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본인확인수단에 관한 신규 인증수단의 도입 적합성 검토 : Block Chain과 FIDO를 중심으로
Review of the suitability to introduce new identity verification means in South Korea : Focused on Block Chain and FIDO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5, 2018년, pp.85 - 93  

신영진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본인확인수단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대면 본인인증수단 중에서 블록 체인과 FIDO를 선택하여 본인확인수단으로서의 적합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7가지 적합성 기준(보편성, 지속성, 유일성, 편의성, 보안성, 적용성, 경제성)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는데, 모두 적합한 수준을 갖추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과 FIDO를 본인확인수단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규정 및 고시의 개정으로 본인확인절차를 개선하여야 한다. 더욱이, 기존의 본인확인수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본인인증수단을 적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분야별로 차별화된 인증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지속적으로 인증수단을 개발하여 서비스와 연계하여야 한다. 앞으로 본인확인수단은 사물인터넷시대에서 정보유통환경의 안전성을 가져올 것이므로, 본인확인수단의 적용 확대 및 자율적 도입을 지원하여 다양한 서비스에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uitability of the blockchain and FIDO among non-face-to-face authentication means in order to secure diversity of identfication means operated in South Korea.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selected and analyzed seven conformance criteria (universality, persistence, uniq...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관련된 연구들에서는 아직까지 어느 분야에서 적합한지 검토하는 단계이며, 본인확인수단의 적합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과 FIDO가 본인확인수단으로 적합한지 기준을 검토하고, 이를 적용할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는 「개인정보 보호법」 및 「정보통신망 법」을 개정하여 법령상에 근거없이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서비스제공기관은 주민번호 대체수단인 본인확인수단을 적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주민등록번호 및 대면확인방식만을 본인확인수단으로 한정하기 보다는 적합성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본인인증수단을 적용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특히, 특징정보를 활용한 블록체인과 생체정보를 활용한 FIDO가 핀테크를 비롯하여 정부, 금융사, 통신사, 제조사, 카드사 등에서 데이터 위·변조방지 및 본인인증을 위해 사용되고 있어, 본인확인수단의 적합성기준(보편성, 지속적, 유일성, 편의성, 보안성, 적용성, 경제성)에 따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환경의 변화에 따라 정부가 지정한 본인확인수단을 주민번호대체수단으로만 지정하기보다는 일정기준에 적합한 경우 다양한 인증수단을 활용하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본인확인수단이 소유기반과 지식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특징기반의 인증수단을 선정하여 본인확인수단으로서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과 FIDO를 대상으로 본인확인수단의 적합성 기준을 통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블록체인과 FIDO가 본인확인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향후 신기술을 도입한 일반적인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블록체인과 FIDO를 새로운 본인확인수단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본인확인수단은 2006년 제정된 ‘인터넷상의 주민번호 대체수단 가이드라인' 에 근거하여 도입되었으며, ‘본인확인기관의 지정에 관한 고시’ 등을 통해 본인확인수단으로서의 안전성, 편의성, 법적 보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필요한 용도에 맞는 수단을 선택·활용하고 있다[19].
  • 둘째, 본인확인수단은 반드시 대면확인방식으로 판단하지 않고, 행태정보, 생체정보 등과 같이 특징정보를 활용하여 비대면확인방식으로도 본인임을 입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징정보를 활용한 블록체인과 FIDO를 검토하였는데, 본인인증수단뿐만 아니라, 본인확인수단으로도 적합하다. 물론, 아직까지 정부는 비대면확인방식이 갖는 위험성 때문에 대면확인방식에 기반을 둔 본인확인수단만을 인정하고 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과 FIDO을 본인확인수단으로 적합한지 7가지 기준에 맞추어 평가하고자 한다. 즉, 본인확인수단에 관한 기존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백서, 뉴스 등을 바탕으로 문헌조사를 하였고, 그에 따른 본인확인수단의 적합성기준을 본질적 기준(보편성, 지속적, 유일성)과 현실적 기준(편의성, 보안성, 적용성, 경제성)을 구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환경의 변화에 따라 정부가 지정한 본인확인수단을 주민번호대체수단으로만 지정하기보다는 일정기준에 적합한 경우 다양한 인증수단을 활용하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본인확인수단이 소유기반과 지식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특징기반의 인증수단을 선정하여 본인확인수단으로서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태정보인증수단 중에서 Block Chain(이하 블록체인)과 생체정보인증수단 중에서 Fast IDentity Online(이하 FIDO)를 선정하여,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본인확인수단의 적합성 기준을 적용하여 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DO란 무엇인가? FIDO는 지문, 홍채, 얼굴, 목소리, 정맥 등 생체정보를 사용한 인증시스템으로서, 해킹방지, 프라이버시보호 등과 같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으며, 인증 프로토콜과 인증수단을 분리하고 있어 보안성과 편리성이 높다[1]. 또한, 생체인증을 활용하기 때문에 지식기반 이나 소유기반의 인증수단보다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이 등장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즉, 주민등록번호는 정부 및 기업의 모든 시스템에서 개인을 식별 하는 고유키값으로써, 프로그래밍에 용이한 코드값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서비스가 확대되면서, 개인정 보의 오·남용, 악용 등 개인정보 침해사고가 급증하게 되었는데, 그 중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대상으로 한 침해사고가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블록체인기술의 특징은 무엇인가? 즉, 모든 거래기록을 시간적 순서대로 네트워크상의 공동 거래장부로서, 일정시간 동안 발생한 거래가 하나의 블록에 일괄 저장되고, 거래 정보가 기록된 원장(Ledger)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참여자가 공동으로 보관한다[2]. 블록체인기술의 특징은 탈중개성(분산성), 보안성, 투명성, 신속성, 확장성, 효율성 등이다. 블록체인이 암호기술과 융합된다면, 비밀 성, 인증, 무결성, 부인봉쇄, 개인정보보호 등에 적합한 강력한 인증수단이 될 것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ver wikipedia. Blck chain anf FIDO, https://terms.naver.com 

