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다빈도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Usage Guidelines for Sedative Hypnotics Using the Delphi Technique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6 no.2, 2019년, pp.86 - 103  

남윤주 (전라북도 마음사랑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조철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유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헌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는 대한수면의학회로부터 수면에 대한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을 모집하여 델파이 기법을 통해 수면진정제의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고자 한다. 방 법 : 대한수면의학회 소속 수면 전문가 15인을 모집하였으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의 3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첫 델파이 조사는 3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에서 수면진정제 사용의 문제점을 환기하고, 안전사용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두번째 델파이 조사는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면진정제 처방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수집하였다. 세번째 델파이 조사는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1, 2차 조사를 통해 도출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에 대한 의견 동의율을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였다. 결 과 : 17개 항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동의율이 중앙값 4점 이상이었으며 평균 4.12, 표준편차 0.32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은 수면진정제의 처방, 유지, 그리고 감량 및 중단에 대한 총 13개의 지침을 제안한다. 결 론 : 증가하는 불면증 환자와 수면진정제 처방에도 불구하고 한국 임상 현실에 맞는 안전사용지침이 부재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을 통해 한국 임상에서 수면 비전문가들이 수면진정제를 처방할 시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처방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 and consensus-based clinical safety usage guidelines for sedative hypnotics using the Delphi technique. Methods: A group of 15 sleep experts from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were chosen for this study comprising a three-round web-...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권고는 수면진정제 처방이 매년 증가하고 장기 복용률이 높은 우리나라 임상 실제에서는 실효성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기법을 이용하여 수면 전문가들의 의견을 공정하게 모으고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임상 실제에 맞는 구체적인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80)를 보였다. 따라서 수면진정제 사용 후 3개월 경과 후에도 증상호전이 없을 경우 수면 전문가에게 불면증 치료를 의뢰할 것을 제안한다.
  • 23%의 높은 응답률을 보인 ‘투약 중단을 고려해야 할 단계의 부작용’이었다. 따라서 환자에게 상기 부작용의 위험성에 대해 투약 시작 시점부터 고지하고, 내원시마다 해당부작용을 경험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권고한다.
  • 총 13명이 참여한 2차 설문은 수면진정제 처방의 금기, 복용시 주의해야 할 부작용, 구체적인 용량에 대한 질문 등 임상에서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다루었다. 또한NHS 안전사용지침의 벤조디아제핀 감량 프로토콜을 참고하여 수면진정제 감량 및 중단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질문들을 제시하였다.
  • 문항 개발에 있어서는 기존에 수면진정제 처방에 관한 안전사용지침이나 수면진정제 사용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수면진정제 처방의 문제점을 환기하고, 우리나라 임상 실제에 맞는 지침을 포함하고자 전문가들의 의견을 주관식 및 객관식의 질문들을 통해 수렴하였다. 보기에 없는 의견을 수용하기 위하여 각 질문들 끝에 전문가들의 의견을 선택적, 추가적으로 얻고자 하였다. 또한 처방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하여 미국의 AASM 지침 및 영국의 NHS 진료지침의 세부 항목을 우리나라 임상 실제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는 문항,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수집된 경우 우리나라 임상 실제에서 필요한 지침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문항을 중점적으로 개발하였다.
  • 그 결과로 수면진정제의 오남용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불면증의 치료에 문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델파이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임상 현장에서 부딪히는 실질적인 쟁점들에 대해 숙고해서 만든 수면진정제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국의 AASM 및 영국의 NHS 안전사용지침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임상 실제에서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대부분의 영역에서 전문가들은 해외의 안전사용지침과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해외의 안전사용지침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전문가 패널 또한 인지행동치료 등 비약물치료를 약물치료와 동등하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으며 두 가지 치료가 병행되는 것이 중요함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영국의 경우 벤조디아제핀과 졸피뎀에 대한 안전사용지침이 따로 배부되어 있으며 벤조디아제핀의 경우 불안장애 등에 처방되는 점을 고려하여 작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에서 수면진정제 처방 전반에 대한 안전사용지침을 마련하고자 두 안전사용지침을 통합하여 수면진정제 처방에 대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도록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면증이란 무엇인가? 불면증은 가장 대표적인 수면장애로, 적절한 수면 시간과 기회에도 불구하고 수면 시작, 유지, 또는 수면의 질에 반복되는 어려움이 있는 상태로 정의된다(AASM 2014). 다양한연구에 의하면 불면증의 유병률은 적게는 10~15%에서 많게는 30%에 이르며 불면증 환자의 절반은 만성적인 경과를 가진다(Merrigan 등 2013).
불면증의 치료에 쓰이는 수면 진정제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불면증의 치료는 크게 비약물학적 치료와 약물학적 치료로 나누며, 비약물학적 치료로는 수면위생 교육, 인지행동치료, 광치료 등이 있다(Morin 등 1999 ; Schutte-Rodin 등2008) 약물학적 치료는 가장 흔히 벤조디아제핀 및 감마아미노부티르산-A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수용체에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결합 부위에 작용하는 수면 유도제로 알려진 z-drug 계열의 약물을 사용하며,이 중 졸피뎀(zolpidem)은 우리나라에서 불면증 상병 코드(KCD 코드 중 F510 또는 G470)가 있는 환자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수면진정제이다(Salva`와 Costa 1995 ; Lee 2016)이러한 수면진정제들은 불면증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수면클리닉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임상과목, 3차병원에서부터 개인의원 등에 이르기까지 상대적으로 부담없이 처방할 수 있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 수면진정제가 인지기능장애의 발병, 암, 그리고 자살 사망률과 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Chen 등 2012 ;Gallacher 등 2012 ; Kripke 등 2012 ; Sun 등 2016) 수면진정제의 올바른 사용, 안전한 처방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불면증이 일으키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불면증은 정상적인 생활리듬에 악영향을 끼쳐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Zammit 등 1999). 불면증은 동반된 내과적, 신경과적, 정신과적 질환을 악화시키거나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집중력과 기억의 저하 등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미쳐 개인의 삶의 질의 심각한 저하를 가져온다(Roth와 AncoliIsrael 1999 ; Moul 등 2002 ; Buysse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ASM.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3rd ed.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14. 

