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inger Tapping 기기를 활용한 콘텐츠의 sEMG 신호 분석
Analysis on sEMG Signals of Contents Using Finger Tapping Device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9 no.6, 2019년, pp.153 - 160  

한상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변상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재훈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신성욱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정성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손가락의 운동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재활 기기와 콘텐츠를 구현함으로서 누구나 편리하고 재미있게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그래서 손가락의 조절 능력, 정밀도, 민첩성을 측정할 수 있는 Finger Tapping Device를 제작하고, 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로 트래킹, 시각 반응, 손가락 조절을 구현하였다. 이에 대한 유용성 검증은 손가락 움직임에 가장 많이 관여하는 심지굴근에 sEMG를 부착한 후 3종류의 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sEMG의 신호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모든 콘텐츠 수행하는 동안 심지굴근의 근육 활성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시각 반응에 따른 각 손가락 별 반응 시간을 측정하여 민첩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upport anyone who can rehabilitate conveniently and happily by implementing rehabilitation device and game contents that can improve the motor ability of fingers. So we developed a Finger Tapping Device that can measure finger-regulation ability, accuracy, and agili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에서의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제작된 손가락 운동을 위한 콘텐츠로서, 단계별로 정해진 열쇠 모양이 아닌 임의의 열쇠 모양을 맞추는 과제이다. 그래서 수행시간과 근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보다 손가락 운동 훈련을 위한 콘텐츠로 제안한다. 이 콘텐츠를 수행할 때 근 활성도도 마찬가지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콘텐츠 수행이 손가락 운동에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 가장 기본적인 생활의 모든 곳에 손의 활동이 들어가고 이러한 손의 정밀한 움직임이 가능한 것은 삶의 질 높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손가락의 조절능력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손가락 기능 재활 훈련을 위한 FTD와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여 sEMG 신호 분석을 통해 재활 훈련 기기로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손의 악력보다 손가락의 조절능력과 움직임에 대한 정밀도와 민첩성 등을 측정하고 재활 훈련하기 위한 Finger Tapping Device를 제작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손가락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용 게임 콘텐츠 세 가지(트래킹, 시각 반응, 손가락 조절)를 구현하고, 손가락 재활 운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표면 근전도(sEMG: surface electromyography) 신호 변화를 분석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활 치료 기구의 문제를 제외한 재활 치료과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재활 치료과정은 대부분 병원에서 환자가 방문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부담이 될 뿐 만 아니라 재활치료사와 환자가 일대일로 진행하므로 환 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부족하여 재활 훈련에 대한 최대 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7]. 또한, 재활 치료의 효용성이 높 은 기구일수록 고가의 장비이고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 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악력계를 사용한 재활도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런 연구들은 힘이 매우 약한 중증 손상 환자, 어린이, 노인들 은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악력계를 사용하여 게임 콘텐 츠를 진행할 시 손가락 움직임의 한계를 겪을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재활도구들은 각 손가락에 대한 움직임이 아닌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움켜쥐었을 때의 악력을 측정하거나 훈련을 진행하기 때문에 손가락의 운동 능력 중 각 손가락의 정밀도와 조절능력에 제한이 있다.
손의 운동 능력을 평가하고 정상 상태를 유지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 구의 결과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손의 운동 능력을 평가하고 정상 상태를 유지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 구가 필요하다[4]. 이에 대한 연구 결과들 중에 인간의 운 동계(Human motor system)는 상당한 가소성을 유지 하고 있기 때문에 집중적인 재활 운동을 통해 장애를 감 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5]. 그리고 노화 또는 질환으로 발병되는 수부의 운동능력 감소는 근력훈련으로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에 서 의식적인 손가락 움직임을 강화시키는 훈련 시 손가 락과 손의 기능이 증진되었다고 하였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eon-Soo Shin, et al., "Development of a Data-Glove System for Finger Rehabilitation of Hemiplegic Patients", Korean society of Imaging Informatics in Medicine, Vol. 17, No. 1, pp. 67-74, 2011. 

