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 내 자당 및 포도당 잔류 경과 시간에 따른 칼륨과 마그네슘 농도 변화
Survey on the Changes of Potass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tention Time After Rinse of Sucrose and Glucose in Ora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424 - 433  

이혜진 (동부산대학교 치위생과) ,  양달님 (동부산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설탕물 양치 전후, 타액 내 칼륨과 마그네슘의 농도 변화를 분석한 연구이다. 타액 샘플은 10% 자당(포도당) 용액으로 양치하기 전과 양치 직후부터 60분까지 채취하였고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였다. 설탕물 양치 전 칼륨의 평균 농도는 274.3±77.9 mg/ℓ (279.2±62.1 mg/ℓ)이며, 마그네슘의 평균 농도는 4.5±2.5 mg/ℓ(4.8±2.0 mg/ℓ)이다. 설탕물 양치 직후, 칼륨과 마그네슘의 농도는 자당의 경우 143.9±55.4 mg/ℓ, 2.7±3.1 mg/ℓ이며, 포도당의 경우 150.9±64.2 mg/ℓ, 2.6±0.7 mg/ℓ로 대조군에 비해 급격히 낮아졌으나, 양치 후 60분에서 대조군의 이온 농도 수준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즉 설탕물 양치 직후에는 자극에 의해 타액 내 칼륨과 마그네슘 이온 농도가 낮아지나, 60분 후에는 타액의 자정작용으로 구강 내 향상성이 회복되었다. 본 논문은 타액에 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연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livary concentration of Potassium and Magnesium cations and their variation before and after sucrose and glucose rins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each compound. Saliva samples were obtained from 40 subjects before and up...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강 질환과 관련된 요인은 숙주 요인, 환경 요인, 병원체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당질 함유 식품의 섭취는 타액 내 다양한 이온들의 농도를 변화시켜 구강 건강에 악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19-22]에 기인하여 본 연구를 설계하였고, 타액 성분 중 구강 및 치아 조직의 건강과 관련성이 높은 칼륨과 마그네슘 이온이 당 성분(자 당, 포도당)에 노출되었을 때, 접촉 시간에 따른 이온 농도 변화와 회복 시간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량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당질 함유 식품의 섭취는 구강 조직과 관련된 다양한 이온들의 농도를 변화시키리라 예측하였으나, 당분 섭취에 따른 타액 이온의 변화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강 및 치아 조직의 건강과 관련성이 높은 칼륨과 마그네슘이 당 성분(자당, 포도당)에 노출되었을 때, 접촉 시간에 따른 이온의 농도 변화와 회복 시간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량 분석하였고, 치아 우식증 및 치주 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칼륨이란 무엇인가? 5 mEq/ℓ이고, 95 %가 세포 내에 존재하며 삼투압과 수분 평형을 유지하고, 세포막의 운반 작용 및 세포의 증식과 성장에 영향을 준다[2-4]. 칼륨은 신경 전달 자극과 뇌의 산소 공급의 촉매작용 역할을 수행하고 근육의 수축 작용과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이며, 심박동과 맥박 및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킨다[5][6]. 구강 내에서의 칼륨의 역할은 충치 및 치주 질환 원인 균의 생성 및 치면 부착 억제, 타액 분비량 및 완충능 조절, 치아의 재석회화 촉진 등으로 구강 질환의 유병률을 낮춘다[7-9].
인체에 칼륨 이온의 역할은 무엇인가? 특히 칼륨 이온은 세포 내액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으로서, 혈청 칼륨 농도는 3.5-5.5 mEq/ℓ이고, 95 %가 세포 내에 존재하며 삼투압과 수분 평형을 유지하고, 세포막의 운반 작용 및 세포의 증식과 성장에 영향을 준다[2-4]. 칼륨은 신경 전달 자극과 뇌의 산소 공급의 촉매작용 역할을 수행하고 근육의 수축 작용과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이며, 심박동과 맥박 및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킨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안구윤, 김보영, 이승원, 김경근, 박성식, "신장에서 칼륨 식이 변화에 따른 H/K-ATPase ${\alpha}$ Subunit( $HK{\alpha}2a$ , $HK{\alpha}2b$ ) 유전자 발현의 변화," 대한신장학회지, 제18권, 제5호, pp.672-682, 1999. 

