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DSM-5 섭식장애진단척도(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K-EDDS DSM-5) :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K-EDDS DSM-5) :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4 no.2, 2018년, pp.127 - 134  

방은별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한초롱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전예림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김율리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K-EDDS DSM-5). Methods : A total of 72 patients diagnosed with eating disorders partici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섭식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DSM-5 섭식장애 진단척도(K-EDDS DSM-5)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섭식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면담 도구인 KEDE와의 일치도가 높고, 신뢰도 및 타당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널리 사용되는 짧은 자기보고형 설문지이다. 본 연구는 섭식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EDD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K-EDDS DSM-5는 표준화된 면담 도구인 EDE와의 일치도 및 타당도가 높아 섭식장애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EDDS 한국판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섭식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섭식장애진단척도(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이히" K- EDDS)의 요인분석 결과가 국외 연구결과와 일치하는지 알아보았으며, 대면평가를 통한 섭식장애 진단 결과와 K-EDDS를통한 진단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cali N, Hagberg KW, Petersen I, and Treasure JL. The incidence of eating disorders in the UK in 2000-2009. findings from the General Practice Research Database. BMJ Open 2013;3:e002646. 

  2. Kessler RC, Berglund PA, Chiu WT, Deitz AC, Hudson JI, Shahly V, et al.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inge eating disorder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Biol Psychiatry 2013;73:904-914.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and Control and Prevention. 

  4. Micali N, Ploubidis G, De Stavola B, Simonoff E, Treasure J, Frequency and Patterns of Eating Disorder Symptoms in Early Adolescence. J Adolesc Health 2014;54:574-581. 

  5. Kim YR. The Biology of Anorexia Nervosa-Based on Treaure's Model. Anxiety and Mood 2008;2:69-76.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7. Mond JM, Hay PJ, Rodgers B, Owen C. Health service utilization for eating disorders: findings from a community-based study. Int J Eat Disord 2007;40:399-408. 

  8. Hudson JI, Hiripi E, Pope HG Jr, Kessler RC.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eating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Biol Psychiatry 2007;61:348-358. 

  9. Whitehouse AM, Cooper PJ, Vize CV, Hill C, Vogel L. Prevalence of eating disorders in three Cambridge general practices: Hidden and conspicuous morbidity. Br J Gen Pract 1992;42:57-60. 

  10. Stice E, Telch CF, Rizvi S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A brief self-report measure of anorexia, bulimia, and binge-eating disorder. Psychological Assessment 2000;12:123-131. 

  11. Stice E, Melissa F, Erin M.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Additional Evidenc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ol Assess 2004;16:60-71. 

  12. Lee S, Stewart S, Striegel-Moore R, Lee S, Ho S, Lee P, et al. Validat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for Use with Hong Kong Adolescents. Int J Eat Disord 2007;40:569-574. 

  13. Krabbenborg MA, Danner UN, Larsen JK, van der Veer N, van Elbung AA, de Ridder DT, et al.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Psychometric Features Within a Clinical Population and a Cut-off Point to Differentiate Clinical Patients from Healthy Controls. Eur Eat Disord Rev 2012;20: 315-320. 

  14. Silva JR, Behar R, Cordella P, Ortiz M, Jaramillo K, Alvarado R, et al. Validation of the Spanish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s Diagnostic Scale. Rev Med Chil 2012;140:1562-1570. 

  15. Cooper Z, Fairburn C. The eating examinati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for the assessment of the specific psychopathology of eating disorders. Int J Eat Disord 1987;6:1-8. 

  16. Heo SY, Rhee MK, Choi YM, Sohn CH, Lee HK, Lee YH.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 Korean J Health Psychol 2010;15:345-355. 

  17. Fairburn CG, Beglin SJ. Assessment of eating disorders: interview or self-report questionnaire? Int J Eat Disord 1994;16:363-370. 

  18. Bang EB, Han CL, Kim YR, Kim M, Lee YH, Heo SY, et al.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versions of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 version 6.0 (EDE-Q version 6.0) and the Clinical Impairment Assessment Questionnaire (CIA). Korean J Psychosomatic Med i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