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치아우식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
User evalu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CAMBRA-kids, for caries management in preschooler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9 no.5, 2019년, pp.859 - 871  

강유민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이수영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ability, quality, and usefulness of the mobile application, CAMBRA-kids, for caries management in preschoolers. Methods: Ninety-one caregivers and preschoolers participated in the user evaluation of CAMBRA-kids. The evaluators assessed the usab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영유아의 체계적인 치아우식 관리를 위해 개발된 ‘CAMBRA-kids’ 애플리케이션 내의 정보의 질이나 사용 중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평가인 애플리케이션의 질, 효용성,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CAMBRA 모델을 기반으로 소아 우식관리를 위해 개발된 ‘CAMBRA-kids’ 애플리케이션 내의 정보의 질이나 사용 중 발생하는 문제점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자 평가를 하여 사용자의 의견과 애플리케이션이 유용한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소아 우식관리 애플리케이션 ‘CAMBRA-kids’의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를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질과 효용성 및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MBRA 모델은 무엇인가? CAMBRA 모델은 2003년 캘리포니아 치과의사협회에서 발표되었는데, 개인의 우식 위험도를 과학적인 근거에 따라 초고위험,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등의 4가지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각 위험군에 맞춤형 치료법을 제공하는 환자 중심의 우식관리 프로그램이다[6,7]. 유아기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8], 개인별로 치아우식증에 기여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인 예방법보다는 대상자별로 요인을 조사하여 상태에 따른 맞춤형 관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6,7,9,10].
기존 CAMBRA 모델의 단점은 무엇인가? 유아기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8], 개인별로 치아우식증에 기여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인 예방법보다는 대상자별로 요인을 조사하여 상태에 따른 맞춤형 관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6,7,9,10]. 이에 CAMBRA 모델은 치아우식증에 이환될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및 초고위험군 아동 에게 필수적인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지만[9], 기존의 CAMBRA 모델은 보호자의 면담과 설문을 진행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참여율과 설문 회수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11].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CAMBRA 모델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CAMBRA-kids’ 애플리케이션이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용성과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사용자의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또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질에 대한 타당성과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사용자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사용자의 구체적인 평가가 필요 하다고 하였다[13]. 사용자 평가는 질 평가[14], 사용성 평가[15], 효용성 평가[16] 등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질평가는 사용자 입장에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나 서비스의 품질이 좋은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며 사용성 평가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과정 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정확하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과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흥미를 평가하는 것이다[17]. 효용성 평가는 사용자가 생각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가치나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oh MS, Heo HN, Choi YJ, Lee HS.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8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9: 14-20. 

  2. Jin DH, Heo TH, Lee Y, Choung JT. Qualitative assessment of atopic dermatitis-related mobile applications in Korea.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4;2(5):370-6. https://doi.org/10.4168/aard.2014.2.5.370 

  3. Kim GH, Lee KH. Percep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oral health care education in infants and toddlers. J Korean Soc Dent Hyg 2018;18(6):987-1001.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85 

  4. Jeong SJ, Lim K, Ko YJ, Sim HA, Kim KY. The analysis of trend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d educational use. J Dig Cont Soc 2010;11(2):203-16. 

  5. Kang YM, Lee SY. Heuristics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CAMBRA)-kids application for caries management of preschoolers. J Korean Soc Dent Hyg 2019[In press]. 

  6. Ramos-Gomez FJ, Crall J, Gansky SA, Slayton RL, Featherstone JD. Caries risk assessment appropriate for the age 1 visit(infants and toddlers). J Calif Dent Assoc 2007;35(10):687-702. 

  7. Ramos-Gomez FJ, Crystal YO, Ng MW, Crall JJ, Featherstone JD. Pediatric dental care: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tocols based on caries risk assessment. J Calif Dent Assoc 2010;38(11):746-61. 

  8. Ramos-Gomez FJ, Kim YJ, Ng MW, Stephanie Y. New visions in pediatric dentistry keeping healthy teeth caries free-pediatric CAMBRA protocol.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13;40(1):73-80. 

