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교사와 학부모의 구강보건교육 내용 우선순위 요구분석
A Needs Analysis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for Teachers and Parents Using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8 no.4, 2018년, pp.252 - 264  

김지수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강유민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이수영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육 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구강보건교육 요구를 바탕으로 구강보건교육 내용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 26일부터 2018년 1월 21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충청, 경상, 세종, 부산 지역의 보육 교육기관 교사 212명과 학부모 215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 구강보건교육의 요구는 교사와 학부모가 각각 89.7%, 88.8%로 높게 나타났고, 구강보건교육 담당자로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와 학부모는 '영유아전담 치과위생사'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구강보건교육 내용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교육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보건교육 8개 영역의 40개 내용 모두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의 최우선 순위는 7개 항목, 학부모의 최우선 순위는 9개 항목으로 두 집단의 최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와 학부모가 구강보건교육의 최우선 우선순위 내용은 5개 항목으로 '치아우식증의 진행과정', '치아우식증의 증상',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방법', '영구치의 맹출 순서', '치아 탈구 시 응급처치 방법'이었다.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가 최우선으로 요구하는 구강보건교육 내용은 '유치의 맹출 순서', '영구치의 기능'이 추가되었고, 학부모가 최우선으로 요구하는 구강보건교육 내용은 '불소도포의 효과', '영구치의 개수', '부정교합의 예방법', '부정교합의 치료시기'가 추가되었다. 향후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와 학부모가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최우선순위 구강보건 교육 내용 5개 항목을 포함하고,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대상 구강보건교육에서는 7개 교육 내용, 학부모대상 구강보건교육에는 9개의 교육 내용이 우선적으로 반영된 피교육자 요구도 중심으로 영유아 구강보건교육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iorities of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for preschool children by targeting teachers and parents using the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12 teachers and 215 parents from December 26, 2017 to Jan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육·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유아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실제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교육 내용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보육·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구강보건교육 요구와 구강보건교육 내용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의 대표적인 구강질환은 무엇인가? 영유아의 대표적인 구강질환은 치아우식증으로 유치는 영구치에 비해 치아우식증이 이환되기 쉽고 치료시기가 늦어지면 영구치 발육에 장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유치우식증을 경험한 어린이는 영구치 우식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1).
The Locus for Focus 모델은 Borich요구도 분석의 어떤 한계를 보완 하였는가? 선행연구의 요구도 분석에서는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Borich 요구도13)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Borich 요구도 분석은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차이를 우선 순위로 제시하였지만 어느 순위까지 결정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 반면 The Locus for Focus 모델14)은 좌표 평면에 필요수준의 평균값과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에 대한 평균값을 축으로 하여 네 개의 사분면으로 나누어 우선 순위 군을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의 단점을 보완한 연구방법이다.
교육 요구 분석에서 ‘요구’란 무엇인가?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자의 요구도 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교육 요구 분석 에서 ‘요구’란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차이를 의미하며,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이 모두 측정 가능해야 하고 그 차이는 ‘가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12). 연구대상자의 의견을 단순히 조사하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의 요구를 체계 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교육내용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향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in BH, Lee BJ, Paik DI: Prevalence of incipient lesions in surveyed preschool children, Kuro-gu, Seoul: a pilot study. J Korean Acad Oral Health 28: 548-558, 2004. 

  2. Lee JY, Cho PK: Awareness and practice of dental caries prevention according to concerns and recognition for off-spring’s oral health. J Korean Soc Dent Hyg 11: 1005-1016, 2011. 

  3. Park CS, Kang EJ, Song JY, Song KS: The influence on infant oral health care from mother's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J Korean Soc Dent Hyg 12: 1183-1192, 2012. 

  4. Wierzbicka M, Petersen PE, Szatko F, Dybizbanska E, Kalo I: Changing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ur of schoolchildren in Poland. Community Dent Health 19: 243-250, 2002. 

  5. Lee SN, Kim SE: Comparis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in perception of oral health behavior and education for children. J Dent Hyg Sci 13: 125-134, 2013. 

  6. Park CS, Park JY, Lee SO: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teacher. J Korean Soc Dent Hyg 13: 1031-1039,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6.1031 

  7. Kwun HS, Lee EG, Cho GS: Research on th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following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J Korean Acad Dent Hyg Educ 9:670-684, 2009. 

  8. Kim YH: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ur on oral health statu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Dent Hyg Educ 5: 15-27, 2005. 

  9. Lee CH, Jang YH: A study on the dental plague formation and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G college in affiliation. Korean J Health Serv Manag 4: 63-72, 2010. 

  10. Jung YM, Hwang TY, Jeon MJ: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teachers and oral care services for children in nursery schools in Daegu.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7: 196-204, 2013. https://doi.org/10.21896/jksmch.2013.17.2.196 

  11. Jung KH, Lee HS, Jeon JG, Chang KW: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preschool teachers on oral health educati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33: 597-607, 2009. 

  12. Jho DY: Exploring how to set priority in need analysis with survey. J Res Educ 35: 165-187, 2009. 

  13. Borich GD: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 Teach Educ 31: 39-42, 1980.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14. Cho DY: Need analsis of job competence based on teacher developm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J Korean Teach Educ 26: 365-385, 2009. 

  15. Cho DY, Park YH, Kim BR, Kim HY: An need analysis on principal’s job competency. Korean J Teach Edu 27: 293-315, 2010.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4.293 

  16. Kim SJ, Lee CS: A study on needs of women immigrants on life-long education. J Korea Acad-Ind Coop Soc 13: 1084-1090,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3.1084 

  17. Han JY: A study on young child education practitioners'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its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2007. 

  18. Yu HJ: Current status of completion of required courses for teachers'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quest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2. 

  19. Lee MO: A study on development of a program in oral health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Public Health Res 30: 170-184, 2004. 

  20. Kim OJ, Kim JJ: A needs analysis on pre-training of education practicum conterts for pre-service teachers. Korean Soc Early Child Teach Educ 17: 457-474, 2013. 

  21. Kim JH, Kim HJ, Kim HJ, et al.: A study on need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Incheon. J Dent Hyg Sci 11: 505-512, 2011. 

  22. Lee HN, Shim HS: A study on preschool teachers’ dental health recognition and behaviors about preschoolchildren dental health care. J Dent Hyg Sci 8: 283-289, 2008. 

  23. Hwang YS, Kim YN, Lee SS, et al.: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J Korean Acad Dent Hyg Educ 5: 297-309, 2005. 

  24. Jung JY, Han SJ: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n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mong oral health workers. J Korean Soc Dent Hyg 17: 875-887, 201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5.875 

  25. Ji YJ, Yoon HS: Relationship between health knowledge and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oral health-related experience of some maritime police officers. J Korea Contents Assoc 15: 322-32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322 

  26. Yang SM, Kim JH, Choi NK, Lim HS, Kim SM: Effectiveness of dental emergency education for school nurse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4: 38-46, 2017. https://doi.org/10.5933/JKAPD.2017.44.1.38 

  27. Choi SC, Park JH, Lee KH: A study of the traumatic inju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0: 618-625, 2003. 

  28. Lee KH, Kim MJ, Kim SR, et al.: The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malocclusion on employment. J Korean Soc Dent Hyg 17: 577-588, 201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4.577 

  29. Shaw WC, O'Brien KD, Richmond S, Brook P: Quality control in orthodontics: risk/benefit considerations. Br Dent J 170: 33-37, 1991. 

  30. Kim EY. A comparative analysis on teacher's job and performance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Korean J Teach Edu 30: 121-145, 2013. https://doi.org/10.24211/tjkte.2013.30.2.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