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커피 섭취 유형에 따라 비만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13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Association wi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ccording to the kind and amount of coffee intake in Korean adults: 2013~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4, 2019년, pp.369 - 382  

박형섭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 6기 (2013 ~ 2015년), 제 7기 1년차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13,429명 (남 : 5,284명, 여 : 8,145명)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 방법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커피, 설탕, 프림 섭취 빈도를 활용하여 하루 단위의 커피 섭취횟수와 커피 섭취 유형을 분류한 후 비만 및 복부비만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커피 섭취횟수를 보면 커피 미섭취군 11.6%, 하루 1회 미만 22.3%, 하루 1회 18.5%, 하루 2회 23.7%, 하루 3회 이상 23.9%로 조사대상자의 65% 이상은 하루 1회 이상 커피를 섭취하였고, 커피 섭취자 중 블랙커피 섭취자 보다는 믹스커피 섭취자가 2배 이상 많았다. 커피 미섭취군에 비해 하루 3회 이상 커피 섭취군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및 당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비만과 복부비만자의 비율 역시 유의적으로 많았다. 커피 섭취가 비만 발생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커피 미섭취군에 비해 하루 2회 섭취군에서 1.30 (95% CI: 1.08 ~ 1.57), 하루 3회 이상 섭취군에서 1.33 (95% CI: 1.11 ~ 1.60)으로 나타나 하루 2회 이상의 커피 섭취는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30% 정도 증가시켰고, 복부비만의 위험은 커피 비섭취군에 비해 하루 1회 미만 섭취군 1.27 (95% CI: 1.02 ~ 1.57), 하루 1회 섭취군 1.34 (95% CI: 1.08 ~ 1.66), 하루 2회 섭취군 1.35 (95% CI: 1.09 ~ 1.67), 하루 3회 이상 섭취군 1.40 (95% CI: 1.14 ~ 1.72)로 나타나 하루 1회 이상의 커피 섭취는 복부비만의 위험을 34% 정도 높였으며, 성별에 상관없이 커피 섭취는 커피 미섭취자에 비해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커피 섭취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면 전체 대상자의 경우 블랙커피와 믹스커피 모두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추이를 보였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커피 섭취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블랙커피의 경우 남성에서는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여성에서는 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추이를 보였고, 믹스커피의 경우 남성은 하루 3회 이상 섭취 시, 여성은 하루 2회 이상 섭취 시 비만과 복부비만의 위험을 34% 정도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커피를 섭취하는 방법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보이긴 하였으나, 전체대상자를 보았을 때 커피의 종류에 상관없이 커피섭취는 비만 및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식이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비만 및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커피 섭취 유형 및 적정수준의 커피섭취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위한 근거자료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coffee beverage on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s who were aged 19 years or over by using the 2013 ~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Specific questions were asked about frequency of c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커피 섭취유형 및 섭취량이 성인의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013 ~ 2015년), 제 7기(2016년) 원시 자료 [28,29]을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의 커피 섭취 유형 및 커피 섭취 횟수가 비만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커피 섭취 유형 및 섭취횟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제 6기 (2013 ~ 2015년), 제 7기 1년차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13,429명 (남 : 5,284명, 여 : 8,145명)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 방법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커피, 설탕, 프림 섭취 빈도를 활용하여 하루 단위의 커피 섭취횟수와 커피 섭취 유형을 분류한 후 비만 및 복부비만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언제 발생하게 되는가? 비만은 에너지 소비의 불균형 즉, 섭취에너지에 비해 소비에너지가 낮을 시 발생하게 된다. 현대 사회는 과거에 비해 식품산업의 발달로 포화지방, 소금 및 당 함량은 높고, 비타민과 무기질 함량이 낮은 가공식품의 소비 증가와 소득수준 증가 및 도시화에 의한 좌식생활로 인해 신체 활동량 감소를 초래하고, 그 결과 에너지 소비의 불균형에 의한 체중 증가를 유도하고 있다 [1].
추후 인스턴트 블랙커피와 원두커피 섭취자로 분류한 후 이들 커피 섭취빈도 또는 섭취량이 비만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에서 필터 된 커피 섭취는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인스턴트커피 섭취는 복부비만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17]. 본 연구에서 블랙커피 섭취시에도 비만과 복부비만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인스턴트 커피 섭취자를 포함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추후 인스턴트 블랙커피와 원두커피 섭취자로 분류한 후 이들 커피 섭취빈도 또는 섭취량이 비만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커피 섭취는 어떤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가? 비만 또는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 당뇨병, 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질환 발생에 커피 섭취에 의한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들을 보면 커피 섭취는 구강암, 간암, 제2형 당뇨병, 신결석, 파킨슨병, 만성간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11]와 더불어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2,14,16]. 커피 섭취가 이들 질환을예방하는 효과는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 이외 phenolic acids 등과 같은 폴리페놀 성분 때문이며, 이들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으로 혈중 leptin 수준 감소, 인슐린저항성 감소로 체지방의 증가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Lancet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Collaborators 386 9995 743 2015 10.1016/S0140-6736(15)60692-4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17: building resilience for peace and food security [Internet].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7. cited 2019 Jul 1. Available from: http://www.fao.org/3/a-I7695e.pdf 

