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형구조 차이에 따른 이온지수 특성 -월악산국립공원 일본잎갈나무림을 대상으로
Characteristics Regarding Ion Index by Geomorphic Structure -About Larix kaempferi of Wolak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5, 2018년, pp.486 - 496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환경시스템학과) ,  이상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김원태 (연암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형구조 차이에 따른 이온지수를 파악하고자 월악산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측정지점은 월악산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동일한 생태적 구조로 조성된 능선(Ridge)과 계곡(Vally)의 위치에서 기상과 이온을 고정 측정하였다. 기상 측정 결과 기온은 능선부에서 평균 $28.22^{\circ}C$, 최고 $29.9^{\circ}C$, 최저 $26.4^{\circ}C$였으며, 계곡부에서 평균 $27.08^{\circ}C$, 최고 $27.8^{\circ}C$, 최저 $25.5^{\circ}C$로 분석되었다. 상대습도의 경우 능선부에서 평균 67.02%, 최고 75.25%, 최저 61.95%였으며, 계곡부에서 평균 69.74%, 최고 76.8%, 최저 63.75%로 분석되었다. 이온측정 결과 능선부에서는 양이온 발생량 평균 $698.40{\pm}59.80ea/cm^3$, 최대 $885.88ea/cm^3$, 최소 $597.88ea/cm^3$이었으며, 음이온 발생량 평균 $736.07{\pm}83.89ea/cm^3$, 최대 $934.53ea/cm^3$, 최소 $599.32ea/cm^3$이었다. 이를 이온지수로 산출한 결과 1.06으로 분석되었다. 계곡부에서는 양이온 발생량 평균 $1,732.49{\pm}354.08ea/cm^3$, 최대 $2,652.10ea/cm^3$, 최소 $1,110.92ea/cm^3$이였으며, 음이온 발생량 평균 $1,990.47{\pm}433.57ea/cm^3$, 최대 $3,126.75ea/cm^3$, 최소 $1,352.17ea/cm^3$이었다. 이를 이온지수로 산출한 결과 1.16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립공원 내 기후적 측면의 건강관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selected Larix kaempferi as a study area in Woraksan National Park for understanding the ion index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opography in national parks. We measured the weather and ion at two fixed points, ridge and valley, where the Larix kaempferi dominates in the s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월악산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지형구조에 따른 기상특성과 이온지수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온지 수의 요소인 음이온 발생량의 선행연구에서 기온과는 부의 상관관계, 상대습도와는 정의 상관관계(Kim et al, 2016; Tammet et al, 2006; Yoon et al, 2012)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측정지점의 기상특성을 측정하였다.
  • 이 연구 결과는 지형구조에 따른 이온지수 특성을 규명하였다. 지형구조의 차이에 따른 양이온 발생량과 음이온 발생량을 이용하여 이온지수를 분석하여 지형구조 차이에 따른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구조 차이에 따른 음이온발생량과 양이온 발생량을 파악하고, 기온, 상대습도, 일사, 풍속 등 기상요소를 측정하여 시간대별 지형구조에 따른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국립공원 내 기후적 측면의 건강관리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측정지점은 지형구조에 따른 이온지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한 수종으로 우점하고 있는 연구대상지를 조사하였다. 이에 동일한 수종으로 우점하고 있는 월악산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의 능선부(Ridge)와 계곡부(Valley)로 두 지점에서 고정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집된 도시환경의 나쁜 영향은? 밀집된 도시환경에 의해 인간은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질병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웰빙(Wellbeing), 로하스(LOHAS) 등 친환경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Yoo and Jung, 2009), 치유와 건강증진을 위해 국립공원에 대한 방문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음이온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건강인자에 대한 연구로는 주요 치유인자인 피톤치드와 음이온의 발생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피톤치드는 식물이 병원균, 해충, 곰팡이에 저항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로 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Kim et al, 2008), 음이온은 공기정화 효과와 인체의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Krueger and Reed, 2006).
이온지수를 연구하게 된 까닭은? 선행연구에서는 음이온 발생에 기상요소, 녹지율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지만, 측정일, 기상현황에 따라 음이온 발생량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im et al, 2017). 이에 단순 음이온 발생량을 비교하는 것에는 대상지의 공기 중 이온 분포 특성의 차이를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음이온 발생량과 양이온 발생량을 고려한 이온지수를 활용하여 분석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ower, J. E. and J. 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1): 376-496. 

  3. Jeon, K.S. and Y.B. Cho(2009) A Study on the Negative Ions Contents in Forests. J. of KIFR, 5-17. 

  4. Ji, C. K.(2003) Anionic effect(2nd ed.). Living Books, 183pp. 

  5. Jo, Y. B.(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itable Locations Evaluation Model and Therapy Type to Therapeutic Forest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6. Kim, I.S., D.A. Lee, S.I. Park, H. Ha and S.I. Yang(2014) Distribution of Anions in Valley Area. J. kor. Soc. Environ. Eng. 36(4): 246-250. 

  7. Kim, J. S. and T. Y. Kim(2013)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hu, 689pp. 

  8. Kim, J.H., D.K. Oh and Y.H. Yoon(2012) Anion Concentrations of Urban Regeneration Stream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Cheonggyecheon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13(3): 37-46. 

  9. Kim, J.H., D.K. Oh, W.J. Choi and Y.H. Yoon(2017) Air Ion Distribution of Traffic Volume in Urban Area -Wiryeseong main road, in Songpa-gu, Seoul-. JKSUE 17(2): 137-144. 

  10. Kim, S.K., W.S. Shin and M.K. Kim(2008) The Effects of Negative Ions on Stress Responses and Cognitive Functions. Jour. Korean For. Soc. 97(4): 423-430. 

  11. Krueger, A. P. and E.J. Reed(2006) Biological impact of small air ions. Science 193(4259): 1209-1213. 

  12. Lee, B.K.(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uropathy after Forest Phytoncide Therapy. Ph. D. Dissertation, Dongbang graduate university, seoul, 137pp. 

  13. Lee, C. S., H. J. Cho and H. B. Yi(2004) Stand dynamics of introduced black locust ( 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under different disturbance regimes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9(1): 281-293. 

  14. Lee, K. J.(2011) Tree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514pp. 

  15. Nam, H.I.(2013) A study on anion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forest type,topography and altitude. M. F. Dissertation, Sang Ji University, WonJu, 46pp. 

  16. Odum, E. P.(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17. Shin, H. C.(2006) The effects of ecological restoration confirmed in the Pitch pine (Pinus rigida) plantation. M. A. Thesis, Seoul Women's Univ., Seoul. 

  18. Shin, W.S., P.S. Yeoun, K.H. Kim and J.H. Lee(2012) Amount of a Negative ions by Forest Climates. J. of KIFR 16(4): 125-131. 

  19. Tammet, H., U. Horrak, L. Laakso and M. Kulmala(2006) Factors of air ion balance in a coniferous forest according to measurements in Hyytiala, Finland.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6(11): 3377-3390. 

  20. Um, T.W. and G.T. Kim(2010) Correlations Between Concentrations of Negative Ions and Forest Type, and Site Factors at National Forests in Yangyang-gun. Kor. J. Env. Eco. 24(5): 539-546. 

  21. Yoo, R.H. and S.A. Jeong(2009)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the Effect Using Forest on Human Health Improvement and Disease Prevention -Focusing on the Forest Therapy Certification in Japan-. J. of KIFR 13(2): 45-51. 

  22. Yoon, Y. H., D. K. Oh and J. H. Kim(2012) An Analysis of Anions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by Biotope Types in Summer for Pleasant Urban Environment. Urban Design 13(1): 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