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수행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Depression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4, 2018년, pp.367 - 375  

김명숙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63 elderly. Data were analyze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일상생활수행활동 및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우울을 감소시켜주는 간호중재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자기효능감, 일상생활수행활동 (ADL) 및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특히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우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자기효능감, 일상생활수행활동 및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수행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결과에서 요양시설 노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일상생활수행활동이 낮을수록 우울정도는 더 높았으며, 우울정도에 가장 예측력이 높은 요인은 일상생활수행활동이었고, 그 다음이 자기효능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요양시설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수행활동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어주고, 자기효능감을 높여주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먼저 연구대상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는 먼저 노인의 일상생활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자신의 잠재적인 능력을 믿게 하여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높여줌으로써 일상생활수행활동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어 주는 것이다.
  •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한국형간이정신상태(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검사를 통해 인지기능이 11점 이상인 경우로 제한했는데 이는 문항이해와 이에 대한 반응에 문제가 없기 때문이며(Lee, 2015). 시설에 입소한 지 1개월 이상이 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면담에 응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그 내용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를 수락한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중에서 설문지 작성에 답하기 어려운 신체적, 정신적 문제(피로감, 어지러움, 주의집중 저하 등)가 있는 노인대상자는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자기효능감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서 중요한 결정요소는 성취경험이며, 노인의 심리적 안녕상태와 긍정적인 삶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Jang, 2011). 노인들의 자기효능감이 저하되면 주변 환경을 조절하는 능력이 감소되고 부정적인 정신 상태로 인해 우울이 초래되기도 한다(Park, 1994).
요양시설 노인들이 자기효능감이 떨어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중재가 요구되어야 하는 이유는? 따라서 노인들의 전반적인 자기능력, 신체 및 사회적인 기능측면에서 그릇된 신념을 교정해주는 방향으로 재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Kim, 2007). 더욱이 요양시설 노인들은 가정에서 생활하는 경우보다 신체활동량도 적고, 불안, 수면장애 등으로 다양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통하여 최대한 독립적인 기능 상태를 유지하여 우울로 이어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중재가 요구된다(Moon & Hong, 2015). 즉, 우울을 중재하기 위해 요양시설 노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높여주어야 하지만 실제 요양시설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우울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노인들의 자기효능감이 저하됨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은? 자기효능감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서 중요한 결정요소는 성취경험이며, 노인의 심리적 안녕상태와 긍정적인 삶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Jang, 2011). 노인들의 자기효능감이 저하되면 주변 환경을 조절하는 능력이 감소되고 부정적인 정신 상태로 인해 우울이 초래되기도 한다(Park, 1994). 최근에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우울은 서로 관련이 있었으며, 여성노인과 급성기 노인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발표된 연구들에서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이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Ko, 2014; Park & Park,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jernes, J. K. (2006).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depression in populations of elderly: A review.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13(5), 372-387. 

  2. Hong, J. Y., & Hwang, S. Y. (2010). A study 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2(5), 457-465. 

  3. Jang, S. Y. (2011).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4. Jeong, J. Y., Choi, H. J., Lee, G. Y., & Park, T. J. (2009). Factors associated with ADL and IADL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30(8), 598-609. 

  5. Joo, S., Jun, H. J., & Choi, B. I. (2018). The moderating effect of home-based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adults between ADL/IADL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n later lif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8(1), 243-259. 

  6. Katz, S., Ford, A. B., Moskowitz, R. W., Jackson, B. A., & Jaffe, M. W. (1963).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5, 914-919. 

  7. Kee, B. S. (1996). A preliminary for the standardiz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8. Kim, C. H. (2011). Factors of influencing residents' depression and anxiety in elderly care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9. Kim, H. N., & Seo, H. I. (2010).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depression of lonely frail elde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8, 59-82. 

  10. Kim, J. Y., Ryu, S. Y., Han, M. A., & Choi, S. W. (2016).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41(1), 13-26. 

  11. Kim, K. B., Lee, H. K., & Sok, S. R. (2009). Activities od daily living and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1-11. 

  12. Kim, M. S., & Kim, J. I. (2015).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state, daily living activities(ADL, IADL), sleep state, and depression among old people at elderly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4), 2609-2619. 

  13. Kim, M. S. (2007).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lf esteem on the mental health of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2), 145-157. 

  14. Kim, N. I. (2012). The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0(2), 101-109. 

  15. Ko, C. M. (2014).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exchange and self-efficacy on level of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4), 277-286. 

  16. Lee, H. S. (2015). Effects of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10(1), 17-29. 

  17. McKusker, J., Cole, M. G., Voyer, P., Monette, J., Chanpoux, N., Ciampi, A., et. al. (2014). Observer rated depression in long-term care: Frequency and risk factor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8(3), 332-338. 

  18. Moon, S. H., & Hong, G. R. (2015).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7(2), 65-75. 

  19. Oh, H. K., Lee, S. K., Sok, S. R., & Kim, K. B. (2007). The relations among AD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3(1), 48-56. 

  20. Park, B. N., & Park, J. H. (2014).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Korea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1(1), 52-59. 

  21. Park, D. I. (2016). Factors influencing for level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living in senior 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22. Park, K. M. (1994). A study on depression in old age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Rickman, R. M., Robbins, M. M., Thorton, B., & Cantrell, P.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2(5), 891-900. 

  24. Roesler e Silva, E., Sousa, A. R., Ferreira, L. B., & Peixoto, H. M. (2012).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ly individuals: Nursing care support.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46(6), 1388-1394. 

  25. Sheikh, L..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New York: The Harwoth Press. 

  26. Sherer, M., Mercadante, B., Maddux, J. E.,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7. Statistics Korea. (2016).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5-2065. Retreived from http://kostat.go.kr/portal 

  28. Tiong, W. W., Yap, P., Huat Koh G. C., Phoon Fong, N., & Luo, N. (2013).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in Singapore. Aging Mental Health, 17(6), 724-731. 

  29. Won, C. W., Rho, Y. G., Kim, S. Y., Cho, B. R., & Lee, Y. S. (200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2), 98-106. 

  30. Yeo, Y., & Yoo, E. K. (2010).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and ADL in the case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2(6), 676-6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