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에너지-식량 넥서스를 활용한 통합적 농업자원관리정책 평가 - 지하수 함양 사업을 중심으로 -
The Evaluation of Integrated Agricultural Resource Management Policy through Water-Energy-Food Nexus - An Application to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Project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5 no.4, 2019년, pp.35 - 45  

성재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현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조원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agriculture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its production structure to respond fluctuations on external conditions, and these changes have increased the dependence between agricultural resources and negative environmental externalities from agricultural production. As a tool for managing agri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통합적 농업자원관리정책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에너지-식량 넥서스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사례지역을 선정하여 농업부문모형(Agricultural SectorModel)을 구축하고, 지하수 함양 사업을 바탕으로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였다.
  • 구체적으로 단목지구 농가들에 대한 농가수준 자료(farm-level data)와 수막시설 설치로 인한 에너지 사용량 변화 등의 자료 부재는 향후 추가적인 자료 구축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된다.본 연구에서의 정책 시나리오는 진주단목지구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물, 에너지 관련 정책들만을 바탕으로하였다. 하지만 향후 농업부문의 통합적 자원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정책 시나리오의 구성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의 농업부문 역시 생산구조 및 여건변화로 통합적 농업자원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 정책의 설계 및 평가에서 자원 간의 상호 연관성을 고려한 통합적 접근을 위해 진주 단목지구를 대상으로 한 세 가지 정책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비순환수막재배 시설 설치비용을 100% 무이자로 융자해 줄 경우, 비순환수막재배시설 설치한 농가는 1년에 10a 당 29,750원의 자본이자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지하수 함양사업으로 단목지구의 지하수 가용 용수량이 30%증가하였다고 가정하였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농업용 에너지 가격 보조를 줄여 농가 에너지 비용이 50% 증가하였다고 가정하였다.
  • 하지만 수막재배를 이용하였을 경우의 에너지비용은 농산물소득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농어촌공사의 「진주 단목지구 지하수함양사업 기본 조사 및 세부설계」 자료를 바탕으로 수막재배를 실시할 경우 에너지비용이 1ha당 1/20로 줄어든다고 가정하였다.3)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주단목지구 용수 및 토지이용 실태조사의 지하수 이용량을 단목지구의 최대 가용 용수량이라 가정하였다.
  • 두 차례의 현장 방문을 통해 분석대상 품목을 선정하였는데 파프리카, 피망, 미니 파프리카는 일반적으로 다른 작물로의 품목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수막시설 역시 비순환식수막재배 시설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의 수막재배시설을 비순환식수막재배 시설로 가정하였다.
  • 또한, 에너지 비용을 제외한 경영비, 단수, 생산물의품질은 수막재배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4) 수막재배 설치비는 신진에스텍의 비순환수막재배시설 경제성 분석결과를 이용하였으며, 비순환수막재배시설의 내구연수는 농촌진흥청의 2016년 농업과학기술 경제성 분석 기준자료집을 이용하였다.
  • 두 번째 시나리오는 지하수 함양사업으로 단목지구의 지하수 가용 용수량이 30%증가하였다고 가정하였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농업용 에너지 가격 보조를 줄여 농가 에너지 비용이 50% 증가하였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는 분석의 편의를 위해 Q의 대각원소들을 Qkk=λk+ck 을 통해 추정하고 Q의 비대각 요소들은 0으로 가정하였다(Paris,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안정적인 수자원 공급과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한 세 가지 정책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6): 첫 번째 시나리오는 농업기계 구입지원 사업을 확대하여 비순환수막재배 시설 설치 비용의 100%를 무이자로 융자한다고 가정하였다. 비순환수막재배 시설 설치비용을 100% 무이자로 융자해 줄 경우, 비순환수막재배시설 설치한 농가는 1년에 10a 당 29,750원의 자본이자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 수막시설의 내구연수는 6년이며, 설치비용을 연간비용으로 변환하여 모형에 반영하였으며, 비순환수막재배시설을 설치할 경우, 영농광열은 오직 전기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모형 구축은 품목 생산에 필요한 비용은 품목별 경영비에서 임차료를 제외한 금액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블린 접근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자원의 희소성과 수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적인 자원관리 정책이 시행되어 왔으나 많은 한계점을 보였다. 예를 들어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위해 1992년 제안된 더블린 접근법(Dublin approach) 혹은 통합적 수자원 관리(Integrated Water ResourceManagement)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로 인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이 어려웠으며, 기후변화와 개발도상국의 급격한 경제개발에 대응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드러냈다(Muller, 2015).
농업기계 구입지원 사업을 확대하여 비순환수막재배 시설 설치 비용의 100%를 무이자로 융자한다고 가정한 시나리오의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안정적인 수자원 공급과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한 세 가지 정책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6): 첫 번째 시나리오는 농업기계 구입지원 사업을 확대하여 비순환수막재배 시설 설치 비용의 100%를 무이자로 융자한다고 가정하였다. 비순환수막재배 시설 설치비용을 100% 무이자로 융자해 줄 경우, 비순환수막재배시설 설치한 농가는 1년에 10a 당 29,750원의 자본이자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지하수 함양사업으로 단목지구의 지하수 가용용수량이 30%증가하였다고 가정하였다.
농업부문모형은 어떠한 용도에 활용되며,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농업부문모형은 특정 지역을 한 농가로 가정하고 지역 농업시스템의 최적화된 영농형태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며, 농업생산조건, 부존자원 현황, 품목 특성 등을모형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박경원과 권오상2011; 박경원 등 2015). 단, 농업부문 밖에서 형성되는변수, 예를 들어 가격 등은 외생적으로 가정하며, 기준년도의 실제 관측치와 예측치가 불일치할 수 있는 단점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louche, J., Middleton, C. and Gyawal, D., 2014, Nexus Nirvana or Nexus Nullity? A dynamic, STEPS Working Paper, Volume 63. 

