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활동이론 관점에서 플립러닝 수업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Flipped Learning Activities by the Activity Theo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780 - 788  

이순덕 (남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  전희정 (광주여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A대학교에서 2018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플립러닝으로 개발하여 운영하였고, 교과목 담당교수와 수강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활동이론은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교육현상을 활동체제의 구성요소와 이들 간 상호작용, 매개되는 도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틀을 제공한다. 따라서 Engestrőm의 활동체제 모형을 근거로 플립러닝 수업활동의 구성요소를 주체, 객체, 학습도구, 수업 규칙, 학습공동체, 역할 분담으로 분석하였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모순과 역동성을 분석하였다. 학습자 중심 수업방식인 플립러닝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감을 보였고, 학습내용 이해와 학습목표 성취에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보다 발전적인 플립러닝 활동체제를 위한 시사점으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진정한 주체 인식과 역할 수행,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의 유기적 연계 강화, 수업준비 및 학습준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는 시스템 정비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flipped classroom learning activities, which have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in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historical activity theory. A survey and some participation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on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수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적인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분석 단위와 틀로 활동 단위와 활동체제가 유용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활동을 둘러싼 활동체제와 모순을 분석하는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분석하고, 보다 발전적인 플립러닝 수업활동 체제를 위한 시사점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핵심 역량 배양에 기여하는 혁신적 수업방법으로 주목받는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활동 이론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활동이론을 통해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분석하려는 이유는 첫째, 플립러닝 수업활동과 그 활동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사이의 역동성을 자세히 살필 수 있는 효과적인 틀이 되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둘째, 한 학기 동안 진행된 플립러닝 수업에는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함께 시간적인 요소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셋째, 수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적인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분석 단위와 틀로 활동 단위와 활동체제가 유용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활동을 둘러싼 활동체제와 모순을 분석하는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분석하고, 보다 발전적인 플립러닝 수업활동 체제를 위한 시사점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이하 활동이론)은 1920년대 시작되어 현재 제3세대 활동이론까지 발전되었다.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활동이론 관점에서 개인의 활동은 집단적 활동의 일부로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분석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9]. 활동(activity) 개념을 활동체제(activity system)로 확장한 Engestrom[10,11]은 하나의 활동은 인접한 활동들과 서로 연계되어 상호작용한다고 하였다.
  •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을 발굴하고 실천하는 문제는 플립러닝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교수자의 주요한 관심 대상이 된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오프라인 수업이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실 수업과 구분되는 핵심적인 차이는 교수자가 강의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짤막한 미니강의를 진행할 수는 있지만, 수업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고 안내하는 활동은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진행해야 한다.
  • 때문에 기업이나 학교 등의 조직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발전적인 컨설팅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활동이론은 활동 개념을 통해 학습이 일어나는 사회문화적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인간학습의 과정을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고 가정한다. 활동이론은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교육현상을 활동 체제의 구성요소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 매개되는 도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한 분석 틀로 사용할 수 있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러닝은 무엇인가? 플립러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시키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한 형태로, 전통적인 교수-학습 순서를 거꾸로 바꾸어서 진행하는 수업모형이다. 즉, 교수자가 사전에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자들이 수업 전에 학습하고 수업 시간에는 토론이나 팀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한다[2-5].
활동 이론 관점으로 플립러닝을 분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핵심 역량 배양에 기여하는 혁신적 수업방법으로 주목받는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활동 이론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활동이론을 통해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분석하려는 이유는 첫째, 플립러닝 수업활동과 그 활동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사이의 역동성을 자세히 살필 수 있는 효과적인 틀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한 학기 동안 진행된 플립러닝 수업에는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함께 시간적인 요소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셋째, 수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적인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분석 단위와 틀로 활동 단위와 활동체제가 유용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활동을 둘러싼 활동체제와 모순을 분석하는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플립러닝 수업활동을 분석하고, 보다 발전적인 플립러닝 수업활동 체제를 위한 시사점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활동이론은 어떠한 분석 틀로 사용 가능한가? 활동이론은 활동 개념을 통해 학습이 일어나는 사회문화적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인간학습의 과정을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고 가정한다. 활동이론은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교육현상을 활동 체제의 구성요소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 매개되는 도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한 분석 틀로 사용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H. S. Yu, J. W. Ko, H. N. Lim, "Examining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ing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high-order thinking skil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 (4), pp.319-337, 2011. 