  9. Cho YS. Clinical preventive dental and dental hygiene practice by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CAMBRA). J Dent Hyg Sci 2012;12(6):545-57. 

  10. Kim BI. Korean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K-CAMBRA). Korean Dent Assoc 2014;52(8):456-63. 

  11. Koo SY, Lee SY. Caries management of high-risk children by caries risk assessment. J Dent Hyg Sci 2018;18(2):97-104. https://doi.org/10.17135/jdhs.2018.18.2.97 

  12.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edical devices[Interne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2014.[cited 2019 Mar 24]. Available from: https://www.fda.gov/regulatory-information/search-fda-guidance-documents/mobile-medical-applications 

  13. Kim ML, Kim JE. Usability test of serious game robot app for hospitalized children. J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 2019;20(2):228-34. https://doi.org/10.5762/KAIS.2019.20.2.228. 

  14. Jeon EJ.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diabetes self-management mobile application based on imb model[Doctoral dissertation]. Seoul:Univ. of Seoul National, 2017. 

  15. Byun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phone app "healthy kids" for children's weight control with their parents[Master's thesis]. Seoul:Univ. of Seoul National, 2018. 

  16. Kim M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Master's thesis]. Seoul:Univ. of Seoul National, 2014. 

  17. Jo JG, Heo WH. Usability evaluation frameworks of mobile apps on smartphone. AJMAHS 2017;7(12):841-8. https://doi.org/10.14257/ajmahs.2017.12.24 

  18. Virzi RA. Refining the test phase of usability evaluation-how many subjects is enough. Hum Factors 1992;34(4):457-68. 

  19. Faulkner L. Beyond the five-user assumption-benefits of increased sample sizes in usability testing. Behav Res Methods Instrum Comput 2003;35(3):379-83. https://doi.org/10.3758/BF03195514 

  20. Delone WH, McLean ER. The e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 Manage Inform Syst 2003;19(4):9-30. 

  21. Wang YS, Wang HY, Shee DY. Measuring e-learning systems success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Comput Hum Behav 2007;23(4):1792-808. https://doi.org/10.1016/j.chb.2005.10.006 

  22. Stoyanov SR, Hides L, Kavanagh DJ, Wilson 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uMARS). J Med Internet Res 2016;4(2):72. https://doi.org/10.2196/mhealth.5849 

  23. Demidowich AP, Lu K, Tamler R, Bloomgarden Z. An evaluation of diabetes self-management applications for android smartphones. J Telemed Telecare 2012;18(4):235-8. https://doi.org/10.1258/jtt.2012.111002 

  24. Kang H, Park HA. A mobile app for hypertension management based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and deployment. J Med Internet Res 2016;4(1):12. https://doi.org/10.2196/mhealth.4966. 

  25. Shim H, Kim YJ, Park MJ. Differences on satisfac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by smartphone users' characteristics. J Korea Academia-Ind Coop Soc 2016;17(7):410-9. https://doi.org/10.5762/KAIS.2016.17.7.410 

  26. Lee MH.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education needs on the policemen[Master's degree]. Gwangju:Univ. of Chonnam National, 2017. 

  27. LeBeau K, Huey LG, Hart M. Assessing the quality of mobile apps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evaluation using the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J Med Internet Res 2019;7(5):13019. https://doi.org/10.2196/13019 

  28. Zhang H, Gil TS, Kang EJ. A feasibility study of Korean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MAR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blood pressure management app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8;35(3):41-51. https://doi.org/10.14367/kjhep.2018.35.3.41 

  29. Chinn CH, Levine J, Matos S, Findley S, Edelstein BL. A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approach in the development of a caries risk assessment mobile tablet application: my smile buddy. J Health Care Poor Underserved 2013;24(3):1010-20. https://doi.org/10.1353/hpu.2013.0114 

  30. Li Y, Ding J, Wang Y, Tang C, Zhang P. Nutrition-related mobile apps in the China app store: assessment of functionality and quality. J Med Internet Res 2019;7(7):13261. https://doi.org/10.2196/13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