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HPS (high-pressure sodium lamp, 고압나트륨등, 700W)와 PLS (Plasma Lighting System, 플라즈마등, 1,000W) 램프를 이용하여 겨울재배 오이의 보광재배 효과를 구명하고자, 양지붕형 유리온실 3동에 무보광을 대조구로 하여 오이('후레쉬' 품종)를 2015년 11월 2일에 정식하여 2016년 3월 15일까지 재배하였다. 보광은 2015년 11월 20일부터 2016년 3월 15일까지 약 4개월 동안 명기를 14시간/일(일몰 전 약 30분에 점등 개시)으로 정하여 실시하였고, 낮동안의 일사량이 $100W{\cdot}m^2$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점등이 되도록 제어하였다. 분광투과특성은 PLS의 경우 광합성유효광(400-700nm)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나 HPS는 400-550nm 광량이 매우 적은 반면, 550-650nm 광원이 PLS보다 많이 분포되었다. 330-1,100nm 광은 HPS가 PLS에 비해 6% 많았고 UV와 적색광은 비슷하였다. 광합성유효광(400-700nm)은 HPS에 비해 PLS가 12.6% 많았고, 근적외선(700-1,100nm)은 HPS에 비해 PLS가 12.6% 적었으며, R/FR은 HPS가 높았다. 오이의 초장, 엽수, 마디수, 건물중 등의 생육은 무보광에 비해 두 보광등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높았다. 광합성능력은 두 광원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주당 과실 개수(무게)는 무보광 21.2개(2.9kg)에 비해 PLS가 38.7개(5.5kg), HPS가 40.4개(5.6kg)로 1.8~1.9배 많았다. 보광등의 설치비와 전기에너지 비용을 고려하여 오이 보광재배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PLS와 HPS 보광등은 각각 37%와 62%의 소득증대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Fresh') plants during low radiation period of winter season were investigated in glasshouses using common high-pressure sodium (HPS) lamps and newly developed plasma lighting system (P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국내외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플라즈마등 (plasma lighting system, PLS)은 자연광에 가장 근접한 파장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Kwon 등, 2016; Lee 등, 2014), HPS 램프에 비해 식물 생육에 필요한 광질을 고루 지니고 있어 식물재배용 인공광원으로서의 이용성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원예용 보광 광원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HPS와 PLS 램프의 광학 특성을 비롯하여 시설오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보광재배 시, 보광 광원으로 HPS와 MH가 주로 이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 시설원예작물의 보광재배는 설치 및 운용 비용 때문에 실제적 농가보급은 저조한 실정이며, 장미, 토마토, 파프리카, 분화류 등의 작물재배에 국한되어 있다. 보광 광원으로는 고압나트륨등(high-pressure sodium lamp, HPS)과 메탈할라이드등(metal halide lamp, MH)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Jeong 등, 2018) 그 이유는 광도가 높고 수명이 비교적 길며 생육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Blom and Ingratta, 1984). 그 외에 형광등, 할로겐등, LED가 부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시설원예작물 재배에 있어 보광의 목적은? 시설원예작물 재배에 있어서 보광은 잎의 광합성과 작물체의 생장 및 발육을 촉진시키고 과실의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이루어진다(Blom and Ingratta, 1984; Blain 등, 1987). 보광재배는 주로 일조량이 부족한 겨울철에 이루어지는데, 우리나라보다 겨울철에 일조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네덜란드 등의 북유럽이나 미국 북부, 캐나다 등에서 토마토, 오이, 딸기, 파프리카 등의 채소류와 장미, 국화, 백합, 시클라멘 등의 화훼류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시설원예작물의 보광재배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광 광원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시설원예작물의 보광재배는 설치 및 운용 비용 때문에 실제적 농가보급은 저조한 실정이며, 장미, 토마토, 파프리카, 분화류 등의 작물재배에 국한되어 있다. 보광 광원으로는 고압나트륨등(high-pressure sodium lamp, HPS)과 메탈할라이드등(metal halide lamp, MH)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Jeong 등, 2018) 그 이유는 광도가 높고 수명이 비교적 길며 생육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Blom and Ingratta, 1984). 그 외에 형광등, 할로겐등, LED가 부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lain, J., A. Gosselin, and M.J. Trudel. 1987. Influence of HPS supplementary lighting on growth and yield of greenhouse cucumbers. HortScience 22:36-38. 