  2. J. Bergmann, A. Sams,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Teaching theology & religion, 17 (1), pp.82-83, 2014. DOI : http://dx.doi.org/10.1111/teth.12165 

  3. J. Bergmann, A. Sams, "Flipped learning gateway to student engagement", Learning and leading with technology: the IST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practice and policy, 41(7), pp.18, 2014. 

  4. J. L. Bishop, M. A. Verleger, "The flipped classroom: A survey of the research", In ASEE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Atlanta, GA, 2013. 

  5. E. Y. Kim, Y. J. Lee, "A study on international cases for application of flipped classroom in universiti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1), pp.115-137, 2015. 

  6. J. E. Lee, J. I. Choi, K. W. Chang, "Exploring instructional analysis strategies for consulting of flipped learning based on analysis of [Educational Methods and Technology]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1), pp.137-171, 2017. DOI: http://dx.doi.org/10.17232/KSET.33.1.137 

  7. E. C. Lee, "The effect of group composition according to rapport levels on interaction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3), pp.57-82, 2013. 

  8. Y. J. Park,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principles of and the strategis for activity-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1), pp.1-22, 2012. 

  9. K. Kutti, Activity theory as a potential framework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research. In B. A. Nardi(Ed.), Context and consciousness: Activity theory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Cambridge, MA: MIT Press, 1995. 

  10. Y. Engestrom, Activity theory and learning at work. In Malloch, M., Cairns, L., Evans, K., & O'Connor, B. N. (Eds.). The SAGE handbook of workplace learning.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2010. 

  11. Y. Engestrom, Sannino, "Studies of expansive learning: Foundations, findings and future challenge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5(1), pp.1-24, 2010. 

  12. Y. Engestrom, Learning by expanding: An activity 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research. Helsinki: Orienta-Konsultit, 1987 

  13. N. Hamdan, P. McKnight, K. McKnight, & K. M. Arfstrom,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Flipped Learning Network, 2013. 

  14. Y. K. Usluel, "Integrating ICT into classrooms: A note from Turkish teachers",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annual 2007, pp.1569-1575, 2007. 

  15. W-M. Roth, Y. J. Lee, "Vygotsky's neglected legacy: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7(2), pp.186-232, 2007. 

  16. Van Ejick, M. Roth van Ejick, & W-M. Roth, Towards epistemologically sound approach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Zandvliet, D. B.(Ed.), Diversity in environmental education (pp. 9-24), Sense Publishers, 2009. 

  17. H. J. Lee, "An analysis of the management activity of teachers for an alternative classroom in school by a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3(4), pp.151-179, 2015. DOI: http://dx.doi.org/10.18230/tjye.2015.23.4.151 

  18. N. S. Kim, H. G. Lee, "Using CHAT to understand the classroom culture innovations of the first year innovative school project in seoul",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4), pp.357-382, 2012. 

  19. S. Y. Hwang, M. S. Kim, "Analyzing practicum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1), pp.141-170, 2014. DOI: http://dx.doi.org/10.24211/tjkte.2014.31.1.141 

  20. Y. H. Cho, M. H. Hwang, Y. G. Kim, M. S. Kim, & S. Y. Hong, "Effectiveness and weakness of school bully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 a 3D virtual world: application of activity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6(4), pp.71-97, 2015. DOI: http://dx.doi.org/10.15854/jes.2015.12.46.4.71 

  21. Y. J. Park, I. H. Jo, "Need analysis for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in LMS: applying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 and design too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2), pp.221-258, 2014. DOI: http://dx.doi.org/10.17232/KSET.30.4.779 

  22. M. R. Kim, H. S. Kim, " A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nalysis of village-based education cases", Educational Research, 40(1), pp.73-92, 2018. 

