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극 닫힌계 작동에서 수소 배출 방법에 의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성능 영향
Effect of Hydrogen Purge Mode o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Performance under Dead-ended Anode Opera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6, 2019년, pp.687 - 693  

김준섭 (울산대학교 화학공학부) ,  김준범 (울산대학교 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소전기차와 발전을 시작으로 수소연료전지 시장이 성장하면서 연료전지와 수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조기 상용화와 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연료전지의 내구성과 연료 이용효율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성능과 연료 이용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양극 닫힌계의 운전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하 전류에 대한 배출 조건과 수소 공급 압력이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고, 전해질막 두께에 대한 물의 역확산 영향을 분석하였다. 양극 닫힌계에서 수소극에 쌓인 물은 연료전지 전압이 3% 감소한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배출하였다. 수소 공급 압력은 0.1~0.5 bar, 배출 시간은 0.1~1 s까지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NR 211 (25.4 um) 전해질막의 경우 0.1 bar의 수소 공급 압력과 0.1 s 배출 시간 조건에서 수소 이용효율 98.9%의 가장 높은 연료 이용효율을 보였지만 잦은 flooding으로 인하여 장시간 운전 시 연료전지의 성능이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NR 212 (50.8 um)의 전해질막에서 생성된 물과 질소의 역확산 속도를 늦추어 배출 간격을 늘리고 연료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hydrogen fuel cell market is expanded starting from hydrogen electric vehicle and power generation field, the demand for fuel cells and hydrogen increases recently. Therefore, research works on fuel cell durability and fuel efficiency are required in order to activate the fuel cell market and...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극 닫힌계에서 수소 배출 조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고, 수소 연료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료 전지 전압이 3% 감소하였을 때 배출을 실시하였고, 배출 시간과 수소공급 압력에 대한 배출 간격과 배출 순간의 연료 손실량을 측정하여 연료 이용효율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수소 연료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닫힌계에서 수소 공급 압력 조건에 대한 flooding 특성과 배출 조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전해질막 두께와 부하 전류를 실험 변수로 선정하여 배출 시간에 대한 연료전지의 성능과 수소 연료의 이용효율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의 이점은 무엇입니까? 특히 수소연료전지는 간헐성이 적고, 효율이 높아 안정적인 에너지원으로 이용이 가능하여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낮은 작동 온도로 시동 정지가 용이하며 공해물질 배출이 없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수송용과 건설 기계, 무인기 및 백업 전원 등의 특수 목적용으로 각광 받고 있다[1-3]. 연료전지의 조기 상용화와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수소 연료의 경제성 및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flooding 현상이란? 5의 양론 비로 수소를 공급하지만, 닫힌계에서는 수소 극의 후단이 막혀있는 구조이며 수소를 압력으로 공급하므로 이상적인 수소 연료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6-8]. 양극 닫힌계를 사용하는 연료전지에서는 공기극에서 수소극으로 역확산되는 물이 축적되어 연료전지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감소하는 flooding 현상이 발생한다 [9,10]. 전류 부하 시에 수소극에 물이 축적되면서 출구 영역에서는 수소가 전극으로 도달하지 못하여 연료전지의 전류 분포가 불균일해진다[11-13].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수소 공급 방법인 열린계와 닫힌계의 수소 공급 방법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수소 공급 방법은 열린계(flow  through anode system)와 닫힌계(dead-ended anode system)로 구분된다. 열린 계에서는 수소극의 후단이 열려 있는 구조로 수소 고갈을 방지하기 위하여 1.2~1.5의 양론 비로 수소를 공급하지만, 닫힌계에서는 수소 극의 후단이 막혀있는 구조이며 수소를 압력으로 공급하므로 이상적인 수소 연료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6-8]. 양극 닫힌계를 사용하는 연료전지에서는 공기극에서 수소극으로 역확산되는 물이 축적되어 연료전지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감소하는 flooding 현상이 발생한다 [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Y. Wang, K. S. Chen, J. Misshler, S. C. Cho, and X. C. Adroher, A review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Technology, applications, and needs on fundamental research, Appl. Energy, 88, 981-1007 (2011). 

  2. O. Z. Sharaf and M. F. Orhan, An overview of fuel cell technolog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Renew. Sustain. Energy Rev., 32, 810-853 (2014). 

