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딧물 전반 딸기 바이러스 발생조사 및 딸기모틀바이러스의 계통분석
Incidence of Aphid-Transmitted Strawberry Viruses in Korea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Isolates of Strawberry Mottle Viru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5 no.4, 2019년, pp.226 - 232  

권선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윤정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조인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윤주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권태룡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를 감염하는 30여 종의 바이러스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4종의 바이러스는 Strawberry mild yellow edge virus (SMYEV), Strawberry mottle virus (SMoV), Strawberry crinkle virus (SCV), Strawberry vein banding virus (SVBV)로 이들은 모두 진딧물이 전반되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바이러스들이다. 2018-2019년까지 국내 주요 딸기 생산지에서 국내 딸기 품종을 대상으로 이들 4종 진딧물 전반 바이러스의 발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부 국내 딸기 품종에서 SMYEV와 SMoV가 각각 0.7%와 1.3%의 낮은 감염률로 검출되었으며 SCV와 SVBV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바이러스 감염 식물에서 병징은 관찰되지 않았다. 국내에서 SMoV에 대한 염기서열은 보고된 바 없어 SMoV 국내분리주에 대한 3' untranslated region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SMoV 분리주들과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국내 분리주는 캐나다 분리주와 근연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기서열의 진화적 측면에서 분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분리주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more than 30 viruses infecting strawberry, aphid-transmitted viruses including Strawberry mild yellow edge virus (SMYEV), Strawberry mottle virus (SMoV), Strawberry crinkle virus (SCV), and Strawberry vein banding virus (SVBV)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viruses of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종의 진딧물 전반 딸기 바이러스를 진단하기 위해 먼저 각 바이러스의 특이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GenBank database를 이용하여 각 바이러스의 다양한 분리주(isolate)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가장 보존이 잘 되어있는 각 바이러스별 유전자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Table 1).
  • 7개의 국내 분리주와 기존에 보고된 분리주 1134 RNA1과 RNA2의 3′ UTR 782 nt 서열을 ClustalX 프로그램을 이용해 비교 분석했다(Table 3).
  • SMoV 국내 분리주의 3′ untranslated region (UTR) 염기서열의 유전학적 특성 및 계통 분석.
  • 국내 딸기의 SMoV 감염과 진딧물 전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딸기 농가의 주요 발생 진딧물 종을 동정하였다. 순창과 진주, 함양 딸기농가 에서 농가별로 20마리씩 진딧물을 채집하여 DNA barcoding 방법(Lee 등, 2011)에 따라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84%가 목화진딧물로 나타났고 16%는 Aphis cf.
  • 국내 분리주의 분자계통학적 위치를 분석하기 위해 GenBank에 등록된 다양한 SMoV 분리주(Table 3)의 3′ UTR 염기서열을 수집하여 maximum likelihood 분석 방식을 이용한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 한편, 바이러스가 검출된 시료에서 뚜렷한 바이러스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고 한 시료에서 2종이 함께 검출된 복합감염 시료는 없었다(data not shown). 국내 육성 딸기에서 SMYEV에 대한 특성 및 국내 분리주의 유전자 분석은 최근에 보고된 반면(Cho 등, 2011; Kwon 등, 2018), SMoV에 대한 국내 분리주에 유전적 분석은 다뤄진 바 없어 증폭산물에 대한 염기 서열 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 국내에서 SMoV에 대한 염기서열은 보고된 바 없어 SMoV 국내분리주에 대한 3′ untranslated region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 4종의 진딧물 전반 딸기 바이러스를 진단하기 위해 먼저 각 바이러스의 특이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GenBank database를 이용하여 각 바이러스의 다양한 분리주(isolate)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가장 보존이 잘 되어있는 각 바이러스별 유전자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Table 1). 2018년–2019년까지 딸기 재배 농가 및 원묘장에서 이상 증상을 보이는 잎 시료와 무병징 시료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총 918점(매향 322점, 설향 183점, 금실 169점, 싼타 42점, 무하88점, 장하 51점, 기타[고하, 죽향] 63점)에 대해 기존 방법과 동일하게 핵산을 추출하고 유전자 진단을 실시하였다(Kwon 등, 2018).

