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초기대응과 관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auses of Casualties of Jecheon Sports Center Fire - Focus on an Initial Response and Management -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5, 2018년, pp.57 - 66  

이의평 (전주대학교 소방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9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을 입은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례에 대해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원인을 초기대응과 관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초기대응 측면은 119신고 지연, 2층 세신사 비상구로 피난유도를 하지 않음, 1층과 3층 비상계단쪽 방화문 개방 상태 유지, 3층 주계단실 쪽 방화문 닫지 않음, 비상방송을 하지 않음으로 분석하였다. 관리적인 측면은 1층의 스프링클러설비 알람밸브 폐쇄, 소방펌프 제어반에서 기동 정지 위치에 놓음, 주차장 반자 안 누수 및 누전 방치, 2층 여탕의 휴게실 피난구유도등이 가려져 있고 비상구에 물건이 적치됨, 2층 자동문의 조작버튼 불량상태로 방치, 형식적인 소방안전관리, 소방시설 부실한 자체점검, 방화셔터와 배연창 미작동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ports center fire in Jecheon that caused 29 deaths and 40 injuries was analyzed based on initial response and manag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casualties. The aspects of initial response included delay of reporting 119, not being guided to the exit for the body scrubber on the...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주변의 CCTV 녹화 영상, 소방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발표 내용, 법원 판결 내용 등을 참고하여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례에 대해 다수사상자가 발생한 원인을 관계인의 초기대응과 소방시설 등의 관리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기본법 제19조제1항은 무엇인가? 그리고 소방기본법 제19조제1항에서 ‘화재 현장 또는 구조·구급이 필요한 사고 현장을 발견한 사람은 그 현장의 상황을 소방본부, 소방서 또는 관계 행정기관에 지체 없이알려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에도, 카운터 여직원이 화재를 확인하고도 곧바로 119신고를 하지 않고 건물관리인에게 소화기를 갖다 주는 등으로 지체한 후 119신고를 한 것도 피해를 키우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소방기본법 제20조에서 관계인은 어떠한 조치를 해야하는가? 소방기본법 제20조에서 ‘관계인은 소방대상물에 화재, 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경보를 울리거나 대피를 유도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제54조 제2호에서 제20조를 위반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사람은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례에서 소방기본법 제19조제1항에 위반된 행위는 무엇인가? 그리고 소방기본법 제19조제1항에서 ‘화재 현장 또는 구조·구급이 필요한 사고 현장을 발견한 사람은 그 현장의 상황을 소방본부, 소방서 또는 관계 행정기관에 지체 없이알려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에도, 카운터 여직원이 화재를 확인하고도 곧바로 119신고를 하지 않고 건물관리인에게 소화기를 갖다 주는 등으로 지체한 후 119신고를 한 것도 피해를 키우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 Choi, "Jecheon Fire...Truth of a tragic incident that got buried to issue of fire brigade response",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2, p. 9 (2018). 

  2. E. P. Lee, "Analysis of the Causes of Catastrophic Damage of Goyang Bus Terminal Fire and the Preventive Measures for Similar Catastrophic Fires",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p. 40 (2018). 

  3. E. P. Lee, "Problems and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of Cold Storage Fi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4, No. 12, pp. 39-46 (2008). 

  4. Y. B. Lee, C. H. Jeong, T. J. Jeong and H. Kim,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 of National Museum", Journal of the Fire Investigation Society & Equipment Technology, Vol. 3, No. 2, pp. 81-88 (2012). 

  5. S. B. Choi,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Pilotis with Urban Lifestyle Housing Buildings", Docto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18). 

  6. J, Y. Han, "Study on Fire Risk of Urban Living Hom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015). 

  7. S. C. Jeong, "Case Study on the Daegu Subway Fire Disaster Accident in 2003", Master's Thesis,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2004). 

  8. T. H. Kim, "Analysis for Daegu Subway Fire", Proceeding of 2003 Autumn Conference,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pp. 240-248 (2003). 

  9. E. P. Le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a Goyang Bus Terminal Fire", Proceedings of 2017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pp. 13-42 (2017). 

  10. E. P. Lee, "Analysis of the Causes of Catastrophic Damage of Goyang Bus Terminal Fire and the Preventive Measures for Similar Catastrophic Fires",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Vol. 12, No. 1, pp. 39-48 (2018). 

  11. S. H. Lee, "Theory and Practice on Fire Investigation",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mpany, pp. 25-26 (2012). 

  12. Y. H. Choi, "Is Self Checking System for Fire Protection System Good Thus?",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2, p. 34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