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량예측을 위한 'Cupra', 'Fiesta' 파프리카의 생육특성 및 수확량 패턴 분석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Pattern of 'Cupra' and 'Fiesta' Paprika for Yield Prediction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7 no.4, 2018년, pp.349 - 355  

정경희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진효정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안재욱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윤혜숙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오상석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임채신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엄영철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김희대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홍광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박성민 (거창파프리카영농조합법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파프리카 수확량 예측을 위한 목적으로 온실 환경과 작물의 생육 특성 및 수확량 패턴을 조사 분석하였다. 경남거창 지역(해발고도 667m)의 유리온실에서 적색계 파프리카 'Cupra'와 황색계 파프리카 'Fiesta'를 2016년 7월 5일 파종하고, 35일 후인 8월 10일 정식하여 2017년 7월 15일까지 재배하였다. 재식밀도는 두 품종 동일하게 $3.66plants/m^2$로 2줄기로 유인하였다. 정식 후 재배기간 동안 시설의 외부 평균 광량은 $14.36MJ/m^2/day$였고, 온실 내부의 관리에서 24시간 평균온도 $20{\sim}22^{\circ}C$, $CO_2$ 400~700ppm, 24시간 평균 습도 60~75% 수준으로 유지하고자 하였다. 정식 42주 후까지 신장속도는 'Cupra'가 7.3cm/week, 'Fiesta'가 6.9cm/week로 'Cupra'가 빨랐다. 첫 착과는 'Cupra'가 1.0마디, 'Fiesta'는 2.7마디에서 나타났으며, 첫 수확은 정식 후 'Cupra'가 14주, 'Fiesta'가 11주로 'Fiesta'가 빨랐다. 재배 종료 시까지의 10a당 수확량을 비교해 보면, 'Fiesta'가 18,848kg, 'Cupra'가 19,307kg로 'Fiesta'가 2.4% 높게 나타났으며, L 사이즈인 200g 이상의 과중 비율은 'Cupra'가 27.7%로 'Fiesta'보다 7.7%로 높았다. 6월까지의 수확량에서, 착과에서 수확까지의 평균 소요일수는 'Cupra'가 72.6일, 'Fiesta'가 63.8일로 'Cupra'가 8.8일이 더 소요되었다. 수확소요일수와 그 기간 누적된 광량과의 관계를 보면, 광량이 증가하는 2월 이후 두 품종 모두 누적광이 많을수록 수확소요일수는 짧아지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1월에 가장 긴 소요일수가 요구되었는데, 이는 낮은 광량으로 생육과 착색이 지연되어 소요일수가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수확량과의 관계에서는 'Cupra'는 광량이 증가됨에 따라 수확량이 증가되는 반면, 'Fiesta'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보여 품종간의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at predicting the yield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through analyz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pattern and greenhouse environment. In the greenhouse of the Gyeongnam area (667 m above sea level), the red paprika 'Cupra' and the yellow paprika 'Fiesta' were grown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리온실 내 파프리카 겨울작형에서 ‘Cupra’, ‘Fiesta’ 두 품종을 공시하여 온실의 재배 환경 정보와 작물의 생육패턴 및 수확량 변화를 분석하여 작물 생산관리 및 수량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온실의 내부환경 관리에서는 24시간 평균온도 20~22oC, CO2 400~700ppm, 24시간 평균 습도 60~75%수준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프리카는 무엇인가?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는 1990년대 초부터 국내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Park 등, 2012), 2016년도에는 재배면적이 724ha, 생산량은 77,476톤으로 생산량의 약 40%인 30,276톤을 수출하는 우리나라 신선 채소 수출작목의 대표적인 과채류이다(Kati, 2016). 파프리카는 재배 기간 동안 야간온도가 18oC 이상을 유지해야하는 고온성 작물로, 3~5월에 정식하여 5~12월에 수확하는 여름작형과 8~9월에 정식하여 익년 7월까지 수확하는 겨울작형으로 나누어진다(Park 등, 2012; Jeong 등, 2008).
파프리카는 수확시기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 가? )는 1990년대 초부터 국내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Park 등, 2012), 2016년도에는 재배면적이 724ha, 생산량은 77,476톤으로 생산량의 약 40%인 30,276톤을 수출하는 우리나라 신선 채소 수출작목의 대표적인 과채류이다(Kati, 2016). 파프리카는 재배 기간 동안 야간온도가 18oC 이상을 유지해야하는 고온성 작물로, 3~5월에 정식하여 5~12월에 수확하는 여름작형과 8~9월에 정식하여 익년 7월까지 수확하는 겨울작형으로 나누어진다(Park 등, 2012; Jeong 등, 2008). 긴 재배기간 동안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위해서는 온실내 환경관리의 최적화와 균일화 및 초세조절을 위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Jang 등, 2016; Um 등, 2013).
‘Cupra’와 ‘Fiesta’ 두 품종의 수확소요일수와 누적광량과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 가? 두 품종의 수확소요일수는 모두 1월까지 증가하다 2월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Table 2), 수확소요일 동안의 누적광량은 수확이 시작된 10월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수확소요일수와 누적광량과의 관계는 두 품종 모두 1월까지는 누적광량이 많을수록 수확소요일수가 늘어나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로는 누적광량이 증가할수록 수확에 필요한 수확소요일수가 줄어드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달리 누적 온도는 수확소요일수와 마찬가지로 증가하다 감소하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소요일수가 늘어나게 되면, 늘어난 소요일수만큼의 온도가 누적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J. and H. Lee, 2015. Smart farm using IoT that change the lives of rural people. Planning and Policy. 5:19-26 (in Korean). 

