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상에서 차량 충돌에 의해 죽는 동물을 의미하는 로드킬(Roadkill)은 다양한 동물 개체군 크기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로가 잘 발달한 도시지역은 물론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지역에서도 척추동물의 사망을 유발하는 가장 큰 인위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계 안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분류군인 뱀류 로드킬이 국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다양성의 주축인 국립공원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6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발생한 뱀류 로드킬 현황을 조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총 10종 736건의 로드킬이 조사되었으며, 유혈목이(Rhabdophis lateralis), 누룩뱀(Elaphe dione),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능구렁이(Lycodon rufozonatus), 살모사(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의 91.7%를 차지하고 있었다. 섭식유형별로는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형 뱀류의 로드킬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월별로는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뱀류의 로드킬 경향 파악과 효율적인 로드킬 저감 방안과 각종 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상에서 차량 충돌에 의해 죽는 동물을 의미하는 로드킬(Roadkill)은 다양한 동물 개체군 크기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로가 잘 발달한 도시지역은 물론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지역에서도 척추동물의 사망을 유발하는 가장 큰 인위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계 안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분류군인 뱀류 로드킬이 국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다양성의 주축인 국립공원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6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발생한 뱀류 로드킬 현황을 조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총 10종 736건의 로드킬이 조사되었으며, 유혈목이(Rhabdophis lateralis), 누룩뱀(Elaphe dione),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능구렁이(Lycodon rufozonatus), 살모사(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의 91.7%를 차지하고 있었다. 섭식유형별로는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형 뱀류의 로드킬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월별로는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뱀류의 로드킬 경향 파악과 효율적인 로드킬 저감 방안과 각종 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roadkill that animals die after bumping by vehicles on the roads is acting as a factor to decrease the size of various animal populations. It has also been known to be the biggest artificial causations of Vertebrata deaths not only in urban areas but also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parks. ...
The roadkill that animals die after bumping by vehicles on the roads is acting as a factor to decrease the size of various animal populations. It has also been known to be the biggest artificial causations of Vertebrata deaths not only in urban areas but also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parks. Nevertheless, in the national park areas which are major protected national areas for conservation of national biodiversity and ecological diversity, snake roadkills occur frequently. Up to date, related studies are ra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cribed snake roadkill patterns on the roads in six national parks between 2006 and 2015. We identified total 736 snake roadkills compromising 10 different species. Five species, Rhabdophis lateralis, Elaphe dione, Gloydius ussuriensis, Lycodon rufozonatus, Gloydius brevicaudus occupied more than 91.7% of total roadkill cases. Active forager snakes were killed by roadkills more than ambush foragers, and the snake roadkill frequency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a migration period and in August when the young individuals dispersed at between 100 and 799 m altitude areas. Roads where roadkills were frequent lie between forest and hydrosphere or between forest and crop field road sides. Our results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trend of snake roadkills on the roads in national parks, and to establish effective roadkill mitigation measures and policies.
The roadkill that animals die after bumping by vehicles on the roads is acting as a factor to decrease the size of various animal populations. It has also been known to be the biggest artificial causations of Vertebrata deaths not only in urban areas but also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parks. Nevertheless, in the national park areas which are major protected national areas for conservation of national biodiversity and ecological diversity, snake roadkills occur frequently. Up to date, related studies are ra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cribed snake roadkill patterns on the roads in six national parks between 2006 and 2015. We identified total 736 snake roadkills compromising 10 different species. Five species, Rhabdophis lateralis, Elaphe dione, Gloydius ussuriensis, Lycodon rufozonatus, Gloydius brevicaudus occupied more than 91.7% of total roadkill cases. Active forager snakes were killed by roadkills more than ambush foragers, and the snake roadkill frequency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a migration period and in August when the young individuals dispersed at between 100 and 799 m altitude areas. Roads where roadkills were frequent lie between forest and hydrosphere or between forest and crop field road sides. Our results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trend of snake roadkills on the roads in national parks, and to establish effective roadkill mitigation measures and polic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6년에서 2015년 사이 6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발생한 뱀류 로드킬의 종별, 연별, 월별 발생 경향과 발생 지점의 고도와 도로 좌우측의 가장자리 환경 특성, 차량통행량과의 상관관계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뱀류 로드킬의 주요 원인을 밝히고, 그 결과를 국립공원 내 뱀류 보전 정책수립 기초자료 활용 및 효율적인 로드킬 저감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태계 안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분류군인 뱀류 로드킬이 국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다양성의 주축인 국립공원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6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발생한 뱀류 로드킬 현황을 조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총 10종 736건의 로드킬이 조사되었으며, 유혈목이 (Rhabdophis lateralis), 누룩뱀 (Elaphe dione),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능구 렁이 (Lycodon rufozonatus), 살모사 (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의 91.
