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판적 뉴스 이용 전략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뉴스 피로감, 정치적 세련도, 뉴스에 대한 지식 체계, 뉴스관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ritical News Use Strategies: Focusing on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News Fatigue, Political Sophistication, Knowledge System of News, and News View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578 - 592  

이정훈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번 연구는 사람들의 비판적 뉴스 이용 전략에 대한 뉴스 피로감, 정치적 세련도, 뉴스에 대한 지식 체계, 뉴스관 등의 독립변인들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성찰적 뉴스 이용과 정파적 뉴스 이용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이원 분산분석이 활용되었다. 예상과 달리 비판적 뉴스 이용에 대한 뉴스 피로감의 양적 연관 관계가 관찰되었고 뉴스 피로감과 다른 독립변인들의 상호작용이 이용자들의 뉴스 처리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부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번 연구는 가짜 뉴스를 대처할 수 있는 비판적 뉴스 이용 전략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탐색적 분석을 시도하면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news fatigue, political sophistication, knowledge system of news, and news view on reflective news use and partisan news use.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wo way ANOVA. The positi...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뉴스 과잉 환경에서 가짜뉴스를 구분할 수 있도록 비판적으로 뉴스를 활용하는 정보 처리 전략의 개념은 무엇이 있는가? 사람들은 효율적인 미디어 이용을 위해 자신만의 정보 처리 전략(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을 개발하고 일상생활에서 활용하게 된다[14][16]. 뉴스 과잉 환경에서 가짜뉴스를 구분할 수 있도록 비판적으로 뉴스를 활용하는 정보 처리 전략의 개념으로는 ‘적극적 정보 처리 (active processing)’와 ‘성찰적 통합(reflective integration)’을 들 수 있다[16].
‘가짜뉴스(fake news)’ 현상이란? 왜곡되거나 잘못된 정보가 뉴스의 형식으로 SNS와 인터넷뿐만 아니라 전통 매체(legacy media)를 통해서 전달되는 이른바 ‘가짜뉴스(fake news)’ 현상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가짜뉴스는 만우절 ‘장난’부터 날조된 ‘정치적 선동’까지 내용도 다양한데 최근 선거나 여러 이슈에 대해서는 강력한 사회적 영향력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1].
뉴스 이용 정도와 뉴스 피로감은 어떤 형태로 나타났는가? 뉴스 피로감은 뉴스 이용자들의 특성이나 여타 조건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뉴스 이용 정도와 피로감은 선형적이기 보다는 역U자형 형태로 나타났는데, 뉴스 저이용 그룹(주당 두 시간 이하)이나 뉴스 고이용 그룹 (주당 7시간 이상)에 비해서 중이용 그룹(주당 3~ 6시간)이 더 높은 정보 과잉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0]. 이용 매체별 차이도 일관되지 않았는데, 온라인 뉴스 시 정보 과잉을 느끼지 않지만[51], 신문이나 TV 같은 매체를 통해서 뉴스 이용하는 경우 과잉의 징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했다[5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강석, "미국 대선 과정의 '가짜뉴스' 논란," 신문과 방송, 통권 523호, 1월호, pp.12-17, 2017. 

  2. 원우현, 유언비어론, 청랍논단, 1985. 

  3. 황용석, 권오성,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언론과 법, 16권 1호, pp.53-101. 2017 

  4. 시사인, 가짜 뉴스 뒤의 가짜 정치. 2017.10.21. 

  5. 송해엽, 정재민, 김영주, "뉴스 과잉이 뉴스 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8-50, 2015. 

  6. M. A. Stephens, History of News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 S, Iyengar, K. S. Hahn, H. Bonfadelli, and M. Marr, ""Dark Areas of Ignorance" Revisited Comparing International Affairs Knowledge in Switzerland and the United States," Communication Research, Vol.36, No.3, pp.341-358, 2009. 

  8. B. Bimber, "The Internet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Populism, community, and accelerated pluralism," Polity, Vol.3, No.1, pp.133-160, 1998. 

  9. S. Robinson, "'If you had been with us': mainstream press and citizen journalists jockey for authority over the collective memory of Hurricane Katrina," New Media & Society, Vol.11, No.5, pp.795-814, 2009. 

  10. N. Fenton, New media, old news: Journalism and democracy in the digital age, Sage Publications, 2009. 

  11. G. M. Kosicki, J. M. McLeod, and D. L. Amor, Processing strategies for mass media information: Selecting, integrating and making sense of the news, Unpublished manuscript. 1987. 

  12. R. Janssen and H. de Poot, "Information overload: Why some people seem to suffer more than others," In Proceedings of the 4th Nordic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changing roles, pp.397-400, ACM. 2006. 

  13. L. M. Arpan and A. A. Raney,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ews source and the hostile media effect,"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0, No.2, pp.265-281, 2003. 

  14. S. Messing and S. J. Westwood, "Selective exposure in the age of social media: Endorsements trump partisan source affiliation when selecting news online," Communication research, Vol.41, No.8, pp.1042-1063, 2014. 

  15. B. Kovach and T. Rosenstiel, Blur: How to know what's true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1. 

  16. G. M. Kosicki and J. M. McLeod, Learning from political news: Effects of media images and information-processing strategies. In S. Kraus (Ed.), Mass communication and political information processing , pp.69-83, Hillsdale, NJ: Erlbaum, 1990. 

