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성별에 따른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Abdominal Obesity by Sex among the Korean Elderly: Focusing on Health and Health Behavior Related Fact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0, 2018년, pp.559 - 568  

전해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요인을 중심으로 성별에 따른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시행된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노인 중 허리둘레를 측정 한 남자 599명 (Weighted n=3,037,943), 여자 793명(Weighted n=3,840,452)이었다. 자료는 IBM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설계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한국노인은 성별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및 건강행태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노인의 복부비만 비율은 38.3%, 여성노인의 복부비만 비율은 50.5%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 요인 중 한국의 남성노인의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폭음빈도, 여성노인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 노인의 복부 비만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요인 및 건강행태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남성의 경우 다양한 영향요인을 고려한 폭음관리 전략이 요구되며, 여성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복부비만의 원인 분석 및 관리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abdominal obesity by sex among the Korean elderly focusing on health and health behavior related factors. The data utilized in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onducted from January...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도에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수행된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17]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성별에 따른 한국노인의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성별에 따라 파악하여, 한국노인의 성별에 따른 복부비만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학적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성별에 따른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노인의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심장질환, 대사증후군과 같은 심각한 만성질환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19], 노년기 건강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의 만65세 이상 남녀 노인 중 허리둘레를 측정 한 1,392명을 대상으로,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성별에 따라 파악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복부비만관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 복부형 비만 또는 내장 지방형 비만이 되기 쉬운 이유는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우울, 폐기능 감소, 대사증후군, 수면 중 무호흡발작이나 천식과 신기능저하 등의 합병증을 가져온다[2,5]. 노인이 되면 신체구성 중 지방조직이 증가하고, 피하지방과 총체적인 몸의 지방보다 복부지방의 증가가 현저해져, 복부형 비만 또는 내장 지방형 비만이 되기 쉽다[2]. 특히, 40대 이후 여성의 복부비만 증가율이 남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6], 중년기 여성에서 나타나는 복부비만은 근육량의 감소와 체지방량의 증가 등과 같은 체성분의 변화와 여성호르몬의 분비 감소로 인한 체지방 저장, 복부지방의 분해 저하와 관련되어 있으며, 갱년기 이후 여성에서 복부내장지방의 축적이 심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노인의 비만을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이 되면 체구성 성분이 변하고, 추체의 퇴행성 변화나 척추후만증 등으로 신장이 줄어들기 때문에[2],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노인의 비만을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노인은 복부비만으로 체중이 증가해도, 근육이 감소하여 체중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로 복부비만을 평가하는 것이 유용하다[3-4].
비만은 어떤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는가? 비만은 당뇨, 고혈압, 관절염, 심혈관질환, 요실금,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같은 기능적 능력을 감소시킨다[5]. 뿐만 아니라, 우울, 폐기능 감소, 대사증후군, 수면 중 무호흡발작이나 천식과 신기능저하 등의 합병증을 가져온다[2,5]. 노인이 되면 신체구성 중 지방조직이 증가하고, 피하지방과 총체적인 몸의 지방보다 복부지방의 증가가 현저해져, 복부형 비만 또는 내장 지방형 비만이 되기 쉽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January).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Retrieved June 19, 2018,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 M. Soh, Y. Song, H. Lim, "A Literature Review on Obesity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Oriental Association for Study of Obesity, Vol.6, No.2, pp.51-58, 2006. 

  3. S. Lee, H. S. Park, S. M. Kim, H. S. Kwon, D. Y. Kim, D. J. Kim, G. J. Cho, J. H. Han, S. R. Kim, C. Y. Park, S. J. Oh, C. B. Lee, K. S. Kim, S. W. Oh, Y. S. Kim, W. H. Choi, H. J. Yoo,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5, No.1, pp.1-9, 2006. 

  4. Y. Wang, E. B. Rimm, M. J. Stampfer, W. C. Willett, F. B. Hu, "Comparison of Abdominal Adiposity and Overall Obesity in Predicting Risk of Type 2 Diabetes among 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31, No.3, pp.555-563, 2005. 

  5. S. Amarya, K. Singh, M. Sabharwal,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in the Elderly", Journal of Clinical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5, No.3, pp.63-67, 2014. DOI: https://doi.org/10.1016/j.jcgg.2014.01.004 

  6. S. J. Ban, J. S. Kim, J. H. Kim, "The Effects of Stone Massage Therapy on Abdominal Obesity Reduct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15, pp.17-27, 2013. 