제안 방법
국립공 원관리공단 로드킬 조사는 조사의 일관성 유지를 위하여 조사 및 기록방법 (좌표 취득,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 특성, 종 동정 등) 등이 규정된 「국립공원 로드킬 조사 매뉴얼 ('06년 제정)」에 따라 각 공원별로 관련 학문분야 학사 이상의 직원이 연중 매월 주 1회 이상 고정 조사 구간을 차량을 이용하여 20 km의 미만 속도로 이동하면서 로드킬이 관찰된 지점을 조사하였다.
또한, 로드킬이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길이 약 30 m × 너비 약 10m 중 가장 많은 넓이를 차지하고 있는 도로 좌·우 가장 자리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로드킬 자료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현장에서 직접 조사하여 수집한 자료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로드킬 자료를 합하여 GPS의 기계적 오차 또는 입력 시 오기로 인하여 로드킬이 발생한 도로 외곽선으로부터 20 m 이상을 벗어난 자료와 해당기간 동안 로드킬이 발생하지 않은 월악산의 2006년도 등 일부 년도를 제외한 736건을 분석하였 다. 로드킬 현장조사는 로드킬이 발견되면 날짜를 기록하고 해당 지점의 좌표를 GPS (GARMIN, GPSmap60CSx)를 이용하여 WGS84 좌표 체계로 기록하였다. 또한, 로드킬이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길이 약 30 m × 너비 약 10m 중 가장 많은 넓이를 차지하고 있는 도로 좌·우 가장 자리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로드킬이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길이 약 30 m × 너비 약 10m 중 가장 많은 넓이를 차지하고 있는 도로 좌·우 가장 자리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장자리 환경 특성은 크게 산림 (Forest), 농경지 (Crop field), 수계 (Hydrosphere), 민가 (Residential area)로 4가지로 구분하였으며, 도로를 중심으로 산림-산림 (FF), 산림-농경지 (FC), 산림-수계 (FH), 산림-민가 (FR), 농경지-농경지 (CC), 농경지-수계 (CH), 농경지-민가 (CR), 수계-수계 (HH), 수계-민가 (HR), 민가-민가 (RR) 등 총 10가지 세부유형으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국립공 원관리공단 로드킬 조사는 조사의 일관성 유지를 위하여 조사 및 기록방법 (좌표 취득,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 특성, 종 동정 등) 등이 규정된 「국립공원 로드킬 조사 매뉴얼 ('06년 제정)」에 따라 각 공원별로 관련 학문분야 학사 이상의 직원이 연중 매월 주 1회 이상 고정 조사 구간을 차량을 이용하여 20 km의 미만 속도로 이동하면서 로드킬이 관찰된 지점을 조사하였다.
또한, 공원별 로드킬 자료 비교를 위해서 조사구간 길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장 짧은 속리산 (18.0 km)을 기준으로 각 공원별 조사구간 길이에 가중치 (오대산 1.60, 지리산 2.68, 월악산 1.56, 속리산 1.00, 내장산 1.48, 덕유산 2.11)를 적용하여 산출한 발생빈도를 이용하였다.
