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사용 의도 -신뢰-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Consumers' Usage Intentions on Onlin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Trust-commitmen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2 no.5, 2018년, pp.871 - 883  

이하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  윤남희 (한국패션유통정보연구원) ,  장세윤 (한국패션유통정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ests consumer responses to onlin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offered by a website. A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refers to a filtering system that predicts and shows items that consumers would like to purchase based on their searches or pre-purchase information. The survey is 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리테일러에 대해 소비자가 지니는 신뢰에 집중하고 이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는 신뢰-몰입 이론(Morgan & Hunt, 1994)을 적용하여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사용 의도를 설명하고자 한다.
  •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소비자와의 단순한 의사소통에서 더 나아가 개인의 선호와 취향을 고려한 서비스이며 개인과의 관계와 유대감이 중시되는 서비스인 만큼 의사소통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개인화 품질과 관계 품질이라는 요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천 서비스는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된 기술에 대한 우수성 지각이 의사소통을 평가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기술 품질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지각을 개인화 품질, 관계 품질, 기술 품질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품질 지각이 신뢰와 몰입을 매개하여 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온라인 쇼핑 시간의 조절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상품추천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면적으로 살펴보았다.
  • 따라서 특정 쇼핑상황에 대한 관심 정도나 탐색 시간에 따라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평가하는 기준이 달라질 것이며 이에 대한 태도 및 행동 의도 역시 차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쇼핑 상황에 대한 관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온라인 쇼핑 시간을 제안하고 일평균 온라인 쇼핑 시간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에 따라 온라인 상품 추천 서비스의 품질이 소비자 신뢰와 몰입을 매개하여 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것이라고 예상한다. 온라인 상품추천서비스는 신기술이 활용된 혁신적인 서비스로 이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 의도는 개인이 온라인 쇼핑에 얼마나 익숙한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에 일평균 온라인 쇼핑 시간의 조절효과를 예상하는 바이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 시간에 따라 설문참여자를 라이트유저 vs. 헤비 유저로 구분하고 집단에 따라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이 다른지 살펴봄으로써 소비자 맥락에서 관련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의의를 지닌다.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선행연구가 있지만(Choi& Lee, 2012; Maeng, 2018; Park, 2016) 이들 연구에서는 단순히 소비자 만족이나 이용 의도만 측정함으로써 상품추천 서비스가 왜, 어떻게 소비자 만족을 높였는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쇼핑 상황에 대한 관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온라인 쇼핑 시간을 제안하고 일평균 온라인 쇼핑 시간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에 따라 온라인 상품 추천 서비스의 품질이 소비자 신뢰와 몰입을 매개하여 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것이라고 예상한다. 온라인 상품추천서비스는 신기술이 활용된 혁신적인 서비스로 이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 의도는 개인이 온라인 쇼핑에 얼마나 익숙한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에 일평균 온라인 쇼핑 시간의 조절효과를 예상하는 바이다.
  •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일반적인 온라인 리테일러가 제공하는 정보와 달리 고객의 선호와 취향을 고려한 개인화된 서비스이며 고도의 딥러닝 기술이 사용되는 서비스라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품질을 구체적으로 개인화 품질, 관계 품질, 기술 품질로 구분함으로써 온라인 추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다면적으로 파악하고 신뢰와 몰입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새로운 딥러닝 기술이 반영된 혁신적인 서비스로 온라인 쇼핑에 익숙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 따라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이 다를 것이라 예상한다.
  • 인터넷 정보 탐색 시간이 길수록 정보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우호적이며 탐색 시간은 정보의 전문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Cho, 2011) 소비자의 온라인 사용 수준은 서비스 품질이 신뢰와 몰입을 매개하여 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시간에 따라 라이트 유저(light users)와 헤비 유저(heavy users)를 구분하고 이의 조절효과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의 여러 요소에 대해 소비자가 어떻게 지각하는지 파악함으로써 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에 초점을 맞추어 서비스 품질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개인 정보가 기반이 되어 제공되는 서비스인 만큼 서비스 자체에 대한 신뢰가 사용 의도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서비스 품질은 고객에 대한 즉각적 반응, 개인적 관심 등의 관계적인 측면으로 측정함으로써 기술이 활용된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이 소비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의 친밀하고 관계적인 특성을 관계 품질로 정의하고 관계 품질이 소비자 신뢰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정보 품질은 리테일러가 제공하는 정보가 시각적으로 보기 좋고 충분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며 응답 품질은 소비자에 대한 응답 속도와 응답 내용이 적절한지에 대한 것으로 두 요인 모두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 지각이 신뢰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을 개인화 품질, 관계 품질, 기술 품질의 세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사용 의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설문참여자로 하여금 자신의 취향을 직접 응답하게 함으로써 개인 선호를 반영한 추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 같은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설문을 설계하였으며, 시각적 자극물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실제적인 소비자 지각 및 태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지각을 개인화 품질, 관계 품질, 기술 품질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품질 지각이 신뢰와 몰입을 매개하여 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온라인 쇼핑 시간의 조절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상품추천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면적으로 살펴보았다. 평소 온라인 쇼핑시간이 적은 라이트 유저의 경우 헤비 유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뢰가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보다 온라인 리테일러와의 관계적 측면인 몰입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b: Numbers below diagonal are squared correlation estimates of two variables.
  • 가설3: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의 a) 개인화 품질, b)관계 품질, c) 기술 품질은 소비자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의 a) 개인화 품질, b)관계 품질, c) 기술 품질은 소비자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 소비자 신뢰는 소비자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소비자 신뢰는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5: 소비자 몰입은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6: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시간에 따라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의 품질이 소비자 신뢰와 몰입을 매개하여 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웹상에서 수집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에게 맞춤화된 상품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Oh,2018; Park, 2016).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추천 시스템 방식에 따라 크게 개인화 추천 시스템, 사용자 기반협업 필터링, 지식 기반 필터링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Kim, 2017; Kim et al., 2009; Ko et al.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란 무엇인가? 최근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인공지능 기술, 딥러닝알고리즘 등의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달로 방대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편리한 쇼핑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웹상에서 수집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에게 맞춤화된 상품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Oh,2018; Park, 2016). 온라인 상품추천 서비스는 추천 시스템 방식에 따라 크게 개인화 추천 시스템, 사용자 기반협업 필터링, 지식 기반 필터링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Kim, 2017; Kim et al.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의 대표적인 예시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은 비슷한 취향이나 선호도를 가진 타인의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고객에게 제품을 추천해주는 방식을 지닌다(Na & Lee, 2017). 사용자와 비슷한 상품을 검색한 타인이 구매한 제품을 제시해주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마지막으로 지식 기반 필터링은 해당 상품분야의 전문가가 상품을 추천해주는 것으로(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i, A., Krapfel Jr., R., & LaBahn, D. (1995). Product innovativeness and entry strategy: Impact on cycle time and break-even tim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2(1), 54-69. doi:10.1016/0737-6782(94)00027-D 

