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Traffic Accident Pati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254 - 264  

차혜지 (청아병원) ,  방설영 (창신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관계망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도 C시 소재 100병상 이상 5개 병원의 교통사고 환자 158명이었으며,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연구의 설명력은 36.9%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사회적 관계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관계망은 회복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통사고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이 크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가 클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은 회복탄력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를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성장을 돕기 위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 향상 방안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고, 교통사고 환자에 대한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 외상후 성장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tress disorder symptoms, resilience, and social network on post-traumatic growth in traffic accident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158 traffic accident cases enrolled from five 100-bed hospitals situated in city C. Data w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관계망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관계망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관계망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교통사고 환자를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 회복탄력성, 사회적 관계망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통사고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 예방 및 외상후 성장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위험정도와 회복탄력성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적 관계망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관계망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Y. S. Seo, H. J. Cho, H. Y. An, J. S. Lee,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by South Koreans: Types and Prevalenc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4, No.3, pp.671-701, Aug, 2012. 

  2. H. J. Eun, S. M. Lee, T. H. Kim,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A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40, No.4, pp.581-591, Jun, 2001. 

  3. M. Heron-Delaney, J. Kenardy, E. Charlton, Y. Matsuoka, "A systematic review of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for adult road traffic crash survivors", Injury, Vol.44, No.11, pp.1413-1422, Nov, 2013. DOI: https://doi.org/10.1016/j.injury.2013.07.011 

  4. J. K. Pae, E. H. Ha, M. N. Lee, "Experiencing the Traumatic Event of Sewol Ferry for Journalists", Korean Journalism Study, Vol.58, No.5, pp.417-445, Oct, 2014. 

  5. J. Y. JO,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Traffic Accident on the Life Satisfaction : Case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2014. 

  6. M. I. Lee, S. H. Park, S. H. Kim, J. M. Kim, H. R.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Consequences and Injury Severity Following Traffic Acci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12, No.1, pp.66-75, Jun, 2004. 

  7. S. M. Yi, D. I. Kim, "A Study of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hysically Injured Patients by Motor Vehicle Accidents:A Prospective Study on Incidence, Pattern of Symptom Changes and Predicto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39, No.5, pp.797-808, Sep, 2000. 

  8. J. E. Ha,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al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In Jeju", Tamla culture, Vol.44, No.0, pp.175-210, Oct, 2014. 

  9. R. G. Tedeschi,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No.3, pp.455-471, July, 1996. 

  10. G. A. Bonanno,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American psychologist, Vol.59, No.1, pp.20-28, Jan, 2004.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9.1.20 

  11. A. S. Masten,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56, No.3, pp.227-238, Mar, 2001.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6.3.227 

  12. H. J. Lee, S. S. Jun, "Factor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8, No.3, pp.247-255, Jun, 2016.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6.28.3.247 

  13. J. S. Park, Y. J. Kim, Y. S. Ryu, M. H. Park,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 Asian Oncol Nurs, Vol.18, No.1, pp.30-39, Mar, 2018. DOI: https://doi.org/10.5388/aon.2018.18.1.30 

  14. K. K. Lim,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Social Network on the Successful Aging, Ph.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2015. 

  15. R. G. Tedeschi, L. G. Calhoun, "Time of change? the spiritual challenges of bereavement and los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Vol.53, No.1, pp.105-116, Aug, 2006. DOI: https://doi.org/10.2190/7MBU-UFV9-6TJ6-DP83 

  16. S. S. Oh, H. K. Sh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ife Stress,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Mental Health of 5.18 Victim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tchology, Vol.27, No.3, pp.595-611, Aug, 2008. 

  17. S. Lee, M. G. Gwon, Y.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Trauma Experie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26, No.1, pp.31-37, Mar, 2018.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8.26.1.31 

  18. S. H. Choi, Y. W. Lee, "Influencing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6, No.11, pp.499-509, Nov, 2016.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6.16.11.499 

  19. K. H. Park, An effect influencing driver's PTSD and negative emotion by traffic accident : focused on elderly accident offender,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17. 

  20. S. P. Baker, B. o'Neill, W. Haddon Jr, W. B. Long, "The injury severity score: a method for describing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and evaluating emergency care",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Vol.14, No.3, pp.187-196, Mar, 1974. 

  21. S. M. Bae, The effects of physical injury, perceived threat, coping strategy and state forgiveness on PTSD,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11. 

  22. S. H. Song, K. H. Kim, S. J. Kwon, H. S. Le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2006, No.1, pp.252-253, Jun, 2006. 

  23. S. S. So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7. 

  24. M. Horowitz, N. Wilner, W. Alvarez,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41, No.3, pp.209-218, May, 1979. DOI: https://doi.org/10.1097/00006842-197905000-00004 

  25. D. S. Weiss, C. R. Marma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J. P. Wilson, T. M. Keane (Ed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A Practitioner's Handbook, pp.399-411, New York: Guilford Press, 1997. 

  26. H. J. Eun, T. W. Kwon, S. M. Lee, T. H. Kim, M. R. Choi, S. J. Cho,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44, No.3, pp.303-310, May, 2005. 

  27. K. Reivich,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pp.352, New York: Three River Press. 2003. 

  28. C. H. Kim, Resilience, pp.66-69, Wijudom Hause, 2011, pp.268. 

  29. Y. S. Kim,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95. 

  30. I. S. Kim, Relationships between social-environmental factor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Korean women in poverty, Ph.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1994. 

  31. E. E. Lee, A study on how social support influence self-esteem of retired old man,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008. 

  32. Y. J. Jeon, J. K. Ba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Intentional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34, No.2, pp.215-228, Dec, 2013. 

  33. M. Y. Kwak,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firefighter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2016. 

  34. H. R. Cho, N. W. Chung, "The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2, No.2, pp.433-455, Jun, 2017. 

  35. J. W. Han, B. S. Lee, "The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Quality of Life in Industrial Accident Patients : Effect of Recovery Resilienc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4, pp.167-177, Mar,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4.167 

  36. T. H. Kim, Y. Kim, S. M. Yi, H. J. Eun, D. I. Kim, Y. S. Kwa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hysically Injured Patients after Motor Vehicle Acci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37, No.4, Jul, 1998. 

  37. J. M. Bae,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Policemen and Firefighter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2011. 

  38. B. R. Han, J. K. Kim, "The Relation of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of Police Offic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3, No.3, pp.531-550, Aug, 2014. 

  39. T. K. Kim, E. E. Jung, "Posttraumatic Growth and acculturation according to traumatic experience and intentional rumin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north korea, Vol.37, pp.147-173, Dec,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