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도 경기도 한방 난임 지원 사업 진료 결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ubfertility Support Project of Korean Medicine in Gyeonggi-do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1 no.4, 2018년, pp.73 - 88  

최수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박장경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이미영 (국민대학교 스포츠 건강재활학과) ,  김동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ubfertility support project of Korean medicine in Gyeonggi-do. Methods: A total of 231 women ($36.84{\pm}3.79yrs$) out of 361 applicants completed the treatment in this study. The copies of the medical records and study-related documents were pro...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임증의 빈도는 보통 어떻게 보고되고 있는가? 불임증의 빈도는 보고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정상적인 성생활 하는 남녀의 10~15%로 보고되고 있다1). 수십 년간 이 발생률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있었다.
불임은 무엇인가? 불임(infertility)은 일반적으로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성생활을 하면서 1년 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임신이 불가능한 상태(sterility)가 아닌 난임(subfertility)의 상태를 의미한다1).
초저출산현상의 원인 중 만혼이 난임에 미치는 구체적인 요인들은 무엇인가? 3명 미만)을 겪는 배경에는 혼인과 출산을 기피하는 사회적 풍토와 여성의 만혼 및 수태능력의 저하로 인한 난임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큰 원인이 된다3). 결혼이 늦어지면서 난소 노화는 물론이고, 각종 부인과질환이환이 증가되며, 비례하여 연령이 높아진 남성 배우자도 수태능력 저하 및 성욕 저하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난임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5th rev. Seoul:Korean medical book. 2018:535-6. 

  2. Statistics Korea. Population Trends of June 2018. [distributed August 22, 2018]. Available from:URL: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69610. 

  3. Kim DI.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medicine to 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 NIKOM Report of Korean Medicine Policy. Seoul: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2017;2(2):17-29. 

  4. Kim SH, Park YJ, Jang S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fertility Stress Scale.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5;25(1):141-55. 

  5. Lee SS.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Role of Korean Medicine in Low Birth Society. NIKOM Report of Korean Medicine Policy. Seoul: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2017;2(2):29-43. 

  6. Hwang NM, Lee SH, Jang IS.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2016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ity couples. Research report 2017-41. Seoul: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7;22:12, 163-7. 

  7. Kim CB, et al.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articipants of local governments' oriental medicine supporting projects for infertile couples. Research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1-110. 

  8.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Society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Gynecology. Seoul: Jungdam. 2002:249. 

  9. Kim SH, Kim DI. Two cases report of recurrent miscarriage with old age and underlying diseases.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3):78-90. 

  10. Ahn IS, et al.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regnancy in the pilot project for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subfertility.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3):73-84. 

  11. Busan Korean medicine doctor association. 2016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infertility. Busan city government. 2016:70. 

  12. NICE. Fertility problems : assesment and treatment. 20 February 2013. Available from:URL:http://nice.org.uk/guidance/cg156 

  13. Jungwirth A, et al.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guidelines on male infertility: the 2012 update. Eur Urol. 2012;62(2):324-32. 

  14. Hwang NM. et al. Strategies of infertility counselling program of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 in Korea. Research report 2015-0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5:27-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