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심성의 이동: 치매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합성 접근
Shifting of Centricity: Qualitative Meta Synthetic Approach on Caring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5, 2018년, pp.601 - 621  

유영미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오세은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이해영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김해진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the caring experiences of Korean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a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 Methods: By searching through nine Korean and English databases, we compared 37 qualitative studies on caring experiences of family member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로는 연구의 단계마다 수행한 활동과 의사결정 과정 및 결과를 최대한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 개인 및 공동 논의를 통하여 도출된 합성 결과, 의사결정 과정 및 그 결과, 성찰적 메모, 표와 그림 등 연구 과정과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모으고 기록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질적 합성에서 타당도를 확보하는 핵심 절차 중 하나로서, 타협을 통한 상호 동의 신뢰도(negotiated consensual validity)를 확보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 돌봄제공자의 돌봄 경험이 어떠한지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37개의 질적 논문을 합성하였다. 그 결과는(1) 갑작스런 치매환자 돌봄으로 시작된 고단한 삶, (2) 돌봄을 둘러싼 관계의 변화, (3) 돌봄 역할의 적응 그리고 (4) 성장을 통해 열린 삶의 새 지평으로 도출되었으며, 핵심 개념은 ‘중심성의 이동’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관련 질적 연구로부터 의미있는 주제를 합성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 또한 양적 연구처럼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목적이 아니라 사례 간 일반화(cross-case generalization)가 목적으로[9] 이는 추가적인 지식이 창조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들을 메타합성하여 치매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을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 가족 내에서 돌봄에 대한 역할을 재배분 및 조정하거나[A20] 간병인이나 복지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A23] 돌봄제공자 자신의 과중한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도 하였다[A12]. 인지적으로는 지속적 자기 성찰을 통해 좀 더 나은 돌봄을 다짐하고 더 좋지 않은 사례와 비교하면서 위안을 얻고 현재를 수용하고자 하였다[A12]. 또한 신앙을 갖거나 다양한 종교생활을 통해[A12,A17,A22] 자신을 추스르고 절대자에게 의존하며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국가책임제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최근 국가에서 발표한 치매국가책임제는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적 변화를 적극 반영한 정책임을 보여준다. 치매국가책임제는 치매안심센터나 치매안심요양병원 등 치매지원센터의 전국 확대 보급, 맞춤형 사례관리, 치매 의료비 및 요양비 부담 완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4]. 이와 같은 국가정책이 실효성 있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치매 환자와 가족에 대한 표면적인 정보 뿐 아니라 본질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치매는 국가적 부담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치매 환자를 돌보는 주 제공자의사회적 활동제한, 심리적 스트레스, 재정적 부담과 경제활동의 제약,건강문제 등을 초래한다[2]. 국내에서는 치매 환자의 돌봄이 대부분 또는 전적으로 가족의 책임과 부담으로 이어지는데, 가족 돌봄이 가족관계의 질을 포함하는 사적 영역인 동시에 사회경제적 조건, 서비스와 제도에 영향을 받는 사회적 구성물이므로[3] 앞으로 치매 환자의 증가에 따라 돌봄제공자의 기능과 부담이 변화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인지장애, 기능장애, 이상행동으로 일상생활의 문제가 초래되어 주변 사람의 간호나 간병이 절실히 필요한 질환으로 보건복지부 보고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10.29%)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2024년에는 1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6 [Internet]. Seongnam: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c2017 [cited 2017 Nov 15].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60. 

  2. Park KY.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a qualitative meta-analysis. Journal of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09;3(2): 23-32. 

  3. Fine M, Glendinning C. Dependence, independence or inter-dependence? Revisiting the concepts of 'care' and 'dependency'. Ageing & Society. 2005;25(4):601-621. https://doi.org/10.1017/S0144686X05003600 

  4.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for demential [Internet]. Seongnam: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c2018 [cited 2018 Apr 16]. Available from: http://치매국가책임제.nid.or.kr/sub/nid00_1.html. 

  5. Kim CM. The coping process of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5;16(3):249-259. 

  6. Kim YJ. Understanding family caregivers' experiences of living with dementia: A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7;27(4):963-986. 

  7. Lee HJ. Caregiving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of the husbands who are caring for wives with Alzheimer: Focusing on elderly couple househol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1):45-62. 