  3. 2017 National health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4. Am J Public Health Hruby 106 9 1656 2016 10.2105/AJPH.2016.303326 

  5. Am J Public Health Vartanian 97 4 667 2007 10.2105/AJPH.2005.083782 

  6. Public Health Wkly Rep Kim 7 7 133 2014 

  7. Eur J Epidemiol Balk 24 4 203 2009 10.1007/s10654-009-9323-1 

  8. Obes Facts Bouchard 3 6 345 2010 10.1159/000322915 

  9. Oxid Med Cell Longev Chiva-Blanch 2017 5812401 2017 10.1155/2017/5812401 

  10. Appl Physiol Nutr Metab van Dam 33 6 1269 2008 10.1139/H08-120 

  11. BMJ Poole 359 j5024 2017 10.1136/bmj.j5024 

  12. J Epidemiol Grosso 24 4 327 2014 10.2188/jea.JE20130166 

  13. Eur J Nutr Grosso 54 7 1129 2015 10.1007/s00394-014-0789-6 

  14. J Epidemiol Takami 23 1 12 2013 10.2188/jea.JE20120053 

  15. PLoS One Kim 11 12 e0167007 2016 10.1371/journal.pone.0167007 

  16. Br J Nutr Kim 120 11 1279 2018 10.1017/S0007114518002635 

  17. Diabetes Res Clin Pract Kim 106 1 145 2014 10.1016/j.diabres.2014.07.007 

  18. J Nutr Health Yeon 50 3 257 2017 10.4163/jnh.2017.50.3.257 

  19. Eur J Clin Nutr Cai 66 8 872 2012 10.1038/ejcn.2012.68 

  20. Nutrition Panchal 28 10 1055 2012 10.1016/j.nut.2012.02.013 

  21. Diabetes Res Clin Pract Hino 76 3 383 2007 10.1016/j.diabres.2006.09.033 

  22. NFS J Song 4 9 2016 10.1016/j.nfs.2016.04.002 

  23. J Nutr Health Lee 49 4 213 2016 10.4163/jnh.2016.49.4.213 

  24. Broadcast data (processed food segmentation-coffee mix) [Internet]. Sejong.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Korea. 2015. cited 2019 Jan 16. Available from: http://www.mafra.go.kr/mafra/293/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2OCUyRjMxMTk4OSUyRmFydGNsVmlldy5kbyUzRg%3D%3D 

  25. Asia Pac J Clin Nutr Je 23 4 691 2014 

  26. 377 cups of annual coffee consumption per adult in Korea [Internet]. Sej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7. cited 2019 Jan 25. Available from: http://www.mafra.go.kr/mafra/293/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2OCUyRjMxNDQ2MCUyRmFydGNsVmlldy5kbyUzRg%3D%3D 

  27. Report of coffee mix quality examination [Internet]. Eumseong. Korea Consumer Agency. 2014. cited 2019 Jan 5.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1800&itm_seq_1=2 

  28.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9.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30.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Diagnosis and assessment of obesity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cited 2019 Jan 4. Available from: http://general.kosso.or.kr/html/?pmode=obesityDiagnosis 

  31. Korean J Hosp Adm Kim 22 2 93 2013 

  32. J Nutr Health Kim 50 3 270 2017 10.4163/jnh.2017.50.3.270 

  33. Korean J Community Nutr Lee 20 4 301 2015 10.5720/kjcn.2015.20.4.301 

  34. Nutrients Lee 9 12 1340 2017 10.3390/nu9121340 

  35. Korean J Fam Med Shin 38 6 346 2017 10.4082/kjfm.2017.38.6.346 

  36. Nutr Res Kim 41 97 2017 10.1016/j.nutres.2017.04.004 

  37. BMC Med Wang 15 1 97 2017 10.1186/s12916-017-0862-0 

  38.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 Food Safety Country. Food nutrition database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ited 2019 Jun 6.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nutrient/simpleSearch.do?menu_grp=MENU_NEW03&menu_no=2805 

  39. J Korean Soc Food Sci Nutr Lee 41 3 362 2012 10.3746/jkfn.2012.41.3.362 

  40. Sugar database compilation for commonly consumed food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H)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