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음식물 반입제한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Food and Drink Restriction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3, 2018년, pp.33 - 53  

윤희윤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많은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이유를 근거로 음식물 반입을 제한(또는 금지)하고 있는데, 그것이 정당한지 아니면 부당한지를 논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대구시민 485명을 대상으로 음식물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 사조 측면에서 음식물 제한정책에 대한 전향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 기본권 보장 차원에서는 이용자의 음식물 반입을 허용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존재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정당화하고 생태계를 강화하는데 유리하다. 셋째, 장서 및 시설공간의 이용촉진 측면에서 음식물 허용에 따른 역기능보다 순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자치조례나 도서관 규정에 모든 또는 대다수 음식물을 제한하는 전체주의적 사고는 지양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도서관은 음식물 반입을 허용하되, 공간별로 섭취 가능한 종류를 규정하고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public libraries have restricted or forbidden most food and drink on the basis of a number of reasons, and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at it is legitimate or unfair. To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surveyed 485 public library users residing in Daegu City on the perception of food and d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음식물 반입제한(금지)에 대한 인식(반입 및 제지 경험, 관련 규정의 이해 및 개정 방향, 반입제한의 정당성과 부당성 및 그 이유, 공간별 허용범위와 기대효과 등)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음식물 반입제한과 관련된 쟁점을 논증한 후에 인식도 분석결과와 조합하여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음식물 반입제한(금지) 및 허용과 관련된 쟁점을 검토한 후 인식도 조사결과와 연계하여 미래지향적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집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음식물 반입제한(금지)에 대한 인식(반입 및 제지 경험, 관련 규정의 이해 및 개정 방향, 반입제한의 정당성과 부당성 및 그 이유, 공간별 허용범위와 기대효과 등)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에 마유주미(黛 崇仁)는 어떤 분석을 하엿는가? 2008년에 마유주미(黛 崇仁)는 일본 대학도서관 32개관(국립 10개, 사립 22개)을 대상으로 음식물 반입 또는 금지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식물 반입을 금지한 비율은 43.
공공도서관은 어떤 운영을 중시해야하는가? 도서관의 다양한 지식정보서비스, 각종 문화·평생학습프로그램서비스, 일반(또는 자유)열람실 운영, 세미나 및 회의장소 제공, 사랑방 기능 중에서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방문·이용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교통 지리적 접근성, 자연친화적 조경과 디자인, 개방형 공간구조, 인간공학적 배치와 동선, 이용자 편의성을 우선하는 규정, 이용중심주의적 운영을 중시해야 한다.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대구시민 485명을 대상으로 음식물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대구시민 485명을 대상으로 음식물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 사조 측면에서 음식물 제한정책에 대한 전향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 기본권 보장 차원에서는 이용자의 음식물 반입을 허용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존재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정당화하고 생태계를 강화하는데 유리하다. 셋째, 장서 및 시설공간의 이용촉진 측면에서 음식물 허용에 따른 역기능보다 순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자치조례나 도서관 규정에 모든 또는 대다수 음식물을 제한하는 전체주의적 사고는 지양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도서관은 음식물 반입을 허용하되, 공간별로 섭취 가능한 종류를 규정하고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Mayuzumi, Takahito. 2008. "Water Supply in Library: User Manners." Pharmaceutical Library. 53(2): 144-147. 

  2.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2014. A Study on the Standardized Regulations for the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Seoul: The Institute. 

  3. Sagamihara City. 2016. Public Opinion Survey Fiscal Year 2016. 

  4. Pharmaceutical Library Editorial Committee. 2008. "Report on Eating and Drinking Manners in the Library." Pharmaceutical Library. 53(2): 148-165. 

  5. Yoon, Hee Yoon. 2017. "A Discourse Analysis to Public Library Eco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1): 5-27. 

  6. 河本 毬馨. 2015. "?書館?の?食可否に?する?態調査." [cited 2018. 6. 11]. 

  7. Abba, Stephanie. 2016. "Snacks in the Stacks : Food and Drink in North American Libraries." The iJournal, 2(1): 1-13. 

  8. Clements, E. & Scott, P.A. 1994. "No Food, No Drink, No Nois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55(2): 81-83. 

  9. Kawamoto, Marika and Tsuji, Keita. 2016. "Effects of Allowing Food and Drinks in Japanese Libraries." 2016 5th IIAI International Congress on Advanced Applied Informatics(July 10-14, 2016 Kumamoto, Japan): 43-48. 

  10. Lyons, Dianne Boulerice. 2000. "No Food, No Drink-No More? A Study of Food and Drink Policies and Practices in Public Libraries." Public Libraries, 39(6): 338-347. 

  11. Soete, G.J. 1998. Managing Food and Drink in ARL Libraries: A SPEC Kit, 237.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