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외동포정책: 차세대 재미한인 교육지원 방향 중심으로
Korea's Policy on Overseas Koreans: Factors that Strengthen Korean Americans' Sentiment towards the Motherlan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362 - 375  

장안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정부의 주요 해외 공중 집단 중 하나는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로서 정부는 이들을 인적자원으로 인식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재외동포정책을 수립하여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 자녀들에게 민족주의 제고를 위해 한국어 교육지원 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지원사업의 대상인 재미한인들이 한국어 학교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경험에 의거한 생각과 효과를 탐색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재미한인들에게는 한국어 학교 보다는 부모님이 가르쳐 준 한국 문화 및 가치 그리고 직접적인 한국 문화체험이 한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한국 혈통으로서의 자부심을 형성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본인들도 한국문화 및 언어를 더 배울 뿐 아니라 추후 자녀에게도 계승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동기부여는 전반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한국문화에 대한 평가가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으로 재미동포와의 관계발전을 위한 재외동포 정책 방향 및 차세대 재미한인들을 위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Kim Dae-jung's administr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policy for overseas Koreans to provide nationalism education to their descendants. While the policy is still in effect today, as to how the recipients of the support in the USA make meaning of the programs given much changes ...

주제어

참고문헌 (29)

  1. Overseas Koreans Foundation (2018). The 21st Future Leaders' Conference. http://www.korean.net/portal/customer/pg_notice.do?modeview&articleNo3998588&article.offset0&articleLimit10#/list 

  2. N. Abelman and J. Lie, Blue Dreams: Los Angeles Riots of 1992 and Korean American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3. A. Jang and B. Jin, "Transnational Practices and Nationalism of Korean Americans in Korea: How They Make Meaning of Korean Government's Effort to Strengthen Transnational Korean Identity,"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Vol.25, No.3, pp.5-47, 2018. 

  4.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urrent Overseas Koreans, 2013. http://www.mofa.go.kr/travel/overseascitizen/index.jsp?menum_10_40 

  5. E. S. Choi, "jaeoedongpo gyoyuggwa ileul wihan bongug jeongbuui gyoyug, jeongchaeg-e gwanhan gochal: jaemidongposahoeleul jungsim-eulo,"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Thoughts on Motherland's policy and education on th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focus on Korean American communiti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Vol.8, No.2, pp.207-232, 1998. 

  6. KAFGW, Korean American Foundation-Greater Washington, History of Korean Americans in the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1883-2005, Korea: C&C Media, 2009. 

  7. E. Lee, "Korean Americans look for avenues of change," Asianweek, San Francisco, California, Vol.14, No.35, 1993. 

  8. P. G. Min, 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1995. 

  9. P. G. Min and M. Bozorgmehr, "Immigrant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atterns: A comparison of Koreans and Iranians in Los Angele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Vol.34, No.3, pp.707-738, 2000. 

  10. J. Y. Lee, "hangug-ui jaeoedongpojeongchaeg," [Korea's Overseas Korean policy], IOM Migration Research & Training Centre, No. 2010-11, 2010. 

  11. J. H. Lee, "Jaeoedongpo jeongchaeg-ui hyeonhwang-gwa hyanghu banghyang," [Current Overseas Korean Policy and future direction] 21st Century Korea's Diplomatic Policy, Nanam, 1999. 

  12. J. S. Kim, J"jaeoehan-in minjoggyoyug baljeonbang-an," [Development plan of Overseas Koreans' ethnic Education]. Chonnam University, Research Center for Overseas Korean Business & Culture International Conference, pp.207-223, 2008. 

  13. KSAA, Korean School Association of America, 2017. https://www.facebook.com/ksaaca/about?lst5735902%3A1310563352%3A1498620339 

  14. NAKS, 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Schools. 2017. https://www.naks.org/jml/aboutus-purpose 

  15. E. Y. Jung, Transnational Korea: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Korean Wave in Asia and the United States, Southeast review of Asian studies, 31. 2009. 

  16. J. Dator and Y. Seo, "Korea as the Wave of a Future: The Emerging Dream Society of Icons Aesthetic and Experience," Journal of Future Studies, Vol.9, No.1, pp.31-44, 2004. 

  17. W. Ryoo, "Globalization, or the Logic of Cultural Hybridization: The Case of the Korean Wave,"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9, No.2, pp.137-151, 2009. 

  18. H. Ju and S. Lee, "The Korean Wave and Asian Americans: The ethnic meanings of transnational Korean pop culture in the USA," Continuum, Vol.29, No.3, pp.323-338, 2015. 

  19. J. Park, "Korean American Youth and Transnational Flows of Popular Culture Across the Pacific," Amerasia Journal, Vol.30, No.1, pp.147-169, 2004. 

  20. S. Noh, "Unveiling the Korean Wave in the Middle East," In Do Kyun Kim & Min-Sun Kim (Eds.) Hallyu: Influ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and Beyond (331-367),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1. 

  21. C. Marshall and G. Rossman,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2, 1995. 

  22. M. Q. Patton,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Beverly Hills, p.22, 1980. 

  23. C. Marshall and G. Rossman,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82, 1995. 

  24. H. J. Rubin and I. Rubin, Qualitative interviewing: the art of hearing data (2nd Ed),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p.67, 2005. 

  25. B. Glaser and A. Strauss, "Grounded theory: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ociology The Journal Of The British Sociological Association, Vol.12, pp.27-49, 1967. 

  26. J. Corbin and A. Strauss,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Los Angeles, CA: Sage, 2008. 

  27. C. Lee, "Korean Americans generational socioeconomic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IOM policy report, No.2016-04, 2016. 

  28. Ruggles et al., Integrated Public Use Microdata Series;: Version 6.0.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2015. 

  29. A. Jang and H. Kim, "Cultural identity, social capital and social control of young Korean Americans: Extending Intercultural Public Relations Theory,"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25, pp.225-245,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