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유방 확대 수술 환자용 브래지어의 착의 평가
A Study on the Brassiere Wearing Evaluation for Augmentation of Mammaplasty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2 no.5, 2018년, pp.737 - 752  

이경화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전공) ,  남영란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equency of breast augmentation surgery continues to increase annually; however, the method of follow-up care varies from hospital to hospital. In particular, many different types of post-operative bras are available in the market. This study evaluated the wearing comfort of various commerc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 확대 수술 직후에 착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시판 환자용 브래지어를 대상으로 실제 유방 확대 수술을 경험한 연구 대상자에게 착의 평가를 실시하여 객관적인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증가일로에 있는 유방 확대 수술 환자용 브래지어의 제작에 앞서 유방 확대 수술 직후에 착용하는 다양한 시판 브래지어의 착용 평가를 진행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복의 선정을 위해 5명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과 국내외에서 판매되고 있는 시판 유방 확대 수술 환자용 브래지어를 조사한 후 서로 다른 형태의 브래지어 5종을 선별한 후 구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많이 시술되는 미용 성형 수술에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우리나라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미용 성형 수술에는 상안검 성형, 코 성형, 지방 성형, 유방 확대 수술 등이 있는데, 이 중 지방 성형과 유방 확대 수술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4년에는 전체 건수가 58,601건이었으나 2015년 74,876건으로 약 27.8%나 증가하여 현재 우리나라 여성들 사이에 유방 성형 수술은 흔한 성형 수술 중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ISAPS, 2015, 2016).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이유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지니는 가장 본질적인 욕구이며,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이 윤택해질수록 외모에 대한 관심은 커져왔다. 특히 빠른 경제 성장과 정보 통신의 발달로 정보 공유의 용이성에 따른 인식 변화와 외모가 가지는 사회 경제적인 가치가 점차 커지게 되었고 그 결과 세계적으로 미용 성형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Shin, 2011).
유방 확대 수술의 합병증에 대한 불안감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유방 확대 수술에 대한 시술 건수는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그만큼 합병증에 대한 불안감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유방 확대 수술의 경우, 다른 성형 수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술 부위의 크기가 크고, 인공 보형물을 인체 내에 삽입해야 하며, 수술 후 관리에 따라 보형물의 위치가 변형된다거나 유방의 모양이 변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체형에 어울리는 이상적인 가슴성형 수술 [Ideal breast plastic surgery for individual's body shape]”, 2017). 또한 유방 확대 수술 후에도 보형물 손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유방 검진을 하고자 하는 여성들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H. (2017). Development of dress brassiere for small breast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2.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2011). ISAPS international survey on aesthetic/cosmetic procedures performed in 2011.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Retrieved October 1, 2018, from https://www.isaps.org/wp-content/uploads/2017/10/ISAPS-Results-Procedures-2011-1.pdf 

  3.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2013). ISAPS international survey on aesthetic/cosmetic procedures performed in 2010 (Rev. ed.).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Retrieved October 1, 2018, from https://www.isaps.org/wp-content/uploads/2017/10/ISAPSResults-Procedures-2010-1.pdf 

  4.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2015). ISAPS international survey on aesthetic/cosmetic procedures performed in 2015.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Retrieved October 1, 2018, from https://www.isaps.org/wp-content/uploads/2017/10/2016-ISAPS-Results-1.pdf 

  5.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2016). THE INTERNATIONAL STUDY ON AESTHETIC/COSMETIC PROCEDURES PERFORMED IN 2016.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Retrieved October 1, 2018, from https://www.isaps.org/wp-content/uploads/2017/10/GlobalStatistics2016-1.pdf 

  6. Jee, S. M., Lee, S., Park, E., Park, J., & Kim, J. (2014). Determine the status of cosmetic plastic procedure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booklet for the users.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7. Kim, H. S. (2008). A study on fitness and pattern analysis in brassiere wearing by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8. Lee, S. (2004). Complications and reasons for dissatisfaction in augmentation mammoplasty - Analysis of 42 cases of re-operation -. Journal of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7(2), 121-125. doi:10.4048/jkbcs.2004.7.2.121 

  9. Lee, S., Kim, S. H., & Han, B. K. (2011). Rupture of the cohesive silicone gel implant after breast aug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80(2), 96-102. doi: 10.4174/jkss.2011.80.2.96 

  10. Min, Y. S., Kweon, S. A., & Sohn, B. H. (2016). Brassiere pattern designed to fit into the breast shapes-based on ESMOD patter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4), 15-35. doi:10.12940/jfb.2016.20.4.15 

  11. Oh, S. Y.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brassiere pattern and a grading method for the 1924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Shin, M. S. (2011). Present and future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6), 581-588. doi:10.5124/jkma.2011.54.6.581 

  13. Sohn, B. H., Choi, J. Y., & Kweon, S. A. (2015).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s depending on breast and bra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4), 586-600. doi:10.5850/JKSCT.2015.39.4.586 

  14. Sohn, B. H., & Yi, K. H. (2017). Brassiere pattern development for augmentation mammaplast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4), 646-660. doi:10.5850/JKSCT.2017.41.4.646 

  15. Suh, C. (2010). Comparative pattern analysis and the fitness evaluation of brassie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73-685. doi:10.5850/JKSCT.2010.34.4.673 

  16. Yi, K. H., & Nam, Y. R. (2017). A study on the brassiere wearing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augmentation mammaplast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6), 1141-1153. doi:10.5850/JKSCT.2017.41.6.1141 

  17. Yi, K. H., & Sohn, B. H. (2017). Breast type classification of breast augmented patients using photogrammetric ratio measurements (PRM).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1(2), 61-77. doi:10.12940/jfb.2017.21.2.61 

  18. 체형에 어울리는 이상적인 가슴성형 수술 [Ideal breast plastic surgery for individual's body shape]. (2017, July 1). Better Tomorrow With Sharing. Retrieved August 18, 2017, from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22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