국립공 원관리공단 로드킬 조사는 조사의 일관성 유지를 위하여 조사 및 기록방법 (좌표 취득,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 특성, 종 동정 등) 등이 규정된 「국립공원 로드킬 조사 매뉴얼 ('06년 제정)」에 따라 각 공원별로 관련 학문분야 학사 이상의 직원이 연중 매월 주 1회 이상 고정 조사 구간을 차량을 이용하여 20 km의 미만 속도로 이동하면서 로드킬이 관찰된 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 자료에는 현장 좌표, 도로 좌측과 우측의 환경 특성, 종 정보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후 세부적인 토지 피복 현황은 국립공원자원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를 기반으로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특성 자료를 로드킬 지점별로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확보하였다. 또한, 차량통행량과 로드킬 발생 빈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차량통행량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국립공원 내 뱀류의 로드킬 현황 자료를 기준으로 종별, 섭식유형별, 연도별, 월별, 계절별 (봄, 여름, 가을), 고도별,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특성별로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섭식유형에 따른 로드킬 빈도 분석은 잠복형 (Ambush predator)과 활동형 (Active predator) 2개 그룹으로 구분하 였다.
대상 데이터
국립공원 내 뱀류 로드킬 현황 분석은 국내 15개 산악형 국립공원 가운데 국도, 지방도 및 시도 등과 같이 국립공원을 관통하는 도로가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 국립공원 대비 연간 파충류 로드킬 빈도가 50건 이상인 오대산, 지리산, 월악산, 속리산, 내장산, 덕유산 등 총 6개 국립공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뱀류 로드킬 현황 자료는 6개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22개 노선, 187.
국립공원 내 뱀류 로드킬 현황 분석은 국내 15개 산악형 국립공원 가운데 국도, 지방도 및 시도 등과 같이 국립공원을 관통하는 도로가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 국립공원 대비 연간 파충류 로드킬 빈도가 50건 이상인 오대산, 지리산, 월악산, 속리산, 내장산, 덕유산 등 총 6개 국립공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뱀류 로드킬 현황 자료는 6개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22개 노선, 187.7 km 거리의 도로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로드킬 자료의 수집기간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의 기록을 이용하였다 (Table 1).
로드킬 자료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현장에서 직접 조사하여 수집한 자료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로드킬 자료를 합하여 GPS의 기계적 오차 또는 입력 시 오기로 인하여 로드킬이 발생한 도로 외곽선으로부터 20 m 이상을 벗어난 자료와 해당기간 동안 로드킬이 발생하지 않은 월악산의 2006년도 등 일부 년도를 제외한 736건을 분석하였 다.
Table 1. Rroadkill survey road sections in six national parks investigated in this study.
또한, 차량통행량과 로드킬 발생 빈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차량통행량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차량통행량을 이용한 탑승인원 추정 시 일괄적인 비율값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Choi et al., 2010), 국립공원 내 차량통행량 추정은 전체 탐방객의 72.3%가 차량을 이용하고, 차량 1대에 4인이 탑승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한다는 자료를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로드킬이 발생한 4월부터 11월까지 6개 국립공원의 차량통행량을 추정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데이터처리
11)를 적용하여 산출한 발생빈도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빈도 검증이 필요한 경우 웹 상 (Preacher, 2001)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차량 통행량과 로드킬 발생 빈도 사이의 관계는 Pearson 상관관계를 SPSS 통계프로그램 (ver.