  2. B. B. Meyer, M. Y. Ibrahim, C. B. Bas, L. Cheval, S. Marsy, and A. Doucet, "K depletion modifies the properties of Sch 28080-sensitive K-ATPase in rat collecting duct," J. of American physiology, Vol.272, No.1, pp.124-131, 1997. 

  3. 신경남, 이혜상, 권정숙, "제2형 당뇨환자에 대한 영양 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0권, 제5호, pp.689-695, 2011. 

  4. P. Newmark, "Events at the surface of the cell," J. of Nature, Vol.317, No.6036, p.380, 1985. 

  5. I. L. Cameron, N. K. R. Smith, T. B. Pool, and R. L. Sparks, "Intracellular concentration of sodium and other elements as related to mitogenesis and oncogenesis in vivo," J. of Cancer Research, Vol.40, pp.1493-1500, 1980. 

  6. 조흔, 정지강, 김소영, 박건영, "칼륨죽염의 in vitro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1권, 제9호, pp.1248-1252, 2012. 

  7. I. Z. Nagy, G. Lustyik, G. Lukacs, V. Z. Nagy, and G. Balazs, "Correlation of malignancy with the intracellular Na+:K+ ratio in human thyroid tumors," J. of Cancer Research, Vol.43, No.11, pp.5395-5402, 1983. 

  8. 임인석, "저칼륨혈증과 고칼륨혈증," 대한소아과학회지, 제49권, 제5호, pp.470-474, 2006. 

  9. D. N. Zull, "Disorders of potassium metabolism," J. of the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Vol.7, No.4, pp.771-865, 1989. 

  10. P. J. M. Tutton and D. H. Barkla, "The influence of dibutyryl adenosine cyclic monophosphate on cell proliferation in the epithelium of the jejunal crypts, the colonic crypts and colonic carcinoma of rat," J.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and Physiology, Vol.7, pp.275-280, 1980. 

  11. J. D. Wilhelm, and M. Ketteler, "Magnesium basics," J. of Clinical Kidney, Vol.5, No.1, pp.3-14, 2012. 

  12. I. Bodaker, I. Sharon, M. T. Suzuki, R. Feingersch, M. Shmoish, E. Andreishchev, M. L. Sogin, M. Rosenberg, M. E. Maguire, S. Belkin, A. Oren, and O. Beja, "Comparative community genomics in the Dead Sea: an increasingly extreme environment," J.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Microbial Ecology, Vol.4, No.3, pp.399-407, 2010. 

  13. M. E. Maguire and J. A. Cowan, "Magnesium chemistry and biochemistry," J. of Biometals, Vol.15, No.3, pp.203-210, 2002. 

  14. H. Geiger and C. Wanner, "Magnesium in disease," J. of Clinical Kidney, Vol.5, No.1, pp.25-38, 2012. 

  15. J. H. Baaij, J. G. Hoenderop, and R. J. Bindels, "Regulation of magnesium balance: lessons learned from human genetic disease," J. of Clinical Kidney, Vol.5, No.1, pp.15-24, 2012. 

  16. D. M. Spiegel, "Magnesium in chronic kidney disease: unanswered questions," J. of Blood Purification, Vol.31, pp.172-176, 2011. 

  17. A. L. Fontaine, A. Zavgorodniy, H. Liu, R. Zheng, M. Swain, and J. Cairney, "Atomic-scale compositional mapping reveals Mg-rich amorphous calcium phosphate in human dental enamel," J. of science advances, Vol.2, No.9, pp.1-6, 2016. 

