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ocial Iso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482 - 498  

이혁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임진섭 (배재대학교 실버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련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사회적 고립감에 초점을 맞추어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자아통제감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거주하는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04명의 자료를 수거하였으며, 최종 4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의존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를 제고시킴은 물론, 함의 및 관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etween the social isolat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elderly. Under this relationship, we investigated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404 elderly in DaeJeon, South Korea. The final sam...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쉬운 점은 아동 청소년 분야에서는 사회적지지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서는 이러한 변수를 활용한 연구를 아직까지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노인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중심으로 사회적 고립감, 자아통제감, 사회적지지와 같은 변수들과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 또한 대부분의 스마트폰 및 인터넷 중독 연구가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만큼,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미진했던 장·노년층의 상황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노인문제의 현재적 사안에 대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에 거주하는 장·노년층 4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자아통제감,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주요매개변수인 자아통제감, 사회적지지를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 이를 통하여 장·노년층 집단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 변인들을 인과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장·노년층 집단의 스마트폰 중독문제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이에 대한 예방적 개입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둔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50대와 60대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삼아 스마트폰 중독과 이에 미치는 심리적인 측면과 함께 사회적 측면을 고려한 변수인 사회적 고립감, 자아통제감, 사회적지지와의 관련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 현상이란? 중독이란 일반적으로 특정한 일을 반복적으로 하는 행동 혹은 반복적 행동을 유발하도록 하는 충동에 내맡겨지는 상태 전반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중독 현상은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하여 이용 습관이 만성화되고 의존적으로 되어 사용량을 조절할 수 없는 사회병리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개인이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한 나머지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하고 과의존하게 되어 스마트폰이 없을 때 견디기 어려운 정신적 긴장감과 불안 등을 느끼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14].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으로 인해 일상에서의 기능장애, 금단, 내성이 발생하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15].
현재, 스마트폰과 관련하여 50대 이상의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거의 없는 까닭은? 사실상 30대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50대 이상의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50대 이상의 장·노년층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문제가 청소년이나 성인초기 집단에 비해 심각하지 않다는 선입견과, 장년층 이상의 집단은 청소년이나 대학생들과 달리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 효과와 문제가 크지 않다는 잠재적 판단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보인다[3].
사회적 고립감이 노년층에게 어떤 방식으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끄는가? 특히 정서적 문제는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의존에 있어서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고립감이나 우울, 불안은 장·노년층이 경험하는 중요한 정서적 장애로, 무엇보다 은퇴 준비와 은퇴 이후 경험하는 사회적 역할의 축소와 사회적 관계망의 약화는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몇몇 선행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온라인상에서의 상호작용은 그러한 고립감을 달래주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로움과 불안함을 달래기 위한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은 스마트폰 의존 상태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하고 있으며,심한 사회적 위축과 중독이라는 더 큰 부작용을 유발할 위험성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 2018. 

  2. 배성만, 고영삼,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7호, pp.111-121, 2017. 

  3. H. S. Lee, "Convergent Study of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 phones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Stress Level and Mental Health as Mediat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1, pp.139-148, 2017. 

  4.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ocial survey, Seoul: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5. J. H. Kwon, Y. S. Kho, N. R. Aum, and H. G. Lee, The society of digital addiction,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Internet Addiction, Sigmapress: Seoul, 2015. 

  6. Y. M. Kim and S. Y. Oh, "Problems of the aged in aging society and edu-work-fare plolicy," Journal of Korean Welfare counseling, Vol.3, No.1, pp.1-23, 2008. 

  7. S. S. Choi and H. S. Park,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focusing on urban-rural complex area,"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9, No.4, pp.1277-1293, 2009. 

  8. Y. B. Kwak, S. H. Goh, and H. K. Kim, "The effects of alcohol use, depression, self esteem on suicidal ideation of the aged,"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11, No.9, pp.221-228, 2013. 

  9. Y. H. Cho, "The correlation study on loneliness, feeling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department of nursing, chodang university, Vol.27, No.1, pp.87-98, 2002. 

  10. J. S. Hur, "Determinants of loneliness among the users and non-user of senior,"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3, pp.74-104, 2011. 