자료의 빈도 검증이 필요한 경우 웹 상 (Preacher, 2001)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차량 통행량과 로드킬 발생 빈도 사이의 관계는 Pearson 상관관계를 SPSS 통계프로그램 (ver. 25)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섭식유형에 따른 로드킬 빈도 분석은 잠복형 (Ambush predator)과 활동형 (Active predator) 2개 그룹으로 구분하 였다.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살모사(Gloydius bre vicaudus), 까치살모사 (Gloydius intermedius)와 같은 독사과 (Viperidae) 종은 먹이를 잡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 특정 장소에 오랜 시간 머물러 있는 행동 습성을 보이기 때문에 잠복형으로 분류하였고, 누룩뱀(Elaphe dione), 유혈목이 (Rhabdophis lateralis), 구렁이 (Elaphe schrenckii)와 같은 뱀과 (Colubridae) 종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많은 탐색과 이동하는 행동 습성을 가지고 있어 활동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공원별 로드킬 자료 비교를 위해서 조사구간 길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장 짧은 속리산 (18.
연구기간 동안 총 10종(유혈목이, 누룩뱀, 쇠살모사, 능구렁이, 살모사, 까치살모사, 대륙유혈목이 Hebius vibakari, 무자치 Oocatochus rufodorsatus, 실뱀 Orientocoluber spina lis, 구렁이), 736건의 로드킬이 조사되었다. 이 중 유혈목이가 171건 (23.
88). 섭식유형별 발생빈도는 잠복형이 260마리 (35.4%)였으며, 활동형이 476마리(64.6%)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집단 간의 로드킬 발생 빈도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X2 = 2.
공원별로 발생한 연도별 발생빈도는 속리산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 0.001), 월별, 고도,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특성에 따라 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조사구간 길이 차이를 보정한 공원별 상대적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지리산이 404.7건 (30.9%)으로 가장 많았고, 오대산 379.2건 (29.0%), 월악산 187.2건 (14.3%), 덕유산 145.6 (11.1%), 내장산 105.1건(8.0%), 속리산 88건(6.7%) 순이었다 (Fig. 3). 공원별로 발생한 연도별 발생빈도는 속리산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 0.
5종간에 고도별 로드킬 발생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X2 = 36, P<0.001; Fig. 4B), 가장자리 환경특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Fig. 4C).
쇠살모사와 능구렁이, 살모사는 각각 유혈목이와 살모사, 능구렁이를 제외하고 다른 모든 종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각 공원의 월별 탐방객 수를 차량통행량으로 환산한 값과 각 공원의 월별 로드킬 빈도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6개 공원 모두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Fig. 5).
본 연구결과는 도로 선호, 도로를 횡단하려는 성향 등 행동학적 측면 (Bonnet et al., 1999)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국립공원 지역 내에서 뱀류 로드킬 빈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별 로드킬 빈도는 공원별로 경관 및 자원 특성, 탐방객 집중 이용 시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유혈목이, 누룩뱀, 쇠살모사, 능구렁이, 살모사 순으로 높았다. 이는 도로와 인접한 종별 개체군 크기가 클수록 (Vijayakumar et al.
, 2017), 본 연구에서도 전체 로드킬 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도로-수계, 산림-도로-산림 환경에서 대부분의 로드킬이 발생(86.7%)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농경지와 연결된 산림이나 수계, 민가는 대체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국립공원 내 도로는 계곡을 따라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도로의 위치적 특성은 뱀류가 산림으로부터 개활지나 인근 산지로 이동시에도 많은 경우에 도로를 횡단하는 일이 발생하고 뱀류의 로드킬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도로가 뱀류의 주된 이동 경로 상에 있는 경우에는 큰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Park et al.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국립공원 내 뱀류의 로드킬은 유혈목이, 누룩뱀, 쇠살모사, 능구렁이, 살모사 5종이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7)와 비교해보면 주요 발생종, 섭식유형, 최다 발생월 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주요 발생종의 발생빈도 순서, 해발고도,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 특성이 다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빈도에서 일반 지역보다 국립공원에서 쇠살모사보다 누룩뱀이 더 빈번하게 로드킬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누룩뱀이 저지대 경작지부터 산림지역까지 다양한 서식지에서 확인되는 (Ananjeva et al.