  7. S. Y. Kim. The Effects of Abdominal Obesity Programs on Middle-aged Women on Physiology Chang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2014. 

  8. H. Fan, X. Li, L. Zheng, X. Chen, Q. lan, H. Wu, X. Ding, D. Qian, Y. Shen, Z. Yu, L. Fan, M. Chen, B. Tomlinson, P. Chan, Y. Zhang, Z. Liu, "Abdominal Obesit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s Risk Factors in Elderly and Very Elderly Community-dwelling Chinese", Scientific Reports, Vol.6.pp.1-9. 2016. DOI: https://doi.org/10.1038/srep21521 

  9. M. A. Cabrera, O. C. Gebara, J. Diament, A. Nussbacher, G. Rosano, M. Wajngarten, "Metabolic Syndrome, Abdominal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in Elderly",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Vol.114, pp.224-229, 2007. 

  10. J. A. Luchsinger, D. Cheng, M. X. Tang, N. Schupf, R. Mayeux, "Central Obesity in the Elderly is Related to Late Onset Alzheimer'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Vol.26, No.2, pp.101-105, 2012. DOI: https://doi.org/10.1097/WAD.0b013e318222f0d4 

  11. N. Vogelzangs, S. B. Kritchevsky, A. T. F. Beekman, A. B. Newman, S. Satterfield, et al. "Depressive Symptoms and Change in Abdominal Obesity in Older Pers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5, No.12, pp.1386-1393, 2008. DOI: https://doi.org/10.1001/archpsyc.65.12.1386 

  12. C. N. David, R. B. Mello, N. M. Bruscato, E. H. Moriguchi, "Overweight and abdominal obesity association with all-c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the elderly aged 80 and over: A cohort study",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Vol.21, No.5, pp.597-603, 2017. DOI: https://dx.doi.org/10.1007/s12603-016-0812-0 

  13. T. Yun, "The Effect of 'Dahn Taekwondo Ki Gong' Programs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Components of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4, No.1, pp.23-30, 2017. 

  14. M. Song, S. Kim, Y. Yoo, H. Kim, N. Kim, "Effects of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on Body Fat, Skeletal Muscle Mass, Physical Fitness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3, No.3, pp.276-282, 2011. 

  15. H. J. Kong, J. E. Kim, E. J. Hwang, J. Y. Hong, S. W. Kim, "Effects of Healthcare Smart Home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Obes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4 No.1, pp.103-114, 2014. 

  16. N. Song, "The Effect of Regular Senior Aerobics on $TNF-{\alpha}$ and IL-6 of Elderly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Vol.29 No.4 pp.83-96, 2015.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2015. Retrieved September 12, 2017, from http://knhanes.cdc.go.kr/ 

  18. S. Y. Lee, H. S. Park, D. J. Kim, J. H. Han, S. M. Kim, G. J. Cho, D. Y. Kim, H. S. Kwon, S. R. Kim, C. B. Lee, S. J. Oh, C. Y. Park, H. J. Yoo,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75, pp.72-80, 2007. 

  19. D. T. Villareal, C. M. Apovian, R. F. Kushner, S. Klein, (American Society for Nutrition and NAASO, The Obesity Society). "Obesity in Older Adults: Technical Review and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Society for Nutrition and NAASO, The Obesity Societ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82, pp.923-934, 2005. 

  20. Y. Arad, D. Newstein, F. Cadet, M. Roth, A. D. Guerci, "Association of Multiple Risk Factors and Insulin Resistance with Increased Prevalence of Asymptomatic Coronary Artery Disease by an Electron-beam Computed Tomographic Study",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Vol.21, No.12, pp.2051-2058, 2001. 

  21. B. G. Kim.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ders' Obesity Level and Their Mental Health-based on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2016. 

  22. Oh, S. W. "Effect of Alcohol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8, No.1, pp.1-7, 2009. 

  23. J. Kim, S. Chu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atterns of Alcohol Drinking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0, No.1, pp.99-108, 2014. 

  24. I. S. Jang,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Alcohol Use Disorder in Eld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2, No.3, pp.165-176, 2008. 

  25. D. Hansen, P. Dendale, M. Beelen, R, A. Jokers, A. Mullens, L. J. Loon, "Plasma Adipokine and Inflammatory Maker Concentrations are Altered in Obese, as Opposed to Non-obese, Type2 Diabetes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109, No.3 pp.397-404, 2010. DOI: https://doi.org/10.1007/s00421-010-136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