  1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on elderly, 2011. 

  12. J. Kim, H. Y. Lee, M. C. Christensen, and J. R. Merighi, "Technology Access and Us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al Engagement among Older Adults: Do Women and Men Differ?," Journals of Gerontology(B) :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72, No.5, pp.836-845, 2017. 

  13. 원희욱, "노인의 스마트폰 게임중독 경향에 따른 뇌파 비대칭과 연결성의 정량화뇌파 비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Vol.18. No.11, pp.644-652, 2017. 

  14. 강희양,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제31권, 제2호, pp.563-580, 2012. 

  15. S. H. Lee,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KS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1, No.1, pp.255-265, 2013. 

  16. M. S. Yoon, "Comparing the Mobile-phone Overuse by Gender and School Leve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1, pp.1-9, 2017. 

  17. B. K. Seo, "Adult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Use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 pp.305-317, 2014. 

  18. E. Haug, R. P. Castro, M. Kwon, A. Filler, T. Kowatsch, and M. P. Schaub,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young people in Switzerland,"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4, No.4, pp.299-307, 2015. 

  19. F. Y. Hong, D. H. Huang, H. Y. Lin, and S. L. Chiu,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aits, Facebook usage, and Facebook addiction model of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Telematics & Informatics, Vol.31, pp.597-606, 2014. 

  20. M. Salehan and A. Negahban, "Social networking on smartphones: when mobile phones become addi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pp.2632-2639, 2013. 

  21. 이성철, 최태영, 우정민, 김지현, 서민재, 곽상규, 이종훈,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사회불안의 상관관계: 예비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0, No.3, pp.212-218, 2014. 

  22. E. Engelberg and L. Sjoberg, "Internet use,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7, pp.41-47, 2004. 

  23. R. D. Putnam, Bowling alone, New York: Simon & Schuster, 2000. 

  24. M. Y. Kim,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 Relationship among Older Adul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3, pp.219-228, 2018. 

  25. 김경미, 염유식,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과 주관적 행복: 부모관계의 조절효과에 따른 성별 접근,"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4, No.3, pp.31-56, 2014. 

  26. C. R. Victor, S. J. Scambler, A. N. Bowling, and J. Bond,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oneliness in later life : a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Ageing and Society, Vol.25, No.6, pp.357-375, 2005. 

  27. W. H. Jones, "The Psychology of loneliness: Some personality issues in the study of social support," In. I. G. Sarson and B. R. Sarson(Eds.),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oston, Vol.56, No.1, pp.226-241, 1985. 

  28. S. M. Kearns and A. Creaven, "Individual differences i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regulation: Which strategies explain variability in loneliness?," Personality and Mental Health, Vol.11, No.1, pp.64-74, 2016. 

  29. 김대훈,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사회적지원이 사회적 고립감과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 Vol.10, No.4, pp.283-294, 2016. 

  30. 변희숙, 권순용, "초등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Vol.23, No.4, pp.303-317, 2014. 

  31. 오주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요인에 관한연구," 복지행정논총, Vol.24, No.1, pp.47-76, 2014. 

  32. 안도연, 이훈진, "외로움개입 예비프로그램의 효과: 주관적 외로움 및 인터넷 사용행동 개선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Vol.11, No.1, pp.1-15, 2011. 

  33. 신호경, 이민석, 김흥국, "모바일 사용행동에 대한 실증연구: 스마트폰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Vol.18, No.3, pp.50-68, 2011. 

  34. 박정희, 박희현, "아동의 외로움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17, No.2, pp.179-192, 2014. 

  35. 최다혜,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6. 장정은,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7. 김양수, 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과 자기 통제력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8. K. N. Le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 of communications with mothers and self-control on game addic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1, No.1, pp.77-91, 2003. 

  39. 이상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연구," 청소년 복지연구, Vol.17, No.2, pp.55-79, 2015. 

  40. M.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41. 최혜진, 최연실, 안연주, "부모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5, No.4, pp.113-133, 2011. 

  42. 조민자,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 및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Vol.10, No.1, pp.15-25, 2012. 