이는 지리적으로 국립공원 지역의 도로가 일반지역의 도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특성에서 일반도로 지역과 국립공원 내 지역에서 산림-도로-수계 환경이 각각 34.2%, 55.8%로 최대 빈도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일반 지역이 산림-도로-농경지 환경 (2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6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발생한 뱀류 로드킬 현황을 조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총 10종 736건의 로드킬이 조사되었으며, 유혈목이 (Rhabdophis lateralis), 누룩뱀 (Elaphe dione),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능구 렁이 (Lycodon rufozonatus), 살모사 (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의 91.7%를 차지하고 있었다. 섭식유형별로는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형 뱀류의 로드킬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월별로는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로드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위 5종 (유혈목이, 누룩뱀, 쇠살모사, 능구렁이, 살모사)의 월별, 고도별, 도로 가장 자리 환경특성별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월별 발생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2 = 53.78, df = 28, P<0.001; Fig. 4A), 종간 사후검증에서 유혈목이는 능구렁이, 살모사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누룩뱀은 유혈목이를 제외하고 다른 모든 종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후속연구
살모사의 경우, 쇠살모사와 유사한 일광욕 요구로 로드킬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립공원 내 파충류 로드킬 발생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선행 연구 (Park et al., 2017)와 유사한 종별 밀도, 먹이원 종류, 활동성 정도 등을 주요 요인으로 들 수 있으며, 국립공원 내에서 뱀류 로드킬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체 로드킬의 91%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유혈목이 등 상위 5종과 구렁이와 같은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 생물을 주 대상으로 로드킬 저감 대책을 세울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쇠살모사 등 특정 종들은 특정 고도대를 선호 (Do and Yoo, 2014)한다고 알려져 있는 것처럼 특정 뱀류의 고도별 로드킬 원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고도별 발생빈도에 대한 경향성은 보여주었으나, 보다 의미 있는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고도별 실제적인 도로 면적과 로드킬 빈도와 관계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로드킬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일어나는 도로의 좌우 가장자리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추후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뱀류의 로드킬 저감을 위한 계획 및 정책 수립, 보전을 위한 각종 방지시설 설치 계획 등의 공간의사 결정에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국내·외 사례 및 관련 법규정 등을 검토하여 주요 발생구간에 대한 차량 통행의 일시적·영구적 제한 등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운전자들이 차량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시인성을 개선한 안내표지판 등의 확대 설치, 네비게이션 안내 확충 등 대국민 로드킬 저감을 위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이유로는 공원별 입지 유형과 여름 휴가철, 가을 단풍철 등 계절적 탐방 특성 등으로 인하여 각 공원별로 월별 탐방객 수의 변동이 매우 심해 (Lee, 2003), 뱀류가 주로 도로를 횡단하려는 시기와 다소 상이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추후 시기별 정확한 차량통행량과 뱀류의 시기에 따른 이동정도의 차이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서 밝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국립공원 내 뱀류의 로드킬은 유혈목이, 누룩뱀, 쇠살모사, 능구렁이, 살모사 5종이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참조하여 효과적인 국립공원 내 뱀류 로드킬 저감 방안을 제시하면 유혈목이 등 상위 5종과 구렁이와 같은 멸종위기종을 주 대상으로 산림-도로-수계, 산림-도로-산림 환경 등 로드킬 주요 발생지점에 이들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도로 가장자리 유도울타리를 설치한 지하형 이동통로의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도로의 구조적인 문제 등으로 지하형 이동통로의 설치가 어려운 구간은 뱀류의 특성과 도로의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길이의 유도울타리를 설치하거나, 뱀류의 주요 이동시기인 7~10월에 뱀류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섭식유형별로는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형 뱀류의 로드킬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월별로는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뱀류의 로드킬 경향 파악과 효율적인 로드킬 저감 방안과 각종 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공원의 정의는 무엇인가?
