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화를 동반한 만성요통환자에서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이 통증과 요통기능장애지수, 심리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on Pain,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Psychological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5 no.2, 2019년, pp.31 - 38  

유성훈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성환 (남부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재명 (서울의료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on pain, 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psychological level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ith somatization. Methods: A total of 30 subjects were treated with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점진적인 근육이완 훈련이 신체화를 동반한 요통환자에서 통증, 오스웨스트리 요통지수, 심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이 적용하여 신체화를 동반한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기능장애, 심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신체화를 동반한 만성요통환자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은 통증과 가능장애 및 신체화, 우울에서 긍정적인 개선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심리수준에 대한 신체화 척도, 우울 척도, 불안 척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자료에서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는 무엇이라 정의되는가? 미국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Ⅳ)에 의하면,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는 ‘심리적 원인에 의해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며, 원인이 불분명한 신체 증상을 호소하거나 그에 대한 과도한 염려를 나타내는 부적응 문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증상장애, 질병불안 장애, 전환장애, 허위성장애 등의 하위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중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는 진단기준이 더욱 엄격한 DSM-Ⅳ의 ‘신체화 장애’라는 용어로 변경되었다.
Lipowski는 신체화를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Lipowski(1988)는 신체화를 병리적인 발견으로 설명되지 않는 신체의 불편감과 증상들을 경험하고 호소하는 경향, 그것을 신체의 질병으로 귀인하고 의학적인 도움을 요구하는 경향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처럼 신체화는 기질적 병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정서적 어려움을 신체증상을 통해 표현하는 경향성이라 할 수 있다 (Ham, 2005).
신체화를 동반한 만성 요통을 대상으로 점진적 이완훈련의 효과가 없었던 항목은 무엇인가? 3.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과 보존적 물리치료 대조군의 심리수준에서는 신체화 척도와 우울척도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불안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ms MA. Biomechanics of back pain. Acupunct Med. 2004;22(4):178-188. https://doi.org/10.1136/aim.22.4.178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T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463-469. 

  3. Bijur PE, Silver W, Gallagher EJ. Reliability of the visual analog scale for measurement of acute pain. Acad Emerg Med. 2001;8(12):1153-1157. https://doi.org/10.1111/j.1553-2712.2001.tb01132.x 

  4. Burton AK, Balague F, Cardon G, et al. Chapter 2. European guidelines for prevention in low back pain: November 2004. Eur Spine J. 2006;15(2):136-168. 

  5. Carol L, Baird DNS, Aparn BC et al. A Pilot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guided Imagery with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o reduce hronic pain and mobility difficulties of Osteoarthritis. The American Society for Pain Management Nursing. 2004;5(3):97-104. https://doi.org/10.1016/j.pmn.2004.01.003 

  6. Choi Y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somatization symptoms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ogang University. Master Thesis. 2011. 

  7. Cresswell AG, Oddsson L, Thorstensson A. The influence of sudden perturbations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intra-abdominal pressure while standing. Exp Brain Res. 1994;98(2):336-341. 

  8. Gwon SM, Contemporary Abnormal Psychology 2nd. Hakjisa Publisher. 2013. 

  9. Ham JY. The Relationship of Stress,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of Adolescents: Focused on the Highschool Student. Seoul Women's University. Master Thesis. 2005. 

  10. Jacobson SE. You must relax.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962. 

  11. Kim DY, Lee SH, Lee HY,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005;30(5):123-127. 

  12. Kim KY, Kim JH, Won HT. Symptom Check List- 90-Revision(SCL-90-R). Jung Ang Jeok Seong Publisher. 1984. 

  13. Kim IH.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nd relaxation therapy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for job stress of white color's job. Kyunghee University. Master Thesis. 1999. 

  14. Koh KB, Lee SI, Lee JM. Comparison of stress perception and depression between gastric cancer and gastritis patients. Korean Psychosomatic Society. 1994;2(1):88-97. 

  15. Lipowski Z. Somatization: The concept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88;145(11):1358-1368. 

  16. Lee HJ, Kim SY.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bdominal draw-in and expansion maneuvers on trunk stabilizat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umbar spine instability. Phys Ther Korea. 2015;22(1):37-48. https://doi.org/10.12674/ptk.2015.22.1.037 

  17. Morrow LJ, Smith S. The management of lower back pain. J R Nav Med Serv. 2014;100(3):282-287. 

  18. Oh HJ. The Impact of Job Stress and Alexithymia on Somatization. Daegu University. Master Thesis. 2008. 

  19. Park JS. (A)effect of relaxation technique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Yonse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89. 

  20. Pawlow LA, Jones GE. The impact of abbreviate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salivary cortisol and salivary immunoglobulin A (sIgA).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5;30(4):375-387. https://doi:10.1007/s10484-0058423-2. 

  21. Shaikh M, Ostor AJ. Evaluating the patient with low back pain. Practitioner. 2015;259(1788):21-24. 

  22. Shin HK, Psychotherapy for somatization. Journal of Student Guidance Research. 2000;18:15-36. 

  23. Shin HK, Won HT. A study on the cognitlve characteristics of somatlzation(2) : The perception , attribution and memory biases of bodily sensations in somatization pati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8;17(2):33-39. 

  24. Stanley IM, Peters S, Salmon P. A primary care perspective on prevailing assumptions about persistent medically unexplained physical symptoms. Int J Phychiatry Med. 2002;32(2):125-140. https://doi.org/10.2190/AVM3-8GU8-JW70-5RX5 

  25. Wasiak R, Kim J, Pransky G. Work disability and osts caused by recurrence of low back pain: Longer and more costly than in first episodes. Spine. 2006;31(2):219-225. https://doi:10.1097/01.brs.0000194774.85971.df 

  26. Yoo SA.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pain, fatigue, stress in chronic fibromyalgia syndrome patients. Korea University. Master Thesis. 2018. 

  27. Yu DSF, Lee DTF, Woo J, et al.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older people with heart failur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nd relaxation therapy. Gerontology. 2007;53:74-81. https://doi.org/10.1159/000096427 

  28. Yu SH, Park JM, Hong HP. The effects the application of myofascial release of depression, anxiety, sleep disturbance, and headache i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with somatization: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2017;23(2):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