  17. G. Allport and L. Postman, The Psychology of Rumor,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47. 

  18. 민영, "선택적 뉴스 이용," 한국언론학, 제60권, 제2호, pp.7-34, 2016. 

  19. S. Knobloch-Westerwick and B. K. Johnson, "Selective exposure for better or worse: Its mediating role for online news' impa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9, No.2, pp.184-196, 2014. 

  20. E. Pariser, The Filter Bubbles, Penguin Press, 이현숙 역, 생각조종자들, 서울: 알키, 2011. 

  21. N. J. Stroud, Niche news: The politics of news choice, Oxford University Press on Demand, 2011. 

  22. C. Sunstein, Republic. co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23. M. Prior, "Media and political polarization,"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No.16, pp.101-127, 2013. 

  24. M. S. Levendusky, "Why do partisan media polarize viewer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57, No.3, pp.611-623, 2013. 

  25. M. S. J. M. McLeod, "Values, communication behavior, and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Communication, Vol.18, No.3, pp.273-300, 2001. 

  26. W. P. Eveland Jr, "News information processing as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s and political knowledg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9, No.1, pp.26-40, 2002. 

  27. Pew Research Center, Fact Tank: News in the number, 2018.6.5. 

  28. R. Blinkoff and T. P. Johnson, "A New Model for News: Anthropological Research for the Associated Press," Anthropology News, Vol.51, No.4, pp.17-17, 2010. 

  29. C. Y. Chen, S. Pedersen, and K. L. Murphy, "Learners' perceived information overload in online learning vi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Research in Learning Technology, Vol.19, No2, 2011. 

  30. W. J. Potter, Theory of media literacy: A cogni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2004. 

  31. R. E. Petty and J. T. Caciopp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In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pp.1-24, Springer, New York, NY. 1986. 

  32. C. Angeli, N. Valandies, and C. J. Bonk, "Communication in a web-based conferencing system: the quality of computer-mediated interaction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Vol.34, No.1, pp.31-43, 2003. 

  33. J. M. Eppler and J. Mengis, "The concept of information overload: A review of literature from organization science, accounting, marketing, MIS, and related disciplines," The Information Society, No.20, pp.325-344, 2004. 

  34. K. N. Malhotra, "Reflections on the information overload paradigm in consum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 No.10, pp.436-440, 1984. 

  35. A. H. Eagly and S. Chaiken, Attitude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2005. 

  36. 이정훈, 이두황, 디지털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향상 방안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2011. 

  37. W. J. Potter, Media literacy, Sage Publications, 2018. 

  38. A. C. Gunther and K. Schmitt, "Mapping boundaries of the hostile media effec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4, No.1, pp.55-70, 2004. 

  39. 김도경, "정치적 세련됨과 당파적 단서: 2002 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23권, 제4호, pp.33-64, 2007. 

  40. W. R. Neuman, The paradox of mass politic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p.145-57, 1986. 

  41. W. L. Bennett, News: The politics of illus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 

  42. J. Matthes, "Need for orientation as a predictor of agenda-setting effects: Causal evidence from a two-wave pane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20, No.4, pp.440-453, 2008. 

  43. R. C. Luskin, Explaining political sophistication, Political Behavior, Vol.12, No.4, pp.331-361, 1990. 

  44. M. X. D. Carpini and S. Keeter, What Americans know about politics and why it matters, Yale University Press. 1996. 

  45. 김은미, 이주현, "뉴스 미디어로서의 트위터,"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6호, pp.152-180, 2011. 

  46. 김균수, 송진, "누가 돈을 내고 뉴스를 이용할 것인가?: 디지털 뉴스 콘텐츠 지불의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4호, pp.134-161, 2011. 

  47. 임영호, 김은미, 김경모, 김예란, "온라인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뉴스이용,"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4호, pp.179-204, 2008. 

  48. 김동윤 김연식, 이현주, "큐레이팅 뉴스란 무엇인가?: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제17권, 제1호, pp.113-135, 2018. 

  49. 이종혁, "뉴스의 일탈성이 기사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6호, pp.1-109, 2009. 

  50. Q. Ji, L. Ha, and U. Sypher, "The role of news media us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overload predi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8, pp.699-714, 2014. 

  51. E. Hargittai, W. R. Neuman, and O. Curry, "Taming the information tide: Perceptions of information overload in the American home," The Information Society, Vol.28, No.3, pp.161-173. 2012. 

  52. R. J. Pingree and E. Stoycheff, "Differentiating cueing from reasoning in agenda-setting eff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3, No,5, pp.852-872, 2013. 

  53. A. E. Holton and H. I. Chyi, "News and the overloaded consumer: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overload among news consumer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5, pp.619-624, 2012. 

  54. 김도경, "정치적 세련됨과 당파적 단서: 2002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Vol.23, No.4, pp.33-64, 2007. 

  55. 이정훈, 이두황, "뉴스 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의 뉴스콘텐츠 이용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대 뉴스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180-190, 2013. 

  56. 최진봉, 이미선, "뉴미디어 시대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콘텐츠 소비실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207-218,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