  23. H. J. Yoon, H. S. Kim, "A case study on a foundation of building village based education of community by the activity theory", Educational Research, 41(1), pp.105-123, 2019. 

  24. S. Bates, R. Galloway, "The inverted classroom in a large enrollment introductory physics course a case study", Proceedings of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STEM conference, 2012. 

  25. M. J. Lage, G. J. Platt, & M. Treglia, "Inverting the classroom: A gateway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31(1), pp.30-43, 2000. 

  26. N. Hamdan, P. Mcknight, K. Mcknight, & K. M. Arfstrom, The flipped learning model: A white pap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itled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2013. 

  27. R. S. Davies, D. L. Dean, & N. Ball,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61(4), pp.563-580, 2013. 

  28. M. K. Lee, "Case study on effects and signification of flipped classroom",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1(1), pp.87-116, 2014. 

  29. J. H. Bhang, J. H. Lee, "Exploring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lipped classroom and its implic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4), pp.299-319, 2014. DOI: http://dx.doi.org/10.24211/tjkte.2014.31.4.299 

  30. C. J. Roseth, D. W. Johnson, & R. T. Johnson, "Promoting early adolescents'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s: The effects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134(2), pp.223-246, 2008. 

  31. J. Y. Lee, Y. H. Kim, Y. B. Kim, "A study on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2), pp.163-191, 2014. DOI: http://dx.doi.org/10.17232/KSET.30.4.779 

  32. E. A. Van Vliet, J. C. Winnips, N. Brouwer, "Flipped-class pedagogy enhances student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but effect does not persist", Life Sciences Education, 14(3), pp.1-10, 2015. 

  33. J. Enfield,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of instruction on undergraduate multimedia students at CSUN", TechTrends: for leaders in education & training, 57(6), pp.14-27, 2013. 

  34. S. Findlay-Thompson, P. Mombourquette, "Evaluation of flipped classroom in an undergraduate business course", Business Education & Accreditation, 6(1), pp.63-71, 2014. 

  35. M. Forsey, M. Low, D. Glance, "Flipping the sociology classroom: Towards a practice of online pedagogy", Journal of Sociology, 49(4), pp.471-485, 2013. 

  36. J. S. Oh,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owards flipped classroom",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3(4), pp.1-23, 2015. 

  37. D. Y. Lee, J. H. Park, "Exploring new directions of flipped learning with a focus on teachers' percep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pp.1-9, 2016. 

  38. M. Vaughan, "Flipping the learn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in an introductory teaching course", Education Research and Perspectives, 41, pp.25-41, 2014. 

  39. B. Ryan, "Flipping over: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assessment", Journal of Perspectives in Applied Academic Practice, 1(2), pp.30-39, 2013. 

  40. J. F. Strayer, "How learning in an inverted classroom influences cooperation, innovation and task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15, pp.171-193, 2012. 

  41. J. S. Kan, M. S. Shin, M. S. Kwon, "The effects of project-based flipped learning mode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petency",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5), pp.1478-1491, 2016. 

  42. N. I. Kim, B. A. Chun, J. I. Choi,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ge: focused on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3), pp.467-492, 2015. DOI: http://dx.doi.org/10.17232/KSET.30.4.7 

  43. Y. Y. Kim, H. M. Chung, "Design and effects of a flipped learning applying the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2), pp.295-326, 2017. DOI: http://dx.doi.org/10.17232/KSET.33.2.295 

  44. J. H. Leem,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1), pp.165-199, 2016. DOI: http://dx.doi.org/10.17232/KSET.32.1.165 

  45. J. Y. Jung, "The development of CHANG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6), pp.1834-1847, 2016. 

  46. C. B. Della Ratta, "Flipping the classroom with team-bas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or, 40(2), pp.71-74, 2015. 

  47. Eggen & Mauchak, P. Eggen, D. Kauchak,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Columbus, OH: Merrill,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