  2. J. H. Yang.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Block Chain Application and Legal Issue in Logistics Industr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187-199. 

  3. S. J. Park. (2017). Blockchain paradigm and FIntech Seuciryty.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4(3), 23-28. 

  4. H. J. Mun. (2018). Biometric Information and OTP based on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Blockchai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85-90. 

  5. H. Y. Han. (2015). Features and Application Examples of Block Chain Technology. KFTC Payment trends. Korea Financial Telecommunications & Clearings Institute. 

  6. S. Choi. et al. (2016). Excavating research areas of FinTech through the analysis of its relevant technologies and policy trends at home and abroad.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7. S. G. Lee. (2017). BlockChain Technology and market trend report. S&T Market Report. 47, Commercializations Promotion Agency for R&D Outcomes. 

  8. Y. G. Kim. (2015). Blockchain technology and change in Finance. KB knowledge Vitamin. KB Financial Group Inc. Research Institute.. 

  9. Y. S. Kim, S. L. Cho & S. H. Kim. (2016. 5. 11). Concept and Application Status of Blockchain Technology. Weekly ICT Trends.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10. S. S. Kim. (2018). The more compatible and safer authenfication service using bio verification as like fingerprint, iris, face. etc. Dreamsecurity. http://www.dreamsecurity.com/fido/ 

  11. Eugene Investment Co., LTD. (2016). Next Generation Authentication FIDO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12. M. .K. Kim. (2016). Introduction of next-generation medic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fingerprint, iris, facial recognition, etc.). 21st Healthcare Korea Forum Conference Proceeding. http://www.healthcarekorea.com/2016_21th/pdf/02_raon.pdf 

  13. B. J. Park, T. J. Lee & J. Kwak. (2017). Blockchain-Based IoT Device Authentication Schem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7(2), 343-35. DOI : 10.13089/jkiisc.2017.27.2.343 

  14. S. Y. Oh & C. H. Lee. (2017). Block Chain Application Technology to Improve Reliability of Real Estate Market. The Jou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22(1), 51-64. DOI : 10.7838/jsebs.2017.22.1.051 

  15. M. Vukolie. (2015). The quest for scalable block-chain fabric: Proof of work vs. BFT replication. International Workshop on Open Problems in Network Securit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6. S. H. Kim. (2016. 1). Fintech authentication technology based on FIDO.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3(2), 59-65. 

  17. J. S. Kim, S. J. Lee, B. S. Kim & S. W. Lee. (2015). Standardization trend of non-face authentication technology based on telebio recognition. REVIEW OF KIISC, 25(4), 43-50. 

  18. S. H. Kim, J. H. Rho & Y. S. Kim. (2017) Next-generation Fintech authentication technology.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4(3), 29-36. 

  19. Ministry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2005). Develeopment Status for Alternative menas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related research results. 

  20. S. K. Kim. (2017). Authentication by creditcard from this mony. Newso of Moneytoday.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31517435012042&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21.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3).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Electronic Signature System Usag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2. J. Bonneau et al. (2012). The Quest to Replace Passwords: A Framework for Comparative Evaluation of Web Authentication Schemes. Proceedings of the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553-567. 

  23. Finance Security Institute. (2013). Compliance assessment of new authentication technology. 

  24.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Electronic Signature System Usage(in Electronic Signature User).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5. Y. J. Shin et al. (2015). The Research for Alternatives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nd Improvement of Authentication Process.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6. U. S. Kim. (2017). High-Trust government operation through Blockchain : possibility and case. E-government research seminar in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7. Santander Innovatntures. (2015). The FinTech 2.0 paper. http://santanderinnoventures.com/fintech2/ 

  28.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6). Top 10 internet issues in 2017 

  29. Y. S. Go & H. S. Choi. (2017). Change of business paradigm and its application: Focusing on block chain technology. Korea Science & Art Forum Proceeding, 13-29. 

  30. D. G. No. (2015). Easy-to-use payment market, 'FIDO'. News of IT Chosun.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0/14/2015101485009.html 

  31. W. H. Choi. FIDO. in facebook. https://www.facebook.com/kftctiger?freft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