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계고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Exploring Activation Pla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689 - 698  

강경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백민정 (한국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을 실천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기관의 직업계고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우수 사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초점 집단면담(FGI; 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편성이 중요하다. 직업계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업계고의 비전과 학생의 역량으로서의 기업가정신을 교육과정에 근간으로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업계고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측면이다. 먼저, 정규교과와 연계된 창업교육 운영이다. 창업 및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정규교과의 과목과 연계하여 다양한 활동을 통해 창업 체험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문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는 창업이론과 창업 실무에 대한 교육으로 창의적재량활동을 통하여 다양할 활동을 할 수 있다. 셋째, 직업계고 창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역량이 중요하다. 넷째, 창업교육은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활동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창업교육을 운영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실천적이고 역동적인 창업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thods to practice and revital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the vocational high school program as well as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t vocational high schools. In addition, FG...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가정신교육의 일환인 미래융합인재양성 프로그램과 창업지도역량강화 연수의 진행이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또한 2018년도부터 직업계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간 30시간 이상의 창업지도역량강화 연수를 진행하고 있다[5]. 이러한 직업계고의 창업교육 강화는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능동적이고 실제적인 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으며, 직업계고 학과의 특성을 반영한 기술 기반의 창업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진로설계 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특히 청소년들에 대한 창업교육은 기업가정신을 키워주고 창업에 대한 마인드를 제고하는 등 직접적인 창업역량보다도 창업과 직업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는 역량을 갖추는 것에 초점[6, 7]이 있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직업계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 연구학교를 운영하는 이유는? 그리고 ‘2017년 진로교육 세부시행계획’을 통해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한 진로교육을 초등부터 대학까지 대대적으로 강화한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시행계획에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을 포함시켰다[5]. 특히 직업계고는 취업률이 둔화되었고, 이전보다 양질의 취업처가 감소되어 4차 산업혁명 대비 고졸 인력에게 요구하는 현장 지향적인 지식‧기술‧태도를 기를 수 있는 교육이 요구됨에 따라, 2018년부터는 직업계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 연구학교를 운영 중에 있다.
청소년에게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의 의미는? 중등학교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교과에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이 포함되어 있고[1], 정부기관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에게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은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실천하며, 혁신을 통하여 가치 있는 실천을 할 수 있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 K. Kang, "Study on Development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for Youth",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Vol.17, No.2, pp. 17-36. 2017. 

  2. K. K. Kang, "A Study on the Plan for Creating a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Vol.42, No.2, pp. 67-88. 2017. 

  3. K. K. Kang, "Development of Curriculum Framework for Entrepreneurship of Youth",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36, No.4, pp.84-108. 2017. 

  4. M, J. Baek, M. S. Park, K. A. Kyun.,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Up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ol. 27, No.3, pp.257-275, 2017. DOI: https://doi.org/10.9722/JGTE.2017.27.3.431 

  5. M. J. Baek, K. K. Kang, B. J. Lee,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2, pp.564-574.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564 

  6. B. J. Lee, Y. B. Kim,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Calling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Vol.27, No.1, pp.223-242. 2017. 

  7. Y. P. H, D. W. Yang.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Start-up of Bizcool (:Entrepreneur) Education Program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Modul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Vol.21, No.3-4, pp. 39-56. 2018. 

  8. H. B. Yang(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Youth Bizcool. Sejong: Ko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9. http://ipceo.kaist.ac.kr/ipceo/sub02_02.do 

  10. http://ceo.postech.ac.kr/ceo/introduction/education.html 

  11. Korean Research Institute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2018). Best Practices Cases for Youth Entrepreneurship Experience Program. 

  12. https://yeep.kr/intro/yeepIntro.do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