국립공원이란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서 인간의 개발과 점용에 의해 물리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수개 (1~7개)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고, 이 지역의 동·식물과 지형학적 위치 및 서식지가 특별한 과학적, 교육적, 여가· 선용적 가치를 지니고 수려한 자연풍경을 구비해야 한다(IUCN, 1998)”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역시 국내 보호지역의 유형별 면적에서 약 4.
국외 야생동물 로드킬 관련 연구의 목적은 어떠한가?
국외에서의 야생동물 로드킬에 대한 연구는 종별, 지역별 로드킬 발생의 양상을 규명하고 경향을 모델링하여 특정 지역에서 로드킬을 예측하고 발생 가능지점들을 비교 평가하여 효율적이고 적절한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데 근거로 삼고 있다 (Meek, 2009; Gunson, 2010; Baxter-Gilbert et al., 2015).
뱀류 로드킬의 뱀 종류에 따른 현황은 어떠한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6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발생한 뱀류 로드킬 현황을 조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총 10종 736건의 로드킬이 조사되었으며, 유혈목이 (Rhabdophis lateralis), 누룩뱀 (Elaphe dione),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능구 렁이 (Lycodon rufozonatus), 살모사 (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의 91.7%를 차지하고 있었다. 섭식유형별로는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형 뱀류의 로드킬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월별로는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참고문헌 (66)
Ananjeva, N.B., N.L. Orlov, R.G. Khalikov, I.S. Darevsky, S.A. Ryabov and A.V. Barabanov. 2006. The Reptiles of Northern Eurasia: Taxonomic Diversity, Distribution, Conservation (No. 47). Pensoft Publishers, Sofia, Bulgaria.
Andrews, K.M. and J.W. Gibbons. 2005. How do highways influence snake movement? Behavioral response to roads and vehicles. Copeia 2005(4): 772-782.
Andrews, K.M., J.W. Gibbons and D.M. Jochimsen. 2008. Ecological effects of roads on amphibians and reptiles: A literature review. Herpetological Conservation 3: 121-143.
Barbault, R. 1971. Les peuplements d'Ophidiens des savanes de Lamto (Cote d'ivoire). Annales de l'Universite d'Abidjan. Serie Ecologie 4: 133-194.
Barbault, R. 1987. Pression de predation et evolution des strategies demographiques en zone tropicale: le cas des lezards et des amphibiens. Revue Suisse de Zoologie 101: 301-327.
Baxter-Gilbert, J.H., J.L. Riley, D. Lesbarreres and J.D. Litzgus. 2015. Mitigating reptile road mortality: fence failures compromise ecopassage effectiveness.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10(3): e0120537.
Bennett, A.F. 1991. Roads, Roadsides and Wildlife Conservation: a Review. Nature Conservation 2: the Role of Corridors. Surrey Beatty & Son, New South Wales, Australia.
Bernardino, F.S. Jr. and G.H. Dalrymple. 1992. Seasonal activity and road mortality of the snakes of the Pa-hay-okee wetlands of Everglades National Park, USA. Biological Conservation 62: 71-75.
Chen, H.L. 2015. Barrier Effects of Roads and Traffic on Animal Occurrence, Space Use, and Movements. The University of Arizona, Arizona, USA.
Choi, J.Y., H.M. Park and S.D. Lee. 2015. An analysis of wildlife roadkill based on land cover in South Korea expressway: in case of Jungbu Expressway, p. 13-15.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aste Management, Ec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WMEBS'15). Kuala Lompur, Malaysia.
Choi, K.C., J.W. Lee, Y.J. Yi and S.K. Baek. 2010. An occupancy based O/D data construction methodology for expressway network.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30(6D): 569-575.
Choi, T.Y. and C.H. Park. 2006. The effects of land use on the frequency of mammal roadkill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52-58.
Clevenger, A.P., B. Chruszcz and K.E. Gunson. 2003. Spatial patterns and factors influencing small vertebrate fauna roadkill aggregations. Biological Conservation 109: 15-26.
Do, M.S. and J.C. Yoo. 2014.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ltitude and habitat type of the Red-tongue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in the Cheon-ma mountai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2): 193-204.
