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8 no.4, 2019년, pp.143 - 148
최군호 (경성대학교 전기공학과)
Numerous pipe lines can be found on various plant-based industrial sites. These pipelines should be periodically checked for defects. Most of these pipelines are internally inaccessible and difficult to visually inspect. Therefore, the inspection is being carried out with the help of non-contact in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육·해상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관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 육·해상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관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부식으로 인한 크랙이나 파손이 발생한다. 이러한 크랙 또는 파손은 결과적으로는 내부의 유, 기체의 누수로 인하여 환경오염과 폭발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배관의 사후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1]. | |
산업용 배관에 초음파 탐상 검사를 할 때 작업자는 어떻게 행동해야하는가? | 초음파 탐상 검사를 하려면 검사하려는 배관에 탐촉자가 일정한 압력을 주면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탐촉자를 장착한 이동 장비와 배관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 |
파이프 형태의 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으로 인한 크랙이나 파손을 예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육·해상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 형태의 배관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부식으로 인한 크랙이나 파손이 발생한다. 이러한 크랙 또는 파손은 결과적으로는 내부의 유, 기체의 누수로 인하여 환경오염과 폭발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배관의 사후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1]. 이러한 문제는 배관 외부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발생하는데 이렇게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외부와 달리 육안으로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초음파 탐상 장비 등을 이용한 비접촉 검사를 사용하고 있다. |
D.J. Park, A Study on the Method of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for Piping System in Process Plant, Ph.D Thesis, JoongAng Univ., 2015.
H.S. Choi, W.H. Na, D.W. Kang, H.S. Kang, J.G. Jeon, and H.S. Kim, "Development of an In-Pipe Inspection and Cleaning Robo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3, no. 5, pp. 662-671, Jul. 2009.
S.G. Roh, and H.R. Choi, "Automated Technology for Pipelines Inspection Using Inpipe Robo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22 no.3, pp. 261-266, 2002.
S.H. Ho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mbedded Control System for Untethered In-pipe Inspection Robot, Master Thesis, HanYang Univ., 2017.
T.H. Kang, Development of a Rotating Type Ultrasonic Device for Pipe Inspection, Master Thesis, JeonNam Univ. 2015.
H.P. Moon, S.C. Han, and K.W. Lee, MOVING ROBOT FOR INSPECTING PIPELINES, KOR Patent, NO.10-1281255, 2013.
J.G. Ahn, S.C. Han and H.P. Moon, ROBOT FOR INSPECTING PIPELINES," KOR. Patent, NO. 10-1430251, 2014.
S.C. Han, Research of climbing robot system for pipe inspection,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 2012.
H.S. Choi, W.H. Na, D.W. Kang, H.S. Kang, J.G. Jeon, and H.S. Kim, "Development of an In-Pipe Inspection and Cleaning Robo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3, no. 5, pp. 662-671, Jul. 2009.
C.H. Han and I.K. Park, Ultrasonic Testing, NODEMEDIA, 2012.
I.K. Park, Introduction to Nondestructive Testing, NODEMEDIA, 2012.
H.K. Lee and S.S. Lee, "Development of Unmanned Cleaning Robot for Photovoltaic Panels,"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ol.18, no.3, pp. 144-149, Sep.201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