  2. Choi, J. Y., 2017,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through water-energy-food nexus.", World Agriculture 206:1-18. 

  3. FAO, 2012, WORLD AGRICULTURE TOWARDS 2030/2050, Rome: FAO of the UN. 

  4. FAO, 2014a, The Water-Energy-Food Nexus: A new approach in support of food securit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Rome: FAO of the UN. 

  5. FAO, 2014b, Walking the Nexus Talk: Assessing the Water-Energy-Food Nexus in the context of the sustainable Energy for all Initiative, Rome: FAO of the UN. 

  6.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7, 2017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7. Hoff, H.,, 2011, Understanding the Nexus, Stockholm, Stockholm Environmental Insititute. 

  8. Hong. J. H., 2015, "Water-Energy-Food Nexus",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Water for Future, 48(11):50-55. 

  9. Howitt, R. E., 1995, "Positive Mathematical Programming.",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7: 329-342. 

  10. IEA, 2011, Technology Roadmap Biofuels for Transport, Pari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11. IPCC, 2014a, "Chapter 3. Freshwater Resources", in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Part A: Global and Sectoral Aspect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ield, C.B., V.R. Barros, D.J. Dokken, K.J. Mach, M.D. Mastrandrea, T.E. Bilir, M. Chatterjee, K.L. Ebi, Y.O. Estrada, R.C. Genova, B. Girma, E.S. Kissel, A.N. Levy, S. MacCracken, P.R. Mastrandrea, and L.L. White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229-269. 

  12. IPCC, 2014b, "Chapter 7. Food Security and Food Production System", in climate change 2014: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485-553. 

  13. IPCC, 2014c, "Chapter 10. Key Economic Sectors and Services", in climate change 2014: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659-706. 

  14. IRENA, 2015, Renewable Energy in the Water, Energy & Food Nexus,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15. Jang, S, H., 2015, "The Overview of Water- Energy-Food Nexus Technology to Respond to Resource Crisis and Lead the Water Industry",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Water for Future, 48(11):24-31. 

  16. Kim H., Yoon S., Cho E., & Kim J., 2015,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for the Water-Food-Energy Nexus (I) : Water-Energy Nexu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7. Kim, S. J., Jung, C. G., Lee, J. W., 2017, "Water-Energy-Food Nexus: Opportunity to create the water industry as a social infrastructure remodeling and new national growth engine",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Water for Future, 50(8):54-64. 

  18. Kling, C., et al., 2016, Research needs and challenges in the FEW system: coupling economic models with agronomic, hydrologic, and bioenergy models for sustainable food, energy, and water systems, Center for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Iowa State University. 

  19.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7, Basic Investigation and Detailed Design for Groundwater Reclamation Project. 

  20. Laspidou, C., et al., 2017, D1.1: Scientific inventory of the Nexus, SIM4NEXUS. 

  21. Lee, E, R., Choi., B. M., Chae, H. S., Jung, Y. H., Park, J. E., 2015, "Identify strategies and systems for a sustainable water-energy-food nexus",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Water for Future, 48(11):42-49. 

  22. Lee, S. H., Choi, J. Y., 2015, "Trends in development and research of water-energy-food nexus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od security.",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Water for Future, 48(11):32-41. 

  23. Lim, K. J., 2018, "Nexus Approach from Food and Agri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6(6):26-31. 

  24. Merel, P., and R.E. Howitt, 2014, "Theory and Application of Positive Mathematical Programming in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Annual Review of Resource Economics, 6(1): 451-470. 

  25. Muller, M., 2015, "The 'nexus' as a step back towards a more coherent water resource management paradigm.", Water Alternatives 8(1): 675-694. 

  26. OECD, 2012, "Chpater 5. Water." in ENVIRONMENTALOUTLOOK TO 2050: The consequences of Inaction KeyFindings on Water, OECD publishing. 

  27. OECD, 2015, Economic Impacts of the Land- Water-Energy Nexus: A joint OECD/PBL report on exploring the feedbacks of bottlenecks in the nexus on the global economy, EVN/EPOC(2015)25, Environment Directorate/Environment Policy Committee, OECD. 

  28. Paris, Q., 2011, Economic foundations of symmetric programm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Park, K. W., Kwon, O. S, 2011, "Analyz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al Sector Using a Recursive Positive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conomics, 52(2), 51-76. 

  30. Park, K. W., Kwon, O. S., Kim, K. S., 2015, "The Region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e: A Positive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 Korean Journal of Economic Studies, 63(1), 61-91. 

  31. Piesse, J., Thirtle, C., 2009, "Three bubbles and a panic: An explanatory review of recent food commodity price events.", Food policy, (34): 119-129. 

  3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ion Cost Survey. 

  3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2016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Economic Analysis Criteria. 

  34. Schlenker, W., and Lobell, D.B. 2010. "Robust negativ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frican agriculture",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5: 1-8. 

  35. Sinjin Enertech, http://www.참좋은냉장고.kr. 

  36. WEC, 2015, World Energy Scenarios: Composing energy futures to 2050, London, World Energy Council. 

  37. World Bank, 2017, Energy use,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EG.USE.PCAP.KG.OE?end2013&start1971&viewchart: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