Forman, R.T.T., D. Sperling, J.A. Bissonette, A.P. Clevenger, C.D. Cutshall, V.H. Dale, L. Fahrig, R. France, C.R. Goldman, K. Heanue, J.A. Jones, F.J. Swanson, T. Turrentine and T.C. Winter. 2003. Road Ecology: Science and Solutions.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Gibbons, J.W., J.W. Coker and T.M. Murphy Jr. 1977. Selected aspects of the life history of the rainbow snake (Farancia erytrogamma). Herpetologica 33: 276-281.
Gu, H., Q. Dai, Q. Wang and Y. Wang. 2011. Factors contributing to amphibian road mortality in a wetland. Current Zoology 57(6): 68-774.
Gunson, K. 2010. Cyprus Lake Road Pre-mitigation Assessment. Fathom Five National Marine Park, Ontario, Canada.
Hartmann, P.A., M.T. Hartmann and M. Martins. 2011. Snake road mortality in a protected area in the Atlantic forest of southeastern Brazil. South American Journal of Herpetology 6(1): 35-42.
IUCN. 1998. 1997 United Nations List of Protected Area. IUCN Publications, Cambridge, England.
Kambourova-Ivanova, N., Y. Koshev, G. Popgeorgiev, D. Ragyov, M. Pavlova, I. Mollov and N. Nedialkov. 2012. Effect of traffic on mortality of amphibians, reptiles, birds and mammals on two types of roads between Pazardzhik and Plovdiv region (Bulgaria): preliminary results. Acta Zoologica Bulgarica 64(1): 57-67.
Kang, Y.S. and I.B. Yoon. 197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17): Amphibia, Reptilia.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Kim, D.I., J.H. Lee, I.H. Kim, J.K. Kim, N.Y. Ra, B.N. Kim and D. Park. 2011. Herpetofauna and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in Gwangneung Forest.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3: 1-9.
Kim, E.K. and T.G. Kim.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ildlife road-kill in Korea national park.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23(2): 15.
Kim, I.H., H.J. Lee, J.K. Kim, D.H. Choi, J.H. Han and D. Park. 2013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aily movement pattern of the nocturnal red-banded snake (Dinodon rufozonatum).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5: 15-25.
Kim, S.B., I.H. Kim, H.J. Le, J.K. Kim and D. Park. 2013b. Review of amphibian and reptile road-kill studi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5: 33-44.
Kline, N.C. and D.E. Swann. 1998. Quantifying wildlife road mortality in Saguaro National Park, p. 23-31.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ldlife Ecology and Transportation (ICOWET 1998). Florida, USA.
Kofron, C.P. 1978. Food and habitats of aquatic snake (Reptilia, Serpentes) in a Louisiana swamp. Journal of Herpetology 12(4): 543-554.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 Visitor's Use Patterns of Korea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Namwon, Korea.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6. National Park of Korea.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Kwon, H.S. 2006. A study of Raccoon (Nyctereutes procyonoides) roadkill cause and reduction pla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2006: 117-122.
Lee, D.J. 2003. Monthly seasonal variations of 18 National Park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7(2): 155-175.
Lee, J.H., D. Park, N.Y. Ra and J.K. Kim. 2009. Hrepetofaun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1: 45-52.
Lee, J.H., H.J. Jang and J.H. Seo. 2011. Ecological Guide Book of Herpetofauna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Lillywhite, H.B. 1987. Temperature, energetics, and physiological ecology, p. 422-477. In: Snakes: Ec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Seigel, R.A., J.T. Collins and S.S. Novak eds.). Macmillan, New York, USA.
Luiselli, L. 2006. Resource partitioning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in snakes: the search for general geographical and guild patterns. Oikos 114(2): 193-211.
Matos, C., N. Sillero and E. Argana. 2012. Spatial analysis of amphibian road mortality levels in northern Portugal country roads. Amphibia-Reptilia 33(3-4): 469-483.