  2. Bae, S. J., & Cho, B. J. (2008).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marketing factors,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marketing performance focusing on car sales busines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1(3), 1-22. doi:10.17053/jcc.2008.11.3.001 

  3. Cho, M. H. (2011). The role of prior knowledge in information search and factors to influence search behavior through the internet website of tourism destina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6(4), 567-589. 

  4. Choi, I. Y. (2012). 브랜드, 소비자, 광고모델 개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personality of brand, consumer and celebrity endorsor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5. Choi, J., & Lee, H. J. (2012).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user evaluating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s: Performance-driven or user-centric.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7(3), 85-103. doi:10.7838/jsebs.2012.17.3.085 

  6. Dwyer, F. R., Schurr, P. H., & Oh, S. (1987). Developing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51(2), 11-27. doi:10.2307/1251126 

  7.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0). Consumer behavior (6th ed.). Chicago, IL: Dryden Press. 

  8. Fornell, C., & Larcker, D. F.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doi:10.2307/3150980 

  9. Hampton, G. M., & Hampton, D. L. (2004).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The case of Certified Nurse-Midwiv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 (9), 1042-1053. doi:10.1016/S0148-2963(02)00356-9 

  10. Hyun, Y. H., Kim, H. C., & Kim, Y. G. (2014). A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reuse intention to augmented reality by applying transformed TAM model: A focus on the moderating role of telepres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usefulness. Korean Management Review, 43(5), 1465-1492. 

