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동기반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안전행동, 안전 분위기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 Program on Safety Behavior, Safety Climate and its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5, 2018년, pp.109 - 119  

양정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권영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afety behavior, safety climate and its satisfaction through the Behavior Based Safety Program for 5 sites of the same Company. The study result indicated that the level of recognized safety behavior, climate and its satisfaction improved by conduct...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개 사업장의 행동관찰 결과를 효과적으로 접수하여 분석하기 위해 별도의 전산 보고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고하도록 하였다. Fig.
  • 05보다 작은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개선활동과 관찰된 안전행동에 대한 효과를 파악한다. 개선활동에 대한 효과는 Cohen’s d 검정을 통해 0.
  •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기반안전관리 프로그램을 사업장 근로자에게 적용하여 근로자가 지각하는 안전행동, 안전 분위기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 근로자에게 개선활동(Treatment)을 적용하기 이전 3개월과 적용 이후 2개월 시점에 설문서를 접수하여 검정하는 AB 설계(within subject AB design)를 적용하였다.
  •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 안전 난간 대 설치, 충돌위험이 있는 구조물에 위험표지 부착, 날카로운 물체 취급 시 베임 방지 장갑을 지급 하는 등의 개선활동으로 근로자의 안전행동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안전작업허가 절차 준수, 위험요인 개선 요청, 현장 안전시설 설치 및 개선, 안전작업 투입 시간 부여 및 관찰횟수 증가 등의 현장 안전활동으로 이어져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을 안전한 행동으로 변화시키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즌은 의도하지 않은 행동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하인리히와 버드의 사고 도미노 이론과 리즌의 사고원인의 인간요소에 의하면,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리즌은 이를 의도하지 않은 행동과 의도한 행동으로 분류하였고, 의도하지 않은 행동은 부주의(Slip) 및 망각(Lapse)으로 구분하고 의도한 행동은 착오(Mistake) 및 위반(Violation)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부주의(Slip),망각(Lapse) 및 착오(Mistake)를 기본적인 인간의 실수(Human Error)라고 정의하였다.
행동기반안전관리 프로그램의 핵심항목은? 행동기반안전관리 프로그램은 Skinner의 조작적조건이론에 따라 1970년대에 시작된 이후 안전문화 요인과 함께 근로자의 행동을 개선하는 과정으로 발전하여 왔다10). 프로그램의 핵심항목은 안전문화 수준 평가, 경영층 및 관리자 협의, 관찰자 교육, 핵심행동 정의, 관찰 기준수립, 피드백 제공, 행동관찰, 작업환경 개선,성과측정 등이다11-12).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란? 산업재해로 인한 직접 및 간접적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내와 해외의 산업재해예방 접근방식을 살펴보면,안전설계를 반영한 기술적인 안전대책이 선행되어 왔는데, 이는 많은 투자비용이 소요되므로 주로 허용할 수 있는 위험(Tolerable Risk)수준 내에서 사람이 안전보건 관련 기준을 지키도록 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적용하여 왔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란 안전보건과 관련한 위험관리를 통해 업무 관련 부상 및 건강 악화를 방지하는 체계적인 활동으로 알려져 왔다2). 하지만,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통한 관리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는데, 주요 원인은 사업장에 안전보건 관련한 시설미비와 낮은 안전문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OEL, "Occupational Accident Analysis for 2016", p. 9, 2017. 

  2. ISO 45001,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ISO, p. vi, 2018. 

  3. H. W. Heinrich,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New York, p. 19, 1931. 

  4. Y. Toft, G. Dell, K. Klockner and A. Hutton, "Models of Causation: Safety", Safety Institute of Australia, Tullamarine, Victoria, pp. 6-7, 2012. 

  5. J. Reason, "Human 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01-207, 1990. 

  6. J. Reason, "Managing the Risks of Organizational Accidents", Ashgate, pp. 125-129, 1997. 

  7. M. Straughen, S. Williams, M. Wilkinson, R. Robb, R. Richardson, J. Smith and M. Fleming, "Changing Minds", A Practical Guide for Behavioural Change in the Oil and Gas Industry, pp. 5-6, 2000. 

  8. R. Holstvoogd, G. van der Graaf, R. Bryden, V. Zijlker and P. Hudson, "Hearts and Minds Programmes the Road Map to Improved HSE Culture: In Institution of Chemical Engineers Symposium Series", Institution of Chemical Engineers , Vol. 151, pp. 1-3, 1999. 

  9.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 Human Factors Briefing Note No.7 Safety Culture", pp. 1-2, 2007. 

  10. Institu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ooking for Higher Standards: Behaviroal Safety-improving Performance", www.iosh.co.uk/behavioural, pp. 2-6. 2015. 

  11. M. Fleming and R. Lardner, "Strategies to Promote Safe Behaviour as Part of a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HSE Books, pp. 9-13, 2002. 

  12. W. V. Myers, T. E. McSween, R. E. Medina, K. Rost and A. M. Alvero, "The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a Behavioral Safety Process in a Petroleum Refiner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Vol. 30, p. 289, 2010. 

  13. T. R. Krause, K. J. Seymour and K. C. M. Sloat, "Long-term Evaluation of a Behavior-based Method for Improving Safety Performance: a Meta-analysis of 73 Interrupted Time-series Replications", Safety Science, Vol. 32, p. 1, 1999. 

  14. S. L. Tholen, A. Pousette and M. Torner, "Causal Relations between Psychosocial Conditions,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ur-A Multi-level Investigation", Safety Science, Vol. 55, pp. 62-63, 2013. 

  15. K. S. Moon, K. H. Lee, J. H. Lee and S. Z. Oah,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BBS) Program o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A Field Stud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5, No. 2, pp. 349-372, 2012. 

  16. M. D. Cooper and R. A. Phillips, "Exploratory Analysis of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5, p. 497, 2004. 

  17. M. D. Cooper Ph. D.,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Vol. 36, pp. 120-121, 2000. 

  18. J. P. DePasquale and E. S. Geller,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Behavior-based Safety: A Study of Twenty Industrywide Applications",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0, No. 4, pp. 237-249, 2000. 

  19. T. Krause and J. H. Hidley, "The Behavior-based Safety Proces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p. 19-31, 1990. 

  20. T. Fishwick, T. Southam, D. Ridley and L. Blackpool, "Behaviroal Safety Application Guide", pp. 5-6, 2004. 

  21. I. Cameron and R. Duff, "A Critical Review of Safety Initiatives using Goal Setting and Feedback",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Vol. 25, p. 495, 2007. 

  22. S. Z. Oah, "A Review of Behavioral Studies to Improve Industrial Safety",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0, No. 1, p. 10, 1997. 

  23. R. B. McAfee and A. R. Winn, "The use of Incentives/feedback to Enhance Work Place Safety: A Critique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20, pp. 7-18, 1989. 

  24. T. E. McSween, "Values-based Safety Process: Improving Your Safety Culture with Behavior-based Safety", John Wiley & Sons, pp. 103-111, 2003. 

  25. K. S. Kim and Y. S. Park, "The Effects of A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 Vol. 15, No. 1, pp. 19-39,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