  2. Blom T.J., and F.J. Ingratta. 1984. The effect of high pressure sodium lighting on the production of tomatoes, cucumbers and roses. Acta Hortic. 148:905-914. 

  3. Demers, D.A., M. Dorais, C.H. Wien, and A. Gosselin. 1998.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 duration on greenhouse tomato plants and fruit yields. Sci. Hortic. 74:295-306. 

  4. Dorais, M. 2003. The use of supplemental lighting for vegetable crop production: Light intensity, crop response, nutrition, crop management, cultural practices. Can. Greenhouse Conference, October 9, 2003. p.1-8. 

  5. Dorais, M., A. Gosselin, and M.J. Trudel. 1991. Annual greenhouse tomato production under a sequential intercropping system using supplemental light. Sci. Hortic 45:225-234. 

  6. Dorais, M., S. Yelle, and A. Gosselin. 1996. Influence of extended photoperiod on photosynthate partitioning and export in tomato and pepper plants. New Zealand J. Crop Hortic. Sci. 24:29-37. 

  7. Hao, X. and A.P. Papadopoulos. 1999.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ing and cover materials on growth, photosynthesis, biomass partitioning, early yield and quality of greenhouse cucumber. Sci. Hort. 80:1-18. 

  8. Hao, X. Athanasios, A.P. Papadopoulos. and S. Khosla. 2006. Development of a high-wire cucumber production system on raised-troughs with supplemental lighting for year-round production. 27th Int'l Hort. Cong. and Exh., S06-P-66:190. 

  9. Hovi, T., J. Nakkila, and R. R. Tahvonen. 2004. Interlighting improves production of year-round cucumber. Sci. Hortic. 102:283-294. 

  10. Jeong, W.J., D.J. Myoung, and J.H. Lee. 2009. Comparison of climatic conditions of sweet pepper's greenhouse between Korea and the Netherlands. J. Bio. Environ. Con. 18:244-252 (in Korean). 

  11. Jeong, W.J., I.K. Kang, J.Y. Lee, S.H. Park, H.S. Kim, D.J. Myoung, G.T. Kim, and J.H. Lee. 2008. Study of dry and bio-mass of sweet pepper fruit and yield between glasshouse and plastic greenhouse. Kor. J. Bio. Environ. Con. 17(2):541-544 (in Korean). 

  12. Jeong, K.J., J.G. Yun, Y.S. Chon, H.S. Shin, and S.W. Lee. 2018. Effect of supplementary or heating lamps on the yield, vase life, and leaf color of cut rose.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7(2):158-165 (in Korean). 

  13. Jiang, C., M. Johkan, M. Hohjo, A. Tsukagoshi, M. Ebihara, A. Nakaminami, and T. Maruo, 2017. Photosynthesis, plant growth, and fruit production of single-truss tomato improves with supplemental lighting provided from underneath or within the inner canopy. Sci. Hortic. 222:221-229. 

  14. Kwon, D.Y., K.S. Park, J.W. Lee, and J.E. Son. 2016. Supplemental lighting effects of plasma lighting system and high pressure sodium lamps on photosynthesis and productivity of paprica. Kor. J. Hort. Sci. Technol. 34(Suppl.I):40. 

  15. Kwon, Y.S. and H. Chun. 1999. Production of chili pepper in different kinds of greenhouse in Korea. The Asian and Pacific Region-Food and Fert. Techno. Ctr. Ext.-Bul. No. 478 (in Korean). 

  16. Lee, J.W., H.C. Kim, P.H. Jeong, Y.G. Ku, and J.H. Bae. 2014.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ing of high pressure sodium and lighting emitting plasma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paprica during low radiation period of winter season. Korean J. Hort. Sci. Technol. 32:346-352. 

  17. Myoung, D.J. 2007. Correlation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yield of sweet pepper (Capxicum annuum L.) in glasshouse. MS Thesis. Chonnam Nat'l. Univ., Dept. Hort. Plant Bio-Technol (in Korean). 

  18. Richard J.M., W.J. Harry. 1988. Alternative production strategies for greenhouse tomatoes using supplemental lighting. Sci. Hortic. 35:161-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