  3. T. Wilberforce, A. Aswad, A. Palumbo, M. Dassisti, and A. G. Olabi, Advances in stationary and portable fuel cell applications, Int. J. Hydrogen Energy, 41, 16509-16522 (2016). 

  4. L. Xiong and A. Manthiram, High performance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with ultra-low Pt loading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Electrochim. Acta., 50, 3200-3204 (2005). 

  5. T. Kitahara, T. Konomi, and H. Nakajima, Microporous layer coated gas diffusion layers for enhanced performance of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J. Power Sources, 195, 2202-2211 (2010). 

  6. Y. Lee, B. Kim, and Y. Kim, An experimental study on water transport through the membrane of a PEFC operating in the dead-end mode, Int. J. Hydrogen Energy, 34, 7768-7779 (2009). 

  7. J. W. Choi, Y. S. Hwang, S. W. Cha, and M. S. Kim, Experimental study on enhancing the fuel efficiency of an anodic dead-end mod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by oscillating the hydrogen, Int. J. Hydrogen Energy, 35, 12469-12479 (2010). 

  8. J. C. Kurnia, A. P. Sasmito, and T. Shamim, Advances i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dead-end anode operation: A review, Appl. Energy, 252, 413-416 (2019). 

  9. J. B. Siegel, D. A. Mckay, A. G. Stefanopoulou, D. S. Hussey, and D. L. Jacobson, Measurement of liquid water accumulation in a PEMFC with dead-ended anode, J. Electrochem. Soc., 155, B1168-B1178 (2008). 

  10. S. Chevalier, N. Ge, J. Lee, P. Antonacci, R. Yip, M. G. George, H. Liu, R. Banerjee, M. Fazeli, and A. Bazylak, In situ analysis of voltage degradation i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with a dead-ended anode, Electrochem. Commun., 59, 16-19 (2015). 

  11. J. Yu, Z. Jiang, M. Hou, D. Liang, Y. Xiao, M. Dou, Z. Shao, and B. Yi, Analysis of the behavior and degradation i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with a dead-ended anode, J. Power Sources, 246, 90-94 (2014). 

  12. C. Y. Hung, H. S. Huang, S. W. Tsai, and Y. S. Chen, A purge strategy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under varying-load operations, Int. J. Hydrogen Energy, 41, 12369-12376 (2016). 

  13. Y. Yang, X. Zhang, L. Guo, and H. Liu, Overall and local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in PEM fuel cells with dead-ended anode, Int. J. Hydrogen Energy, 42, 4690-4698 (2017). 

  14. S. Abbou, J. Dillet, D. Spernjak, R. Mukundan, R. L. Borup, G. Maranzana, and O. Lottin, High potential excursions during PEM fuel cell operation with dead-ended anode, J. Electrochem. Soc., 162, F1212-F1220 (2015). 

  15. B. Chen, J. Wang, T. Yang, Y. Cai, C. Zhang, S. H. Chan, Y. Yu, and Z. Tu, Carbon corros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mechanism in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dead-ended anode and cathode, Energy, 106, 54-62 (2016). 

  16. B. Chen, Y. Cai, J. Shen, Z. Tu, and S. H. Chan, Performance degradation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dead-ended cathode and anode, Appl. Therm. Eng., 132, 80-86 (2018). 

  17. Y. F. Lin and Y. S. Chen, Experimental study on the optimal purge duration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a dead-ended anode, J. Power Sources, 340, 176-182 (2017). 

  18. K. Lee and J. Kim, Performance enhancement and recovery method of open cathode PEMFC, Appl. Chem. Eng., 28. 118-124 (2017). 

  19. Q. Jian, L. Luo, B. Huang, J. Zhao, S. Cao, and Z. Huang, Experimental study on the purge process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tack with a dead-end anode, Appl. Therm. Eng., 142, 203-214 (2018). 

  20. B. Chen, Z. Tu, and S. H. Chan, Performance degradation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during gas purging in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a dead-ended anode, Appl. Therm. Eng., 129, 968-978 (2018). 

  21. M. M. Taghiabadi and M. Zhiani, Degradation analysis of dead-ended anode PEM fuel cell at the low and high thermal and pressure conditions, Int. J. Hydrogen Energy, 44, 4985-4995 (2019). 

  22. Y. Yang, X. Zhang, L. Guo, and H. Liu, Different flow fields, operation modes and design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with dead-ended anode. Int. J. Hydrogen Energy, 43, 1769-1780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