  2. Heuvelink, E. and H. Challa. 1989. Dynamic optimization of artificial lighting in greenhouse. Acta Hort. 206:401-402. 

  3. Heuvelink, E., L.F.M. Marcelis, and O. Korner. 2004. How to reduce yield fluctuations in sweet pepper. Acta. Hort. 633:649-355. 

  4. Jang D.C., K.Y. Choi, J.Y. Heo, and I.S. Kim. 2016. Comparison of growth and fruit setting characteristics for selecting the optimum winter-planted paprika cultivars. Kor. J. Hort. Sci. Technol. 34:424-432 (in Korean). 

  5. Jeong E.M., W.T. Kim, S.R. Kim, and S.H. Yun. 2008. The state and urgent problem of sweet pepper in Korea. Korea Rural Economy Institute, Seoul, Korea (in Korean). 

  6. Jeong W.J., D.J. Myoung and J.H. Lee. 2009a. Comparison of climatic conditions of sweet pepper's greenhouse between Korea and the Netherland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244-252 (in Korean). 

  7. Jeong W.J., J.H. Lee, H.C. Kim, and J.H. Bae. 2009b. Dry matte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yield of sweet pepper grown under glasshouse and plastic greenhouse in Korea.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258-265 (in Korean). 

  8. Kati. 2016. Domestic production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current industrial trend in paprika, Company report, Korea Agrcultural Trade Information, Korea (in Korean). 

  9. Kim H.C., Y.G. Ku, J.H. Lee, J.G. Kang, and J.H. Bae. 2012. Comparison plant growth and fruit setting among sweet pepper cultivars of red lin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1:247-251 (in Korean). 

  10. Lee J.N., K.Y. Shin, J.O. Lee, U.H. Lee, and Y.S. Kwon. 2001. Selection of paprika varieties suitable for soil-culture under rain-shelter in highland.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42:163-166 (in Korean). 

  11. Lee J.H., and J.C. Cha. 2009. Effects of removed flowers on dry mass production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sweet pepper cultivars 'Derby' and 'Cupra'. Kor. J. Hort. Sci. Technol. 27:584-590 (in Korean). 

  12. Myung D.J., J.H. Bae, J.G. Kang, and J.H. Lee. 2012.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and yield of sweet pepper cultivar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1: 243-246 (in Korean). 

  13. Na M.H., Y.H. Park, and W.H. Cho. 2017. A study on optimal environmental factors of tomato using smart farm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8:1427-1435 (in Korean). 

  14. Park S.M., H.C. Kim, Y.G. Ku, S.W. Kim, and J.H. Bae. 2012. 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growth of sweet pepper by growing areas in greenhouse. Kor. J. Hort. Sci. Technol. 30:680-685 (in Korean). 

  15. Rylski, I. and M. Spigelman. 1982. Effects of different diurnal temperature combinations on fruit set of sweet pepper. Sci. Hort. 17:101-106. 

  16. Um Y.C., C.S. Choi1, T.C. Seo, J.G. Lee, Y.A. Jang, S.G. Lee, S.S. O, and H.J. Lee. 2013.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by sweet pepper varieties at glass greenhouse in reclaimed land and farm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33-41 (in Korean). 

  17. Won J.H., B.C. Jeong, J.K. Kim, and S.J. Jeon. 2009. Selection of suitable cultivars for the hydroponics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in the alpine area in summer.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18:425-43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