  18. M. P. Levin, L. L. Yearwood, and W. N. Carpenter, "The desensitizing effect of calcium hydroxide and magnesium hydroxide on hypersensitive dentin," J. of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Vol.35, No.5, pp.741-746, 1973. 

  19. P. H. Keyes, "Present and future measures for dental caries control," J. of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79, No.6, pp.1395-1404, 1969. 

  20. Y. D. Park, J. H. Jang, Y. J. Oh, and H. J. Kwon, "Analyses of organic acids and inorganic anions and their relationship in human saliva before and after glucose intake," J. of Archives of Oral Biology, Vol.59, No.1, pp.1-11, 2014. 

  21. S. M. Yoo and G. S. Ahn, "Correlation of Oral Microorganism and Carboxylic Acid in Oral Cavity," J. of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Vol.11, No.3, pp.165-170, 2015. 

  22. 박정은, 황수연, 김설악, "칼슘 섭취 후 타액 내 칼슘 및 마그네슘 농도가 치아우식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83-294, 2017. 

  23. F. Guidozzi, M. Maclennan, K. M. Graham, and C. P. Jooste, "Salivary calcium, magnesium, phosphate, chloride, sodium and potassium in pregnancy and labour," J. of South African Medical, Vol.81, No.3, pp.152-156, 1992. 

  24. T. Shpitzer, G. Bahar, R. Feinmesser, and R. M. Nagler, "A comprehensive salivary analysis for oral cancer diagnosis," J. of Cancer Research Clinical Oncology, Vol.133, No.9, pp.613-617, 2007. 

  25. L. P. Carmen, "The role of saliva in maintaining oral health and as an aid to diagnosis," J. of Medicina Oral Patologia Oral Cirugia Bucal, Vol.11, No.5, pp. 449-455, 2006. 

  26. C. Dawes, "Salivary flow patterns and the health of hard and soft oral tissues," J. of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139, pp.18-24, 2008. 

  27. M. Rabiei, I. S. Masooleh, E. K. Leyli, and L. R. Nikoukar, "Salivary calcium concentration as a screening tool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J. of Rheumatic Diseases, Vol.16, No.2, pp.198-202, 2013. 

  28. F. Guidozzi, M. Maclennan, K. M. Graham, and C. P. Jooste, "Salivary calcium, magnesium, phosphate, chloride, sodium and potassium in pregnancy and labour," J. of South African Medical, Vol.81, No.3, pp.152-154, 1992. 

  29. J. R. Huizenga, A. Vissink, E. J. Kuipers, and C. H. Gips, "Helicobacter pylori and ammonia concentrations of whole, parotid and submandibular/ sublingual saliva," J. of Clinical Oral Investigations, Vol.3, No.2, pp.84-91, 1999. 

  30. J. R. Huizenga and C. H. Gips, "Determination of ammonia in saliva using indophenol, an ammonium electrode and an enzymatic method: A comparative investigation," J. of Clinical chemistry and clinical biochemistry, Vol.20, No.8, pp.571-575, 1982. 

  31. I. L. Shannon and R. P. Feller, "Parotid saliva flow rate,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dental caries experience in children," J. of Pediatric Dentistry, Vol.1, No.1, pp.16-20, 1979. 

  32. H. J. Gilfrich, H. J. Engel, and W. Prellwitz, "Magnesium concentration in saliva -- An indicator of digitalis toxicity," J. of Wiener Klinische Wochenschrift, Vol.59, No.12, pp.617-621, 1981. 

  33. N. Takahashi and T. Yamada, "Glucose and lactate metabolism by Actinomyces naeslundii," J. of Critical Reviews in Oral Biology and Medicine, Vol.10, No.4, pp.487-503, 1999. 

  34. 박정은, 장종화, "자당 및 탄산은료 섭취 후 생성되는 구강 내 치아우식 유발성 유기산의 농도 차이,"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81-39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