sheilkh. (1986). Senile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iolence. Clinical gerontologist. 5(1-2), 165-173. 

  10. B. S. Gi.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Neuropsychology, 35(2), 29. 

  11. M. P. Lawstone, M. Moss, M. Fulcomer & M. H. Kleban.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1), 91-99. 

  12. M. O. Im. (1998). Health Promotion Behavior Prediction Mod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M. Rosenberg. (1965). Social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B. Z. Jeon(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Publishing House, 1, 107-124. 

  15. J. H. Lee. (2005).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J Korea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2(2). 

  16. L. I. Pearlin & C. Schooler. (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 2-21. 

  17. T. W. Um.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Korean Social Welfare, 59(2), 355-379. 

  18. A. T. Beck, M. Kovacs & A. Weissman.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J Consulting and Psychology, 47, 343-352. 

  19. W. G. Park & M. S. Shin. (1990). College Goal and Suicide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 

  20. Y. D. Song. (2009). Examining Eco-systematic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Mster'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1. M. H. Jang. (2006).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i University, Seoul. 

  22. J. Y. Bae. (2004). Literature Review of Eco-system Theory Elderly Suicide. Journal of Social Science, 22(2), 223-252. 

  23. D. S. Son. (2005). A Study on the Factors of Ecological System on Elderly Mental Health. Doctoral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Seoul. 

  24. O. G. Oh. (2003). Study on Psychosocial Traits of Clients Experienced Suicide Ideation : Focused on cyber suicide-crisis counseling. 

  25. I. O. Song. (2008). Effect of Social Support on Old People's Intent to Suicide. Mster's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26. H. S. Kim. (2002).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1), 150-172. 

  27. G. S. Gang. (2013).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Mster's dissertation Hannam University. Daejeon. 

  28. M. S. Sim. (2013).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nse of control, modes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at senescence. Mster's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Chuncheon. 

  29. G. J. Kim. (2001). A message of love. Proximity Book publishing. 

  30. OI. O. Choi.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Mster's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Busan. 

  31. O. G. Kwon & CJ. S. Hur. (2013). A Study on the Causal Model of Suicide Ideation among the Low-income Elderly Persons who Living Alon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Depression and Hopelessness. Mster's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Chuncheon. 

  32. G. O. Oh & M. H. Kang(2017). The Effects of Social Quality on Suicide Ideation of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8(11). DOI : 10.15207/JKCS.2017.8.11.431 

  33. K. S. Ko, J. S. Lee & C. H. Park. (2017). A Study on the Educational Smart Contents of Adolescents' Gatekeeper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https://doi.org/10.15207/JKCS2017.8.6.161 

  34. M. A. Lee. (2015). The Effects of Social Quality on Suicide Ideation of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3). DOI : 10.14400/JDC.2015.13.3.271 

  35. Y. B. Kwak, S. H. Ko & H. K. Km. (2013). The Effects of Alcohol Use,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of the Aged.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Management ,11(9), 221-228. 

  36. H. S. Kim. (2017). The Regional Current Status and Factors of the pre-elderly suicide rates and policy task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37. N. Y. Yang & S. Y. Moon. (2012). The Effects of Suicidal Thought on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0(11). 

  38. J. S. Kim. (2018). The Structural Model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y, 8(2), 2-36. DOI : 10.22.156/CS4SMB.2018.8.2.0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