Min, J.H. and G.S. Han.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oad-kills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Biology 24(1): 46-53.
National Park Institute. 2008. A Study on the Capacity of National Park. National Park Institute, Seoul, Korea.
Oh, J. 2009. Study on Preparing Mitigation Ways for Wildlife Road-kills in National Park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Park, D., S.M. Jeong, S.K. Kim, N.Y. Ra, J.H. Lee, J.K. Kim, I.H. Kim, D.I. Kim and S.B. Kim. 2017. Patterns of snake roadkills on the roads in the northeast region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Biology 31(1):42-53.
Peterson, C.H., A.R. Gibson and M.E. Dorcas. 1993. Snake thermal ecology, p. 241-314. In: Snakes: Ecology and Behavior (Seigel, R.A. and J.T. Collins eds.). McGrawHill, New York, USA.
Preacher, K.J. 2001. Calculation for the chi-square test: An interactive calculation tool for chi-square tests of goodness of fit and independence (Computer software). Available from http://quantpsy.org.
Quintero-Angel, A., D. Osorio-Dominquez, F. Vargas-Salinas and C.A. Saavedra-Rodriguez. 2012. Roadkill rate of snakes in ad disturbed landscape of Central Andes of Colombia. Herpetology Notes 5: 99-105.
Reading, C.J., L.M. Luiselli, G.C. Akani, X. Bonnet, G. Amori, J.M. Ballouard, E. Filippi, G. Naulleau, D. Pearson and L. Rugiero. 2010. Are snake population in widespread decline?. Biology Letters 6(6): 77-780.
Roe, J.H., J. Gibon and B.A. Kingsbury. 2006. Beyond the wetland border: estimating the impact of roads on two species of water snakes. Biological Conservation 130(2): 161-168.
Seo, C., J.H. Thorne, T. Choi, H. Kwon and C.H. Park. 2015. Disentangling roadkill: the influence of landscape and season on cumulative vertebrate mortality in South Kore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1(1): 87-99.
Shin, Y.S. 2016.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National Park. Nature and Ecology, Seoul, Korea.
Son, S.W., S.H. Kil, Y.J. Yoon, J.H. Yoon, H.J. Jeon, Y.H. Son and M.S. Kim. 2016.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roadkill occurrence: a case study of Seorak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1): 1-12.
Song, J.Y. 2007.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reptile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5(2): 124-138.
Song, J.Y. and H.S. Oh. 2006. Current status of road-killed amphibian and reptile and conservation plands in songgye valley,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400-406.
Song, J.Y., M.S. Kim, I.S. Kim, T.H. Kim, I. Roh, S.W. Seo, E.K. Seo, J.K. Seo, J.Y. Yang, K.D. Woo, H.J. Won, Y.G. Lee, Y.H. Lim, S.H. Han and M.G. Moon. 2009. Roadkill of amphibians in the Korea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 187-193.
Spellerberg, I.F. 1998. Ecological effects of roads and traffic: a literature review. Global Ecology & Biogeography Letters 7(5): 317-333.
Trombulak, S.C. and C.A. Frissell. 2000. Review of ecological effects of roads on terrestrial and aquatic communities. Conservation Biology 14(1): 18-30.
Vijayakumar, S.P., K. Vasudevan and N.M. Ishwar. 2001. Herpetofauna mortality on roads in the Anamalai Hills, southern Western Ghats. Hamadryad 26(2): 265-272.
Yang, B., T. Choi, B. Yoo, J. Yi, T. Kim, J. Lee, S. Lee and Y. Cho. 2007. Management of Wildlife Species under the Influence by Habitat Fragmentation (II): in the Case of Roadkill Mitigation Measur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Incheon, Korea.
Zhao, E.M. 2006. Snakes of China. Anhu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Hefei, China.
Zug, G.R., L.J. Vitt and J.P. Caldwell. 2001. Herpetology, Second Edi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