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Analysi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Needs about Program outcom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315 - 324  

남성미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 인식정도를 조사하여 간호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에 소재한 일 대학 4년제 간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30일부터 1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프로그램학습성과 항목 중 중요도는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통합적 간호술 적용,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와 적용 순이었으며, 현재수준은 치료적 의사소통적용,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간호전문직 표준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Borich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모델의 중복성 확인을 통한 최우선 순위 항목은 통합적 간호술 적용,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보건의료팀간 협력관계, 간호과정 적용,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이해와 적용이며, 차 순위는 치료적 의사소통, 간호전문직 표준 이해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햄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와 최우선순위 및 차순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방법론적 접근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program outcomes in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included 256 nursing students at K college,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30 to December 22, 2017. Data was analyzed with SPSS WIN 20.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학습성과에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가 인식한 프로그램학습성과의 중요도는 평균 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현재수준과 중요도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간호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과기반 교육과정의 질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 인식 정도와 간호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간호교육과정 개선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인식[6], Borich 공식을 활용한 연구[11,12]만 있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파악하고, t검정,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요구와 우선순위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 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기반 교육이란? 2017년부터 시작된 3주기 간호 교육인증평가에서는 지난 2주기를 통해 구축한 학습성과기반 교육체제의 안정적인 운영과 성과기반 교육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강화하였다[1]. 성과기반 교육이란 교육의 결과로 기대되는 학습성과를 학위과정 교육목표와 부합하도록 설정한 후 그 학습성과를 성취하도록 교육활동을 전개하고 학생의 학습성과 달성여부를 평가함으로서 졸업생들의 능력을 보장하고자 하는 교육패러다임이다[2].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평가원이 제시한 12개의 프로그램학습성과와 대학의 비전, 교육목표, 지역사회의 특성, 보건의료 환경 변화 등을 반영하여 간호교육기관별 프로그램학습성과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성과기반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성과기반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 교과목 CQI, 교육목표 달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활용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와 같이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의 교육요구를 반영하여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 평가한다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교육과정 관리 체계가 마련될 것이라 사료된다.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개념이해 뿐만 아니라, 요구분석을 통해 최우선 역량을 도출하여 프로그램에 적용시키고 학습자의 다양한 교육요구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야하는 이유는? 프로그램학습성과는 학생이 졸업하는 시점에서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역량은 단순히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만이 아니라 학생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기술, 전략 등을 재조정하고 능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3]. 학습성과는 교수자에게는 교육 내용, 방법, 평가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며 학생에게는 효과적인 학습계획 수립과 현재 자신의 성과와 성취수준을 확인하는 지표가 된다[4]. 따라서 성과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개념이해 뿐만 아니라, 요구분석을 통해 최우선 역량을 도출하여 프로그램에 적용시키고[5]학습자의 다양한 교육요구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Handbook, 2017, Available From :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4.php (accessed Jan., 28, 2018) 

  2.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Certification Criteria and Handbook, KTC2015, Available From : http://www.abeek.or.kr/intro/stendard(accessed Feb., 10, 2018) 

  3. M. J. Park, "New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24, no. 6, pp. 173-197, 2008. DOI: https://doi.org/10.15708/kscs.26.4.200812.008 

  4. S. Kim,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earning Outcom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24, no. 2, pp. 89-92, 2012. DOI: https://doi.org/10.3946/kjme.2012.24.2.89 

  5. M. H. Cho, "A Study on a Modified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Model for Inexperienced Learners: Focus on Teacher Competencies for SMART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2015. 

  6. S. H. Bea, J. S. Park,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s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 203-214,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03 

  7. S. I. Park, C. I. Lim, G. K. Lee, J. L. Choi,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p.23-47, Kyoyookgwahaksa. 2012. 

  8. D. Y. Cho, "Exploring How to Set Priority in Need Analysis with Survey",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vol. 35, no. 11, pp. 165-187, 2009. 

  9. Borich, G, D. "A Need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 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31, no. 3, pp. 39-42, 1980. DOI: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10. O. G. Mink, J. M. Shultz, B. P. Mink,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1991. 

  11. E. J. Cho, J. J. Sun, O. H. Kim, "Educational Needs of Program Outcomes among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5(B), pp. 2819-2839, 2014. 

  12. S. Y. Jung, E. K. Lee,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about Program Outcom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10, pp. 1-25. 201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10.1 

  13. O. H. Yoon, Theory and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pp. 169-175, YSW pub, 2017. 

  14. S. M. Nam, "A Development of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Nursing Education" doctoral thesis,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2015. 

  1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Workshop for development of outcome-based nursing curriculum (Issue Brief no. RR 2013-07-02), 2013. 

  16. Y. J. Lim,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Emotional Labor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Burnou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6, pp. 461-474, 201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6.461 

  17. I. S. Kown, Y. M. Seo,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 pp. 25-33, 2017. DOI: http://dx.doi.org/10.5977/jksne.2012.18.1.025 

  18. D. T. Lee, S. H. Baik, J. K. Choi, "Education experience of male nursing students" Holistic Health Science, vol. 3, no. 1, pp. 25-36, 2013. 

  19. C. Mackintosh, "Caring : the socialization of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 : A longitudinal qulitative descrip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3, no. 8, pp. 953-962, 2006. DOI: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5.11.006 

  20. E. J. Kim, J. Y. Lim, K. W. Choi, "The correla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decision making styl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4, no. 2, pp. 144-149, 2008. 

  21. E. M. Ji, J. H. Lee,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2, pp. 1125-1140, 2014. 

  22. I. Y. Cho, "The Relationship of Self Derectednes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Joua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635-3647,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635 

  23. M. H. Cho, I. S. Kwon,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2, pp. 143-15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