  8. Paterson BL, Thorne SE, Canam C. Meta-study of qualitative health research: A practical guide to meta-analysis and meta-synthesis. Thousand Oaks (CA): Sage; 2001. p. 1-176. 

  9. Sandelowski M, Barroso J. Handbook for synthesizing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7. p. 1-312. 

  10. Sandelowski M, Barroso J. Toward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findings on motherhood in HIV-positive wome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3;26(2):153-170. https://doi.org/10.1002/nur.10072 

  11.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P). CASP Qualitative check list [Internet]. Oxford: CASP; c2017 [cited 2017 Jan 30]. Available from: http://docs.wixstatic.com/ugd/dded87_25658615020e427da194a325e7773d42.pdf. 

  12. Perry-Young L, Owen G, Kelly S, Owens C. How people come to recognise a problem and seek medical help for a person showing early signs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ethnography. Dementia (London). 2018;17(1):34-60. https://doi.org/10.1177/1471301215626889 

  13. Large S, Slinger R. Grief in caregivers of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 A qualitative synthesis. Dementia (London). 2015;14(2):164-183. https://doi.org/10.1177/1471301213494511 

  14. Alzheimer's Association. 2018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 Alzheimer's & Dementia 2018;14(3):367-429. https://doi.org/10.1016/j.jalz.2018.02.001 

  15. Ribeiro O, Paul C. Older male carers and the positive aspects of care. Ageing & Society. 2008;28(2):165-183. https://doi.org/10.1017/S0144686X07006460 

  16. Shim B, Barroso J, Davis LL. A comparative qualitative analysis of stories of spousal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Negative, ambivalent, and positive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2):220-229.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1.09.003 

  17. Butcher HK, Buckwalter KC. Exasperations as blessings: Meaning-making and the caregiving experience. Journal of Aging and Identity. 2002;7(2):113-132. https://doi.org/10.1023/A:1015439218276 

  18. Sung MR, Kim KA, Lee D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3):200-208. 

  19. Noyes BB, Hill RD, Hicken BL, Luptak M, Rupper R, Dailey NK, et al. Review: The role of grief in dementia caregiving.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R)}$ . 2010;25(1):9-17. https://doi.org/10.1177/1533317509333902 

  20. Van Vliet D, de Vugt ME, Bakker C, Koopmans RT, Verhey FR. Impact of early onset dementia on caregiver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0;25(11): 1091-1100. https://doi.org/10.1002/gps.2439 

  21. Kim MY.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fa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6):890-899. https://doi.org/10.4040/jkan.2015.45.6.890 

  22. Lee KS, Min YC. Psychological adjusting process to diseases in people with chronic illnes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2):151-160. 

  23. Lindauer A, Harvath TA. The meanings caregivers ascribe to dementia-related changes in care recipients: A meta-ethnography.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2015;8(1):39-48. https://doi.org/10.3928/19404921-20141121-01 

  24. Lloyd J, Patterson T, Muers J. The positive aspects of caregiving in dementia: A critical review of the qualitative literature. Dementia (London). 2016;15(6):1534-1561. https://doi.org/10.1177/1471301214564792 

  25. Lepore SJ, Greenberg MA. Mending broken hearts: Effects of expressive writing on mood, cognitive processing, social adjustment and health following a relationship breakup. Psychology and Health. 2002;17(5):547-560. https://doi.org/10.1080/08870440290025768 

  26. Carlick A, Biley FC. Thoughts on the therapeutic use of narrative in the promotion of coping in cancer care.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04;13(4):308-317. https://doi.org/10.1111/j.1365-2354.2004.00466.x 

  27. Dam AEH, de Vugt ME, Klinkenberg IPM, Verhey FRJ, van Boxtel MPJ. A systematic review of social support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Are they doing what they promise? Maturitas. 2016;85:117-130.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15.12.008 

  28. Park S, Park M. Effec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stres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5):627-640. https://doi.org/10.4040/jkan.2015.45.5.627 

  29. Freeman M. Hindsight: The promise and peril of looking backwar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 1-247. 

  30. Parse RR. The human becoming school of thought. 1st Kor. Ed. Lee JS, Lee OS, Koh MS, translators. Seoul: Hyunmoonsa; c2002. p. 1-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