  43. 남수정, "긴장과 낮은 자기통제력이 사이버 일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와 익명성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Vol.49, No.2, pp.63-74, 2011. 

  44. K. S. Young, Internet can be as addicting as alcohol, drug and gambling, An APT news release, 1996. 

  45. 정문경,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교정복지연구, Vol.34, pp.199-224, 2014. 

  46. 이은정, 어주경, "고등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 충동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1, pp.1-22, 2015. 

  47. 이수진, 문혁준,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2, No.6, pp.587-598, 2013. 

  48. 이진령, 유정선, 허균, "성별,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3, pp.1557-1566, 2014. 

  49.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3, pp.67-98, 2013. 

  50. K. S. Ko, M. J. Lee, and Y. E. Kim,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ddictive use of smartphon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4, pp.513-528, 2012. 

  51. 김재희, 김욱, "노인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Vol.42, No.4, pp.233-260, 2014. 

  52. S. Cobb, "S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76. 

  53.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 Wesley Pub, CA, 1981. 

  54. Y. Kim, J. Kim, J. Kang, J. Park, H. Yang, S. Lee, H. Jang, Y. J. Jung, Y. L. Jung, and J. Jung, "Depression, Loneliness,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Using Smartphone," Journal of Ehwa Nurses Academic Soicety, Vol.49, pp.99-117, 2015. 

  55. 김봉금,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pp.281-291, 2019. 

  56. 박명준, 오종현, 신성만, "사회적지지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실존적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4, pp.1185-1202, 2014. 

  57. 도명숙,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8. 이용희,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남녀 집단 비교,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9. 박명희,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불안,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60. 류화청, 생태체계요인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윤리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1. 전대성 김동욱,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들과 성인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가족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Vol.31, No.3, pp.159-181, 2015. 

  62. 석말숙, 구용근, "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1, pp.53-77, 2016. 

  63. M. Y. Kim,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 Relationship among Older Adul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3, pp.219-228, 2018. 

  64. M. S.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Use of Smart Phone on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2015. 

  65. D. L. Hogeboom, R. J. McDermott, K. M. Perrin, H. Osman, and B. A. Bell-Ellison, "Internet Use and Social Networking among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Vol.36, pp.93-111, 2010. 

  6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3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among Older Adults," 2014b,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 accessed Mar 12, 2017. 

  67. 양승민, 임진섭, "노인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지행동모델을 기반으로한 탐색연구," 공공정책연구, Vol.36, No.1, pp.207-230, 2019. 

  68. 김교현,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 Vol.27, No.1, pp.131-154, 2016. 

  69. M. E. Hughes, L. J. Waite, L. C. Hawkley, and J. T. Cacioppo, "A short scale for measuring loneliness in large surveys: Results from two population-based studies," Research on Aging, Vol.26, No.6, pp.655-672, 2004. 

  70. D. Russell, L. A. Peplau, and C. E. Cutrona,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9, No.3, pp.472-480, 1980. 

  71. 황환, 이선혜, "노인의 고독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4, pp.207-232, 2014. 

  72. L. I. Pearlin, M. A. Liberman, E. G. Menaghan, and J. T. Mullan,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2, pp.337-356, 1981. 

  73.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Vol.11, pp.59-79, 2003. 

  74.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75. 신준섭, 이영분, "사회적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37, No.4, pp.241-269, 1999. 

  76. 이현주, 하은혜, "중학생의 정서강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19, No.1, pp.35-51, 2016. 

  77. 김은영, 김정기, 최승애, 남태현, "대학(원)생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Vol.23, No.6, pp.97-118, 2016. 

  78. Y. Ozdemir, Y. Kuzucu, and S. Ak, "Depression, loneliness and internet addiction:How important is low self-control,"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4, pp.284-290, 2014. 

  79. 이준기, 강근모, "청소년 인터넷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Vol.16, No.3, pp.101-120, 2015. 

  80. 김현실, 양지훈,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Vol.32, No.1, pp.259-281, 2016. 

  81. K. S. You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with internet addicts: Treatment outcomes and implications,"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10, No.5, pp.671-679, 2007. 

  82. 유화경, 손정락,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2, pp.415-426, 2016.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