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와 부품은 제조업의 허리 역할을 담당한다. 2018년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산업의 수출액은 3,162억 달러로 2018년 기준 전체 수출의 52.3%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해 효자산업이 되었다. 이처럼 소재부품산업은 무역흑자를 이끄는 핵심산업이지만 유독 일본과의 관계를 보면 다른 모습을 보인다. 작년 대일무역적자는 240억 달러로 줄었으나 그중 소재부품산업의 적자는 151억 달러로 여전히 60%를 넘는 수준이다. 오늘날 일본이 첨단 소재부품산업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게 된 것은 요인으로는 기업 간의 협력과 공생, 모노쯔쿠리 정신, 장기적인 정부정책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경제가 일본의 첨단소재부품산업을 추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식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소재부품산업은 동반성장을 전제로 하며 상생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동반성장산업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재와 부품은 최종제품이 아니라 중간제품이다. 따라서 소재와 부품은 소비자와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 간의 거래만 이루어지는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 둘째, 공동기술개발의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범용 소재부품산업분야에서는 경쟁력을 가진 기술강국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단계에서 대기업의 참여가 부진해 첨단제품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구조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은 기술개발단계에서부터 대기업이 참여하여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전달하고 공동 R&D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소재부품산업에서 대일 무역적자의 고착화는 첨단 기술 부족 등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직접적인 원인이지만 그 배경에는 기술에 대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첨단소재부품산업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술과 노하우를 하나씩 쌓아가는 장기적인 접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여기에는 기업의 접근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소재와 부품은 제조업의 허리 역할을 담당한다. 2018년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산업의 수출액은 3,162억 달러로 2018년 기준 전체 수출의 52.3%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해 효자산업이 되었다. 이처럼 소재부품산업은 무역흑자를 이끄는 핵심산업이지만 유독 일본과의 관계를 보면 다른 모습을 보인다. 작년 대일무역적자는 240억 달러로 줄었으나 그중 소재부품산업의 적자는 151억 달러로 여전히 60%를 넘는 수준이다. 오늘날 일본이 첨단 소재부품산업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게 된 것은 요인으로는 기업 간의 협력과 공생, 모노쯔쿠리 정신, 장기적인 정부정책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경제가 일본의 첨단소재부품산업을 추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식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소재부품산업은 동반성장을 전제로 하며 상생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동반성장산업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재와 부품은 최종제품이 아니라 중간제품이다. 따라서 소재와 부품은 소비자와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 간의 거래만 이루어지는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 둘째, 공동기술개발의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범용 소재부품산업분야에서는 경쟁력을 가진 기술강국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단계에서 대기업의 참여가 부진해 첨단제품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구조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은 기술개발단계에서부터 대기업이 참여하여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전달하고 공동 R&D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소재부품산업에서 대일 무역적자의 고착화는 첨단 기술 부족 등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직접적인 원인이지만 그 배경에는 기술에 대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첨단소재부품산업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술과 노하우를 하나씩 쌓아가는 장기적인 접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여기에는 기업의 접근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Materials and Parts acts as the brid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2018, the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became the leading industry in Korea as its export reached $316.2 billion, accounting for 52.3 percent of the country's total exports. As such, it is the main industry of Korea leading the...
Materials and Parts acts as the brid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2018, the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became the leading industry in Korea as its export reached $316.2 billion, accounting for 52.3 percent of the country's total exports. As such, it is the main industry of Korea leading the trade surplus, but when it comes to Japan, it is not. The trade deficit with Japan shrinks to $24 billion last year but the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still accounts for 60 percent of total deficit, which is about $15.1 billion. Today Japan has the top competitiveness in the high-tech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and the factors can be found in cooperation and symbiosis among companies, monotsukuri spirit, and long-term government policy. In order for Korean economy to pursue the Japan's high-tech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the following change of perception is necessary. First, the material and parts industry requires win-win cooperation. In general, materials and parts are intermediate produ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 that the transactions are all made up between companies not the with consumers. Second, expansion of joint technology development is absolutely necessary. South Korea is a leading country in the field of general-purpose materials and parts. However, the research shows that South Korea has structure which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could have difficulties in developing high-tech products as finding demand and developing market are hard due to low participation of large corporations at R&D stage. It is necessary for large corporations to participate in joint R&D and share opinions of customers from the beginning stage of R&D. Third, a long-term approach is needed. Structural vulnerabilities in the Korea's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including the lack of advanced technologies is the main reason of solidification of Korea's trade deficit with Japan but there are also cultural differences about technology in the background. Even if it takes time, a long-term approach is absolutely necessary to build up technology and know-how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high-tech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This approach applies to act of corporation and government policy.
Materials and Parts acts as the brid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2018, the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became the leading industry in Korea as its export reached $316.2 billion, accounting for 52.3 percent of the country's total exports. As such, it is the main industry of Korea leading the trade surplus, but when it comes to Japan, it is not. The trade deficit with Japan shrinks to $24 billion last year but the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still accounts for 60 percent of total deficit, which is about $15.1 billion. Today Japan has the top competitiveness in the high-tech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and the factors can be found in cooperation and symbiosis among companies, monotsukuri spirit, and long-term government policy. In order for Korean economy to pursue the Japan's high-tech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the following change of perception is necessary. First, the material and parts industry requires win-win cooperation. In general, materials and parts are intermediate produ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 that the transactions are all made up between companies not the with consumers. Second, expansion of joint technology development is absolutely necessary. South Korea is a leading country in the field of general-purpose materials and parts. However, the research shows that South Korea has structure which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could have difficulties in developing high-tech products as finding demand and developing market are hard due to low participation of large corporations at R&D stage. It is necessary for large corporations to participate in joint R&D and share opinions of customers from the beginning stage of R&D. Third, a long-term approach is needed. Structural vulnerabilities in the Korea's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including the lack of advanced technologies is the main reason of solidification of Korea's trade deficit with Japan but there are also cultural differences about technology in the background. Even if it takes time, a long-term approach is absolutely necessary to build up technology and know-how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high-tech materials and parts industry. This approach applies to act of corporation and government policy.
소재와 부품은 제조업의 허리 역할을 담당한다. 2018년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산업의 수출액은 3,162억 달러로 2018년 기준 전체 수출의 52.
2018년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산업의 수출액은 얼마인가?
소재와 부품은 제조업의 허리 역할을 담당한다. 2018년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산업의 수출액은 3,162억 달러로 2018년 기준 전체 수출의 52.3%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해 효자산업이 되었다.
우리 경제가 일본의 첨단소재부품산업을 추격하기 위해서 어떤 인식전환이 필요한가?
우리 경제가 일본의 첨단소재부품산업을 추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식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소재부품산업은 동반성장을 전제로 하며 상생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동반성장산업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재와 부품은 최종제품이 아니라 중간제품이다. 따라서 소재와 부품은 소비자와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 간의 거래만 이루어지는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 둘째, 공동기술개발의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범용 소재부품산업분야에서는 경쟁력을 가진 기술강국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단계에서 대기업의 참여가 부진해 첨단제품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구조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은 기술개발단계에서부터 대기업이 참여하여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전달하고 공동 R&D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소재부품산업에서 대일 무역적자의 고착화는 첨단 기술 부족 등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직접적인 원인이지만 그 배경에는 기술에 대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첨단소재부품산업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술과 노하우를 하나씩 쌓아가는 장기적인 접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여기에는 기업의 접근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