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PLC-MS/MS를 이용한 벌꿀제품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잔류실태 및 분석법 선진화
Characterization and screening of pyrrolizidine alkaloids by UPLC-MS/MS: Application to honey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2 no.6, 2019년, pp.252 - 261  

류회진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김욱희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이은순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김미선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김정곤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윤은선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김현정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김무상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Pyrrolizidine alkaloids, PAs)는 식물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현재까지 약 6,000 여종 이상의 식물에서 660 여개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확인되었으며 주로 국화과, 지치과, 콩과 식물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UPLC-MS/MS를 이용하여 벌꿀 속 자연독소의 일종인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7 종에 대한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유통중인 벌꿀제품 84건에 대하여 PAs 함유량을 모니터링하였다. 정량은 전자분무이온화 과정에서 벌꿀에 대한 matrix effect를 줄이기 위해 matrix-matched 검량선을 사용하였다. 직선성은 R2 ≥ 0.998, PAs 7 종에 대한 회수율은 81-108 % 수준이었다. 7종 동시분석법으로 국내 유통중인 벌꿀 84건을 검사한 결과, 7.1 % (6/84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검출량은 평균적으로 47.19 ㎍/kg이었다. 또한 검출된 PA 성분은 주로 Lycopsamine과 Echimidine으로 확인되었으며 1.76-202.1 ㎍/kg의 검출범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yrrolizidine alkaloids (PAs) are a group of secondary metabolites that are produced by plants all over the world a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herbivores. To date, over 660 PAs have been identified from more than 6,000 plant species that have been reported to be widely present in plants belonging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벌꿀에 대하여 UPLC-MS/MS를 이용한 PAs 7종(Fig. 2)의 동시분석법을 확립하고 국내 유통 중인 벌꿀제품에 대한 PAs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식품 속 잠재적인 신종 위해요소를 사전에 모니터링하여 예방조치가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통 벌꿀을 대상으로 PAs 7종에 대해 UP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법은 직선성, 정확성,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로 유효성 검증을 하였다.
  • 2)의 동시분석법을 확립하고 국내 유통 중인 벌꿀제품에 대한 PAs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식품 속 잠재적인 신종 위해요소를 사전에 모니터링하여 예방조치가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는 무엇인가?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Pyrrolizidine alkaloids, PAs)는 보통 식물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작으로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의 한 종류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식물에 분포하고 있는 자연독소이며, 현재까지 약 6,000 여종 이상의 식물에서 660 여 개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발견되고 있다.
PAs 화합물은 간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무엇이 발현되는가? PAs 화합물 자체는 화학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낮은 독성을 나타내지만 간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독성이 발현된다. 특히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할 경우 급성 간독성을 유발하고 사망에까지 이를 수도 있다.
유통 벌꿀을 대상으로 PAs 7종에 대해 UP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998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고 회수율은 81-108% 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 RSD)는 5 % 이내로 우수한 재현성을 나타냈다. 확립된 분석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유통 벌꿀 84건 중 6건이 LOQ 이상으로 검출되었으며 평균 47.19 μg/kg 수준이었다. 검출된 PAs의 종류는 대부분 Lycopsamine과 Echimidine이었다. 벌꿀 중 가장 높은 검출량을 보인 품목은 유칼립투스(Eucalyptus) 꿀이었으며 국내에서 많이 생산되는 밤꿀, 아카시아꿀, 잡화꿀 등에서는 대부분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국내산 벌꿀의 경우, 지리적 위치에 따른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The EFSA Journal, 447(1), 1-51 (2007). 

  2.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The EFSA Journal, 9(11), 1-146 (2011). 

  3. P. P. Fu, Q. Xia, M. W. Chou, and G. Lin, Journal of Food and Drug Analysis, 15(4), 400-415 (2007). 

  4. Y. Jiang, P. P. Fu, and G. Lin, Asian Journal of Pharmacodynamics and Pharmacokinetics, 6(3), 187-192 (2006). 

  5. M. Dreger, M. Stanislawska, A. Krajewska-Patan, S. Mielcarek, P.L. Mikolajczak, and W. Buchwald, Journal Herba Polonica, 55(4), 127-147 (2009). 

  6. L. A. Hoogenboom, P. P. Mulder, M. J. Zeilmaker, H. J. van den Top, G. J. Remmelink, E. F. Brandon, M. Klijnstra, G. A. Meijer, R. Schothorst, and H. P. Van Eqmond, Food Additive and Contaminants, 28(3), 359-372 (2011). 

  7. H. Wiedenfeld, Journal of Marmara University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1(2), 79-87 (2011). 

  8. Centre for Food Safety assessment, https://www.cfs.gov.hk/english/programme/programme_rafs/files/Pyrrolizidine_Alkaloids_in_Food_e.pdf, Assessed 9 Aug 2019. 

  9. Dutch National Institute for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RIVM), Advisory report on pyrrolizidine alkaloids in herbal preparations, 2015. 

  10. J. Rossmann, S. Schubert, R. Gurke, R. Oertel, and W. Kirch, Journal of Chromatography B, 969(1), 162-170 (2014). 

  11. A. Cappiello, G. Famiglini, P. Palma, and H. Trufelli, Journal of Liquid Chromatography & Related Technologies, 33(1), 1067-1081 (2010). 

  12. B. Kmellar, P. Fodor, L. Pareja, C. Ferrer, M. A. Martinez- Uroz, A. Valverde, and A. R. Fernandez-Alba,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215(1), 37-50 (2008). 

  13. B. Avula, S. Sagi, Y.-H. Wang, J. Zweigenbaum, M. Wang, and I. A. Khan, Food Chemistry, 178, 136-148 (2015). 

  14. Y. Zhou, N. Li, F. F.-K. Choi, C.-F. Qiao, J.-Z. Song, S.-L. Li, X. Liu, Z.-W. Cai, P. P. Fu, G. Lin, and H.-X. Xu, Analytica Chemical Acta, 681, 33-40 (2010). 

  15. L. Zhu, Z. Wang, L. Wong, Y. He, Z. Zhao, Y. Ye, P. P. Fu, and G. Lin, Food Control., 85(1), 484-494 (2018). 

  16. C. T. Griffin, S. M. Mitrovic, M. Danaher, and A. Furey, Food Additives & Contaminants: Part A, 32(2), 214-228 (2015). 

  17. P. P. J. Mulder, P. Lopez, M. Castelari, D. Bodi, S. Ronczka, A. Preiss-Weigert, and A. These, Food Additives & Contaminants: Part A, 35(1), 118-133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