  11. Joreskog, K. G. (1971). Simultaneous factor analysis in several populations. Psychometrika, 36(4), 409-426. doi:10.1007/BF02291366 

  12. Kim, J. (2017).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collaborative filtering on Twitter using social network mining. The e-Business Studies, 18(1), 145-159. doi:10.15719/geba.18.1.201702.145 

  13. Kim, J., Park, S. C., & Lee, W. J. (2005).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on the onlin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22 (2), 51-76. 

  14. Kim, N. (2018). The impact of social ties, trust, and adoption on intention in sharing travel information on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2(5), 117-136. doi:10.17086/JTS.2018.42.5.117.136 

  15. Kim, Y., Kim, M. S., Kim, Y. B., & Park, J. H. (2009). A study o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contents using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81-105. doi:10.3743/KOSIM.2009.26.1.081 

  16. Ko, H., Kim, S., & Kang, N. (201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mirror supporting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personal usage data.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23(1), 65-73. doi:10.5626/KTCP.2017.23.1.65 

  17. Kwon, E., & Ha, H. Y. (2015). Effects of web sit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trust in the context of beauty service products: Moderating roles of perceived risk and types of web site. The e-Business Studies, 16(6), 305-334. doi:10.15719/geba.16.6.201512.305 

  18. Lee, D., Kim, U., & Yeom, K. (2017).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user context-aware based knowledge filtering in smart environm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13(2), 35-48. 

  19. Maeng, J. H. (2018). User cognitive experiences depending on contents characteristics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on mobile commer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hoice overload and moderating role of self-constru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20. Mock, Y. S., & Yi, C. Y. (2015). Moderating effects of online brand community perception and influence of self-derermination on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community and its registered members.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8(1), 51-60. 

  21. Moorman, C., Zaltman, G., & Deshpande, R. (1992). Relationships between providers and users of market research: The dynamics of trust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3), 314-328. doi:10.2307/3172742 

  22. Morgan, R. M., & Hunt, S. D.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doi:10.2307/1252308 

  23. Mukherjee, A., & Nath, P. (2007). Role of electronic trust in online retailing: A re-examination of the commitment-trust theor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1(9/10), 1173-1202. doi:10.1108/03090560710773390 

  24. Na, K. T., & Lee, J. H. (2017).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co-occurrence and similarity information.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8(3), 19-28. doi:10.7472/jksii.2017.18.3.19 

  25. Nkwocha, I., Bao, Y., Johnson, W. C., & Brotspies, H. V. (2005). Product fit and consumer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s: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involvemen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3(3), 49-61. doi:10.1080/10696679.2005.11658549 

  26. Oh, D. H. (2018, February 9). 네이버, AI기반 개인 상품 추천 시스템 '에이아이템즈' 고도화 [NAVER, Advancement of personalization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AI 'AiTEMS']. NEWSIS. Retrieved July 21, 2018, from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209_0000226324&cID13001&pID13000 

  27. Parasuraman, A., Berry, L. L., & Zeithaml, V. A. (1991). Refinement and reassessment of the SERVQUAL scale. Journal of Retailing, 67(4), 420-450. 

  28. Park, J. W., & Choi, E. I. (2017).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framework using the beacon.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12(2), 227-233. 

  29. Park, S. C., & Koh, J. (2013). Determinants of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for group purchasing: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involvement.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2(2), 139-154. 

  30. Park, Y. J. (2016). An analysis of customer preferences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and influencing factors: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ic goods and apparel products. Information Systems Review, 18(2), 59-77. doi:10.14329/isr.2016.18.2.059 

  31. Pavlou, P. A. (2003). Consumer acceptance of electronic commerce: Integrating trust and risk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7(3), 101-134. doi:10.1080/10864415.2003.11044275 

  32. Petty, R. E., & Cacioppo, J. T. (1986).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9, 123-205. doi:10.1016/S0065-2601(08)60214-2 

  33. Schurr, P. H., & Ozanne, J. L. (1985). Influences on exchange processes: Buyers' preconceptions of a seller's trustworthiness and bargaining tough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4), 939-953. doi:10.1086/209028 

  34.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35. Tam, K. Y., & Ho, S. Y. (2006). Understanding the impact of web personalization on us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outcomes. MIS Quarterly, 30(4), 865-890. doi: 10.2307/25148757 

  36. Yoon, S. J. (2002).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rust in online-purchase decision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6(2), 47-63. doi:10.1002/dir.100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