대상 데이터

  • 2018–2019년까지 국내 주요 딸기 생산지에서 국내 딸기 품종을 대상으로 이들 4종 진딧물 전반 바이러스의 발생조사를 실시하였다.
  • 2018년–2019년까지 딸기 재배 농가 및 원묘장에서 이상 증상을 보이는 잎 시료와 무병징 시료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총 918점(매향 322점, 설향 183점, 금실 169점, 싼타 42점, 무하88점, 장하 51점, 기타[고하, 죽향] 63점)에 대해 기존 방법과 동일하게 핵산을 추출하고 유전자 진단을 실시하였다(Kwon 등, 2018).
  • 매향, 설향, 금실, 싼타에서 분리된 총 6개의 SMoV 3′ UTR 증폭산물은 Kwon 등(2018)의 방법과 동일하게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GenBank 에 등록하였다: MaeH (MN520311), SH-P (MN520312), SH-S (MN520313), GS-G (MN520309), GS-S (MN520310), ST (MN520314). 6개의 국내 분리주와 함께 SMoV 감염주로 확보하고 있는 미홍 품종(MH)도 분석에 함께 포함시켰다(Table 3). 7개의 국내 분리주와 기존에 보고된 분리주 1134 RNA1과 RNA2의 3′ UTR 782 nt 서열을 ClustalX 프로그램을 이용해 비교 분석했다(Table 3).
  • 매향, 설향, 금실, 싼타에서 분리된 총 6개의 SMoV 3′ UTR 증폭산물은 Kwon 등(2018)의 방법과 동일하게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GenBank 에 등록하였다: MaeH (MN520311), SH-P (MN520312), SH-S (MN520313), GS-G (MN520309), GS-S (MN520310), ST (MN5203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딸기 바이러스의 SMoV 분리주들과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 결과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국내에서 SMoV에 대한 염기서열은 보고된 바 없어 SMoV 국내분리주에 대한 3' untranslated region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SMoV 분리주들과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국내 분리주는 캐나다 분리주와 근연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기서열의 진화적 측면에서 분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분리주임을 확인하였다.
딸기를 정의하시오 딸기(Fragaria spp.)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전 세계적으로 20여 종(species)과 수많은 교배종(hybrids) 및 품종(cultivars)이 존재한다. 재배종 딸기인 Fragaria × ananassa는 F.
딸기를 감염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는 무엇인가? 딸기를 감염하는 30여 종의 바이러스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4종의 바이러스는 Strawberry mild yellow edge virus (SMYEV), Strawberry mottle virus (SMoV), Strawberry crinkle virus (SCV), Strawberry vein banding virus (SVBV)로 이들은 모두 진딧물이 전반되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바이러스들이다. 2018–2019년까지 국내 주요 딸기 생산지에서 국내 딸기 품종을 대상으로 이들 4종 진딧물 전반 바이러스의 발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hagwat, B., Dickison, V., Su, L., Bernardy, M., Wiersma, P. A., Nie, X. et al. 2016.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ivergent strawberry mild yellow edge virus isolates from Eastern Canada. J. Phytopathol. 164: 691-696. 

  2. Cho, J.-D., Choi, G.-S., Chung, B.-N., Kim, J.-S. and Choi, H.-S. 2011. Strawberry mild yellow edge potexvirus from strawberry in Korea. Plant Pathol. J. 27: 187-190. 

  3. Choi, G.-S., Lee, J.-A., Cho, J.-D., Chung, B.-N., Cho, I.-S. and Kim, J.-S. 2009. Strawberry virus diseases occurring in Korea, 2007-2008. Res. Plant Dis. 15: 8-12. (In Korean) 

  4. Franova, J. 2001. Occurrence of graft-transmissible virus diseases of the strawberry in the Czech Republic. Acta Virol. 45: 151-157. 

  5. Frazier, N. W. 1974. Six new strawberry indicator clones evaluated for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twelve graft-transmissible diseases. Plant Dis. Rep. 58: 28-31. 

  6. Freeman, J. A. and Mellor, F. C. 1962. Influence of latent viruses on vigor, yield and quality of British Sovereign strawberries. Can. J. Plant Sci. 42: 602-610. 

  7. Horn, N. L. and Carver, R. G. 1962. Effect of three viruses on plant production and yields of strawberries. Plant Dis. Rep. 46: 762-765. 

  8. Krczal, H. 1982. Investigation on the biology of the strawberry aphid (Chaetosiphon fragaefolii), the most important vector of strawberry viruses in West Germany. Acta Hortic. 129: 63-68. 

  9. Kwon, S.-J., Cho, I.-S., Yoon, J.-Y. and Choi, G.-S. 2018. Genetic diversity of two isolates in strawberry mild yellow edge virus from Korea. Res. Plant Dis. 24: 285-291. (In Korean) 

  10. Lee, W., Kim, H., Lim, J., Choi, H.-R., Kim, Y., Kim, Y.-S. et al. 2011. Barcoding aphids (Hemiptera: Aphididae) of the Korean Peninsula: updating the global data set. Mol. Ecol. Resour. 11: 32-37. 

  11. Martin, R. R. and Tzanetakis, I. E. 2006. Characterization and recent advances in detection of strawberry viruses. Plant Dis. 90: 384-396. 

  12. Mellor, F. C. and Krczal, H. 1987. Strawberry mottle. In: Virus Disease of Small Fruits, Agricultural Handbook, No. 631, ed. by R. H. Converse, pp. 10-1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Washington, DC, USA. 

  13. Spiegel, S. and Martin, R. R. 1998. Virus and viruslike diseases. In: Compendium of Strawberry Disease, ed. by J. L. Maas, pp. 62-72. 2nd ed.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N, USA. 

  14. Staudt, G. 1962. Taxonomic studies in the genus Fragaria. Typification of Fragaria species known at the time of Linnaeus. Can. J. Bot. 40: 869-886. 

  15. Thompson, J. R. and Jelkmann, W. 2003. The detection and variation of Strawberry mottle virus. Plant Dis. 87: 385-390. 

  16. Thompson, J. R., Leone, G., Lindner, J. L., Jelkmann, W. and Schoen, C. D. 2002. Characterization and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of Strawberry mottle virus: a tentative member of a new family of bipartite plant picorna-like viruses. J. Gen. Virol. 83: 229-239. 

  17. Yang, H., Zhang, Z., Dai, H. and Li, H. 2007. Detection of strawberry mottle virus by RT-PCR. Acta Hortic. 764: 127-13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