  2. Nizan Friedman, et al., "Retraining and assessing hand movement after stroke using the MusicGlove: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hand therapy and isometric grip training",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 11, No. 76, April 2014. DOI: https://doi.org/10.1186/1743-0003-11-76 

  3. V. K. Ranganathan, V. Siemionow, V. Sahgal, J. Z. Liu and G. H. Yue, "Skilled finger movement exercise improves hand functio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 56, Issue. 8, pp. 518-522, Aug, 2001. DOI: https://doi.org/10.1093/gerona/56.8.M518 

  4. R. J. Nudo, B. M. Wise, F. SiFuentes and G. W. Milliken, "Neural substrates for the effects of rehabilitative training on motor recovery after ischemic infarct", Science, Vol. 272, Issue. 5269, pp. 1791-1794, Jun, 1996. DOI: 10.1126/science.272.5269.1791 

  5. L. Sawaki, "Use-dependent plasticity of the human motor cortex in health and disease", IEEE Eng Med Biol Mag, Vol. 24, Issue. 1, pp. 36-39, Jan, 2005. DOI: 10.1109/MEMB.2005.1384098 

  6. H. Hummelsheim, S. Amberg and K. H. Mauritz, "The influence of EMG-initiated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on motor recovery of the centrally paretic hand",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Vol. 3, Issue. 3, pp. 245-254, May, 1996. DOI: https://doi.org/10.1111/j.1468-1331.1996.tb00430.x 

  7. A. Turton and C. Fraser, "The use of home therapy programmes for improving recovery of the upper limb following stroke",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3, Issue. 11, pp. 457-462, Nov, 1990. DOI: https://doi.org/10.1177/030802269005301104 

  8. Seung-jin Kang, et al., "Potentials of Smart dynamometer use for clinical and self-management of rehabilita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feasibility study", Biomedical engineering letters, Vol. 9, Issue 2, pp. 211-219, May, 2019. DOI: https://doi.org/10.1007/s13534-019-00101-3 

  9. M. M. Hoehn and M. D. Yahr, "Parkinsonism: onset, progression and mortality", Neurology, Vol. 17, No. 5, pp. 427-442, 1967. DOI: 10.1212/wnl.17.5.427 

  10. Sung-wook Shin, Jongwon Choi, Ki-young Kwon and Sung-taek Chung, "Development of Device and Serious Game Contents for the Multi-finger Rehabilitation",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 9, No. 45, pp. 1-6, Dec, 2016. DOI: 10.17485/ijst/2016/v9i45/106767 

  11. Sung-Wook Shin, Hyeok-Min Lee, Ho-Sang Moon and Sung-Taek Chung, "Multi-player Contents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based on V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93, pp. 115-120, 2019. 

  12. http://www.sizekorea.kr 

  13. Young-Seok Le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myographic Sensor System for Wearable Computing",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11, Issue. 1, pp. 114-120, 2018. DOI: https://doi.org/10.17661/jkiiect.2018.11.1.114 

  14. P. W. Hodges and B. H. Bui, "A comparison of computer-bas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onset of muscle contraction using electromyography",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Electromyography and Motor Control, Vol. 101, Issue 6, pp. 511-519, Dec, 1996. DOI: https://doi.org/10.1016/S0921-884X(96)95190-5 

  15. P. F. Vint, S. P. McLean and G. M. Harron, "Eletromechanical delay in isometric actions initiated from nonresting level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3, No. 6, pp. 978-983, Jun, 2001. DOI: 10.1097/00005768-200106000-00018 

  16. S. Schneider, P. W. Schonle, E. Altenmuller and T. F. Munte, "Using musical instruments to improve motor skill recovery following a stroke", Journal of Neurology, Vol. 254, Issue 10, pp. 1339-1346, Oct, 2007. DOI: 10.1007/s00415-006-05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