  2. Arthur L, Ling YH, Gan GL, Yeong NB. Prescribing of Benzodiazepines. Health Moh, MOH Clinical Practice Guideline;2008. 

  3. Assessment HIR. "Insomnia medical statistics index" 2016.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10000. 

  4. Bisson JI, Tavakoly B, Witteveen AB, Ajdukovic D, Jehel L, Johansen VJ, et al. TENTS guidelines: development of post-disaster psychosocial care guidelines through a Delphi process. Br J Psychiatry 2010;196:69-74. 

  5. Boulkedid R, Abdoul H, Loustau M, Sibony O, Alberti C. Using and reporting the Delphi method for selecting healthcare quality indicators: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2011;6:e20476. 

  6. Buysse DJ, Thompson W, Scott J, Franzen PL, Germain A, Hall M, et al. Daytime symptoms in primary insomnia: a prospective analysis using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Sleep Med 2007;8:198-208. 

  7. Chen PL, Lee WJ, Sun WZ, Oyang YJ, Fuh JL. Risk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insomnia and long-term use of hypnotics: a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cohort study. PLoS One 2012;7:e49113. 

  8. Dalkey NC.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and Corp Santa Monica Calif;1969. 

  9. Fink A, Kosecoff J, Chassin M, Brook RH. Consensus methods: characteristics and guidelines for use. Am J Public Health 1984;74:979-983. 

  10. Gallacher J, Elwood P, Pickering J, Bayer A, Fish M, Ben-Shlomo Y. Benzodiazepine use and risk of dementia: evidence from the Caerphilly Prospective Study (CaP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2;66:869-873. 

  11. Katie S, Kiran H. Hypnotics-Anxiolytics Guidelines, Berkshire Healthcare NHS Foundation Trust;2012. 

  12. Kelly CM, Jorm AF, Kitchener BA.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first aid guidelines for panic attacks: a Delphi study. BMC Psychiatry 2009;9:49. 

  13. Kripke DF, Langer RD, Kline LE. Hypnotics' association with mortality or cancer: a matched cohort study. BMJ Open 2012;2:e000850. 

  14. Lawshe C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1975;28:563-575. 

  15. Lee YJ. Final report on insomnia treatment status and its effect on Korean health. Foundation S R D;2016. 

  16. Merrigan JM, Buysse DJ, Bird JC, Livingston EH. Insomnia. JAMA 2013;309:733. 

  17. Milholland AV, Wheeler SG, Heieck JJ. Medical assessment by a Delphi group opinion technic. NEJM 1973;288:1272-1275. 

  18. Morin CM, Hauri PJ, Espie CA, Spielman AJ, Buysse DJ, Bootzin RR. Nonpharmacologic treatment of chronic insomnia. Sleep 1999;22:1134-1156. 

  19. Moul DE, Nofzinger EA, Pilkonis PA, Houck PR, Miewald JM, Buysse DJ. Symptom reports in severe chronic insomnia. Sleep 2002;25:548-558. 

  20. Noh S. Delphi Technique: Forecasting the future with professional insight. Planning and polic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2006. p.53-62. 

  21. Roth T, Ancoli-Israel S. Daytime consequences and correlates of insomnia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of the 1991 National Sleep Foundation Survey. II. Sleep 1999;1:S354-S358. 

  22. Salva P, Costa J. Clinical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zolpidem. Clin Pharmacokinet 1995;29:142-153. 

  23. Sateia MJ, Buysse DJ, Krystal AD, Neubauer DN, Heald J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harmacologic treatment of chronic insomnia in adults: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Sleep Med 2017;13:307-349. 

  24. Schutte-Rodin S, Broch L, Buysse D, Dorsey C, Sateia M.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nsomnia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8;4:487-504. 

  25. Sun Y, Lin CC, Lu CJ, Hsu CY, Kao CH. Association between zolpidem and suicid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Mayo Clin Proc 2016;91:308-315. 

  26. You S, Yu H, Lee JS, Sim M, Lee MS, Paik JW, et al. Develop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for a Disaster Mental Health Crisis Assistance Team using a Delphi Process. Kor J Clin Psychol 2018;37:131-143. 

  27. Zammit GK, Weiner J, Damato N, Sillup GP, McMillan CA.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insomnia. Sleep 1999;1:S379-S3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